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8 Download: 0

서도소리 <장한몽>의 김정연·이은관 소리 비교연구

Title
서도소리 <장한몽>의 김정연·이은관 소리 비교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the sound between Jeogyeon Kim and Eunkwan Lee on Seodo-sori
Authors
윤이나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효주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sounds between Jeogyeon Kim and Eunkwan Lee on Seodo-sori by dividing it into Saseol, rhythm, and melod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 looked at the papers kept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o find out the life and transmission status of Jeongyeon Kim and Eunkwan Lee. Jeongyeon Kim was born in Suok-ri, Pyongyang in 1913, and learned the Seodo-sori from Chilseong Kim. He was designated as the holder of the Seodo-sori performing arts and he has produced 10 graduates through the succession of Seodosori. Eunkwan Lee was born in Hoesan-ri, Gangwon-do in 1917, and learned witticism from Chunjae Park. He was designated as the holder of the Seodo-sori performing arts and he has produced 10 graduates through the succession of Seodosori. He was designated as the holder of the Seodo-sori performing arts and he has produced 54 graduates through the succession of Seodosori. Second, i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editorials, the paragraph of was divided into 7 paragraphs based on the meaning inherent in the Saseol. the first paragraph was a resentment of Sooil Lee, the second paragraph was Dontaryeong, the third paragraph was a farewell song, and the fourth paragraph was a plea of Sooil Lee, the 5th paragraph is an excuse of Soonae Shim, the 6th paragraph is an anger of Sooil Lee, and the 7th paragraph is an anxiety song.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xpression of some postpositions such as Jeonyeon Kim expressed it with '~haguna(Yod do ~),' and Eunkwan Lee expressed it with '~ hanga (Do you ~ ?)', Yangyangburlo of Jeongyeon Kim appeared as “Yayangburlo” of Eunkwan Lee and the phonological change in pronunciation was different, also‘Jal Itgeola(goodbye) of Jeongyeon Kim appeared as 'Jalsalyuma’ (live well) of Eunkwan Lee, so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utant phenomenon of the ending. It could be seen that the part ‘Dontaryeong’ in the second paragraph is a Saseol that exists only for Jeongyeon Kim,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erson who sing Chang was 30 phrases out of 65 phrases (46.153%). Third, i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rhythm, after analyzing the types of beats appearing in presenting in Jeongyeon Kim and Eunkwan Lee, Saseol combined was analyzed. has three beats = semachi rhythm, and although there is a basic rhythm, it was an amorphous inflection without a certain beat, and the beat was partial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number of syllables. ♪ is set one beat and ♩.=90, and the common beat patterns of two person who sing Chang are 9/8, 12/8, 15/8, 18/8. In Jeongyeon Kim, only four types of beats appeared, but in Eunkwan Lee, 6/8 and 8/8 types appeared additionally. When 6/8 type appears, the rhythm is in progress, but the melody does not reach until the last Sobak, so it was used as a means to establish the melody. In the 8/8 type, it can be seen that the rhythm which is in progress 3 Sobak is transformed into 2 Sobak. Saseol combined divided paragraphs based on similar Saseol. In Paragraph 14 of Jeongyeon Kim, 5 beats of 9 sobak appear, but in Paragraph 8 of Eunkwan Lee, 2 beats of 12 sobak and one beat of 9 sobak appear. Fourth, in the melody progression, the British notation was used to indicate the pitch, and for the convenience of comparison, it was transcribed into the eb group. Whil, in Jeongyeon Kim, there were appeared c'- eb'- f'- g'- bb'- c"- d"- eb"- f""- g"- bb" sound, in Eunkwan Lee, there were appeared c'- f'- g'- ab'- c"- d"- eb"- f"- g"- bb"- c‴ sound. Each paragraph was divided into Susimgatori (Susimgajo). The two person who sing Chang lengthened the melody or used various embellishments depending on the Saseol to be emphasized, and ended with the susimgatori, However, Jeongyeon Kim haracterized by adjoining c", eb"and g" sounds, sequentially ascending and descending, and progressing to a minor 3rd with c"- eb"sounds. On the other hand, Eunkwan Lee used a dynamic progression and timbre rhythm more frequently than Jeongyeon Kim through a perfect 4th leap, sequential ascending and descending, and repetition of various melodies, and the conclusion of melodies through rhythm appeared. Music constantly moves and chang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individual tendency that changes with the times. also appeared in line with the times and was very popular at the time, but it remains a song that is not often encountered by majors studying Seodo-sori in recent years. In this regard, we hope that the sheet music data of the two master singers will serve as the basis for the basic data and will be further expanded and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a foothold for detailed research, as an expert on the genealogy of Jeongyeon Kim, I hope that this material will not be limited to the study of Seodo-sori, but can be used meaningfully for various experimental attempts such as transmission, preservation, and cultural development. ;본 논문은 서도소리 <장한몽>의 김정연・이은관의 소리 비교연구를 사설, 장단, 선율로 나누어 분석한 것이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김정연과 이은관의 생애와 전승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국립중앙도서관과 문화재청, 국가무형문화재 관리국, 논문을 살펴보았다. 김정연은 1913년 평양 수옥리에서 출생하였고, 김칠성에게 서도소리를 배웠다. 1971년 서도소리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어 전승을 통해 10명의 이수자를 배출하였다. 이은관은 1917년 강원도 회산리에서 출생하였고, 박춘재에게 재담을 배웠다. 1984년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으며 전승을 통해 54명의 이수자를 배출하였다. 둘째, 사설 비교 분석에서는 <장한몽>의 단락을 사설에 내재 되어있는 의미를 토대로 제7단락으로 나누었고, 제1단락은 이수일의 원망, 제2단락은 돈타령, 제3단락은 이별가, 제4단락은 이수일의 간청, 제5단락은 심순애의 변명, 제6단락은 이수일의 분노 제7단락은 수심가로 나누었다. 김정연은 ‘~하구나’로 이은관은 ‘~한가’로 일부 조사 표현에 차이가 있었고, 김정연의 ‘양양불로’가 이은관에서는 ‘야양불로’로 등장하여 발음상의 음운변화가 상이하며, 김정연의‘잘 있거라’가 이은관에서는 ‘잘 살려마’로 등장하여 어미(語尾)의 변이현상에서 차이가 있었다. 제2단락의 일부분 ‘돈타령’은 김정연에게만 존재하는 사설임을 알 수 있었고, 두 창자는 총 65구 중 30구(46.153%)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셋째, 장단 비교 분석에서는 김정연과 이은관에게 등장하는 <장한몽>에 출현하는 박자 유형을 분석한 후 사설붙임새를 분석하였다. <장한몽>은 3박=세마치장단으로 기본 장단 틀은 존재하지만, 일정한 박자가 없는 무정형 절주로 음절 수에 따라 부분적으로 박자가 상이하였다. ♪를 한 박 ♩.=90으로 정하며, 두 창자의 공통된 박자 유형은 9/8, 12/8, 15/8, 18/8이다. 김정연은 4가지 유형의 박자만 등장하지만, 이은관에게는 6/8과 8/8 유형이 추가로 등장하였다. 6/8이 출현할 때 장단은 진행 중이지만, 선율은 마지막 소박까지 도달하지 않는 특징이 있어 선율을 맺어주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8/8 유형은 3소박으로 진행되던 장단이 2소박으로 변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설붙임새는 유사한 사설을 기준으로 단락을 나누었다. 김정연의 제14단락은 9소박인 5장단 등장하지만, 이은관의 제8단락은 12소박의 2장단과 9소박의 한 장단이 등장한다. 이처럼 같은 사설이지만, 등장하는 단락 및 소박과 장단이 상이하다. 넷째, 선율 진행에서는 영국식 표기법을 사용하여 음높이를 나타내며, 비교의 편의를 위해 eb 조로 통일하여 채보하였다. 김정연은 c'- eb'- f'- g'- bb'- c"- d"- eb"- f""- g"- bb"음이 출현하였고, 이은관은 c'- f'- g'- ab'- c"- d"- eb"- f"- g"- bb"- c‴ 음이 출현하였다. 각 단락은 수심가토리(수심가조)로 나누었다. 두 창자는 강조하는 사설에 따라 선율을 길게 늘이거나 다양한 꾸밈음 활용이 있었고, 수심가토리로 종지 하지만, 김정연은 c", eb", g"음으로 인접하게 진행하고, 순차 상・하행하는 양상과 c"- eb"음인 단3도로 진행하는 특징이 있다. 이은관은 완전 4도 도약 및 순차 상・하행, 다채로운 선율의 반복을 통해 역동적인 진행과 당김음 리듬을 김정연보다 비교적 자주 사용하였고, 장단을 통한 선율의 맺음이 등장하였다. 음악은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환경과 개인의 성향에 따라 끊임없이 움직이며 변화한다. <장한몽> 역시 시대에 맞게 등장하여 그 당시 엄청난 인기를 받을 수 있었지만, 근래에 들어 서도소리를 공부하는 전공자들에게 자주 접할 수 없는 곡으로 남아있다. 이에 두 명창의 악보 자료가 기초 자료의 바탕이 되어 보다 더 확충되고, 세세한 연구의 발판을 마련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기를 희망하며, 김정연의 계보를 잇는 전공자로서 이 자료가 서도소리의 연구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전승 및 보존과 문화발달 등 다양한 실험적인 시도를 위해 유의미하게 사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