View : 492 Download: 0

19세기 전반 영국 풍속화(Genre Painting)에 나타난 아동 인식

Title
19세기 전반 영국 풍속화(Genre Painting)에 나타난 아동 인식
Other Titles
Children Perception in Early Nineteenth Century British Genre Painting : Focus on David Wilkie and William Mulready
Authors
정지원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동호
Abstract
본 논문은 19세기 전반 영국의 풍속화가 데이비드 윌키(David Wilkie, 1785-1841)와 윌리엄 멀리디(William Mulready, 1786-1863)의 작품에 나타난 아동 이미지에 관한 연구이다. 윌키와 멀리디는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적 생활 모습을 주제로 한 작품을 제작하며 19세기 영국의 풍속화(genre painting)를 개척하였다고 평가 받는다. 본 논문은 윌키와 멀리디의 작품에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아동 이미지에 주목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이들 작품에 나타난 19세기 전반 영국의 아동 인식을 고찰하려는 시도이다. 고대부터 근대까지 유럽 미술에서 아동은 다양한 모습으로 재현되었는데, 이는 각 시대마다 상이하게 형성되었던 아동 담론과 인식에 기인한다. 아동이 특별한 존재가 아닌 주변적인 존재로 인식되었던 고대와 중세의 회화에서 아동이 중심인물로 등장하는 일은 드물었으며, 16세기에 이르러서 종교개혁의 영향으로 아동에 대한 담론이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했다. 17세기 이후로는 로크와 루소 등 계몽주의의 영향을 받은 많은 사상가들이 아동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촉발했고, 이들은 특히 아동의 순진하고 아이다운 특성을 강조하여 아동을 바라보았다. 이러한 17세기와 18세기의 아동 담론과 사상은 미술에도 영향을 주어 이 시기 회화를 중심으로 아동이 그림의 중심인물로서 활발히 재현되기 시작했다. 예컨대 18세기 프랑스와 영국의 회화에는 낭만주의적 아동관의 영향을 받아 순수하고 낙관적인 이미지의 아동이 종종 묘사되었다. 이처럼 유럽 미술에서의 아동 이미지는 각 시대의 아동 사상과 인식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양상으로 변화해 왔다. 19세기 전반 런던에서 주로 활동한 윌키와 멀리디 역시 그들의 풍속화에 다양한 이미지의 아동을 드러냈고, 그러한 아동 이미지는 당대 아동을 둘러싼 사회 문제와 인식, 담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19세기 전반 영국 사회에서 아동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았으며, 특히 아동의 노동과 교육, 신체 활동과 관련한 담론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윌키와 멀리디의 작품을 분석해 보았을 때, 그들 작품에 나타난 아동 이미지를 다음과 같이 분석해 볼 수 있다. 우선, 아동은 교육과 훈육의 대상으로 나타나 교사나 부모와 같이 권위를 지닌 주변인물로부터 견책을 받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이때 아동은 학교나 운동장, 길거리 등 다양한 공간에서 문제를 일으키거나 부주의함을 보이는 모습이며, 이러한 이들의 모습은 침착하고 이성적인 주변 등장인물의 모습과 종종 대비를 이룬다. 훈육의 대상으로서 아동을 묘사한 이러한 이미지는 아동에게 제공되는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 당대의 아동 인식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아동은 다양한 놀이와 신체활동을 즐기는 주체로 등장한다. 장소에 얽매이지 않고 그들만의 게임이나 즉흥적인 놀이에 열중하는 이러한 아동의 모습은 국가 존속의 기반이 되는 아이들의 건장함과 자유로운 신체활동을 장려한 당대의 사회 분위기를 드러내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아동은 가정이나 사회에서 주변인물의 주의를 환기하고 그들의 애착을 불러일으키는 존재로 묘사된다. 작품에서 드러나는 아이를 향한 가족과 이웃의 직접적인 보살핌이나 애정 어린 교감은 당시 사회에서 아동이 관심과 애착을 환기하는 중심적인 존재로서 인식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적 모습을 주제로 한 윌키와 멀리디의 작품 속 아동 이미지에 주목하여 그것을 당대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미술에서 주변부의 존재였던 아동이 19세기 영국 회화의 중심인물로 나타나게 된 것을 확인하고, 당시 사회의 아동 인식이 화가들의 작품에 어떻게 시각적으로 구현되었는지 검토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19세기 영국 미술 안에서 주목 받지 못했던 풍속화와 그 중심에 있던 화가들을 다각도로 재조명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This study is about the images of children in the works of David Wilkie(1785-1841) and William Mulready(1786-1863), genre painters of early nineteenth century Britain. Wilkie and Mulready are acknowledged to pioneer nineteenth century British genre painting with their works that deal with genre scenes of ordinary peopl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ildren perception of early nineteenth century Britain by analyzing the images of children that appear in the works of both Wilkie and Mulready. From ancient to modern era, children appeared diversely in European art, and this sprung from discourse on children and childhood that had developed differently depending on each era. In paintings of ancient and medieval times where children were regarded to be marginal, children hardly appeared as a central figure. It was nearly sixteenth century when discourse on children and childhood began to evolve with the influence of the Reformation of Catholic Church. After seventeenth century, many philosophers including Locke and Rousseau, who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Enlightenment, established a new perception toward children which is that they started to perceive innocent nature of children. This new perception of children in seventeenth to eighteenth century had an impact on art which gave rise to a frequent representation of children in paintings. To be specific, children commonly appeared with the image of innocence and optimism in eighteenth century French and British painting, which attributed to romantic perception of children. On this wise, the image of children in European art has emerged diversly in each period. Wilkie and Mulready both who mostly worked in London described various images of children in their genre painting, and this was closely related to perception of children in nineteenth century Britain. In nineteenth century Britain, social interest in children was greater than that in the past, and the issue on children labor, education, and physical activity was highly concerned. When examining the works of Wilkie and Mulready along with this social background of nineteenth century Britain, their images of children can be analyzed as follows. Firstly, children appear as a target of education and punishment with subsidiary appearance of authorized figure like teachers or parents. In this case, children in the place like school, playground, or street are described to be mischievous or careless, and this image shows a contrast with that of adults who are calm and rational. Such image of children demonstrates the discourse on children in nineteenth century Britain which is tha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hildhood education. Secondly, children are portrayed as a subject of play and physical activity. This image of children who freely enjoy a variety of games and improvise performances shows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 in nineteenth century Britain that they are potential citizens of the nation and thus their play and activity to maintain their physical health should be encouraged. Finally, Children are depicted as human beings who arouse attention and affection of others in their society or home. Empathic concern within a society and parental love and care within a family group that appear in the works indicate that children in nineteenth century Britain were recognized as significant figures who awake both social and domestic affection.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image of children in genre paintings of Wilkie and mulready and analyze them in nineteenth century British social cultural context. By doing so, it was identified that children who had been marginal in the past European art appeared as key figures in nineteenth century British painting and demonstrated how perception of children was embodied in the works of painters of the perio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highlighted in various perspectives the nineteenth century genre painting and its pioneering painters that were hitherto unexplored in the history of British a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