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The Effects of Gender-Sensitive Health ODA Projects on Women’s Health with a Focus on the Success Factors

Title
The Effects of Gender-Sensitive Health ODA Projects on Women’s Health with a Focus on the Success Factors
Authors
방유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은미
Abstract
This dissertation aims to analyze how gender-sensitive health ODA projects contribute to improving women’s health.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application of gender-sensitive approaches improves women’s health in ODA projects and find out the success factors of gender-sensitive health ODA projects. Despite the importance of gender sensitivity, the gender-sensitive health approaches have not been broadly studied and health ODA projects have not been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sensitivity. Thus, the dissertation asks to what extent and in what ways women’s health ODA projects with gender sensitivity lead to better health outcomes. The study conducts this research to better understand contextual circumstances of gender sensitivity and the complex dimensions of health. Given the strong focus on a gender-sensitive perspective, the academic discourse on health has highlighted that health projects should consider gender differences between women and men to incorporate a gender aspect into the project. Along with the application of a gender lens into the project, studies have suggested a comprehensive approach to health that addresses societal and cultural contexts. In particular, when it comes to determinants of health, a large volume of literature presented multiple factors that affect health ODA projects. Despite a growing interest in gender and health, existing literature has not analyzed how health ODA projects apply the gender-sensitive perspective and provided little information on gender-related factors affecting health ODA projects. To overcome this gap, the dissertation develops the gender sensitivity checklist to conduct gender analysis and see whether health ODA projects recognize gender dynamics such as gender norms and gender-specific barriers. The analytical framework builds upon major factors that affect health ODA projects including comprehensive health, gender analysis, donor support, health needs, and community participation. This study applies Ragin (1987)’s crisp-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QCA) to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among five cases of women’s health ODA projects. The selected five cases include countries with a high degree of showing gender-equality oriented ODA commitment and disbursement to the health sector. They are Australia, Germany, Swede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The five cases can show how top-ranked donors who provide gender equality-oriented ODA apply the perspective of gender sensitivity in the health ODA projects. They are significant cases to be explored since they can show how they embody gender sensitivity and indicate whether the application of a gender lens to the project is sufficient to improve women’s health. The findings show that gender-sensitive health ODA projects improved women’s health, while most of the gender-neutral and gender-blind health ODA projects did not contribute to improving women’s health. The study found ke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women’s health ODA projects. All cases of gender-neutral and gender-blind health ODA projects prioritized health needs of recipient countries. The cases of gender-sensitive health ODA projects tell a different story. All five cases of gender-sensitive health ODA projects address two major factors: (1) gender analysis; and (2) health needs. Based on the possible combinations of factors, the dissertation conducts a deeper comparative analysis among gender-sensitive health ODA projects by comparing two different groups of cases: (1) Australia and Germany; and (2) Swede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The first group conducts gender analysis and considers health needs, but Germany put a stronger focus on comprehensive health than Australia. And other three donor countries in the second group are similar to one another since they conduct gender analysis, commit its support as donors, and address health needs of recipient countri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are more striking than comparison between Australia and Germany. The case of Sweden did not take a comprehensive approach to health and not consider community participation as a major factor. However, the United States strongly advocated community-based approaches. Above all, the United Kingdom’s gender-sensitive health ODA projects contain all factors including comprehensive health, gender analysis, donor support, health needs, and community participation. Building upon the differences, the study discovers three success factors of gender-sensitive health ODA projects: (1) gender analysis; (2) comprehensive health; and (3) community participation. In particular, a male involvement strategy with consideration of contextual factors was vital to increase effectiveness of health ODA projects. These results find that women’s health ODA projects with gender sensitivity can lead to better health outcomes under the condition where projects take three components (gender analysis, comprehensive health, community participation) into consideration. It indicates that the application of a gender lens into the project design and implementation is not sufficient to make successful health ODA projects that contribute to improving women’s health. A more comprehensive approach to health which addresses contextual circumstances and community-based approaches are needed in women’s health ODA projects. The dissertation makes theoretical contributions to the existing literature on health studies by supporting the argument that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health is crucial to understand the multifaceted aspect of health. The study also develops the gender sensitivity checklist to conduct gender analysis and identify the contexts, which fills the gap where the perspective of gender sensitivity is not adopted. The dissertation also adds empirical contribution to the field of ODA project implementation. By extensively examining health ODA project documents, the study discovers the success factors of gender-sensitive health ODA projects. Thus, this dissertation hopes to contribute to enriching the discussion on designing health ODA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sensitivity.;본 연구는 성인지적 보건 ODA 사업이 어떻게 여성건강 향상에 기여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지적 접근법을 적용한 보건 ODA 사업이 여성건강을 향상시키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성인지적 보건 ODA 사업의 성공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젠더 감수성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성인지적 건강 접근법과 성인지적 관점에서의 보건 ODA 사업에 대한 분석 연구는 활발하게 수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건강의 복합적인 측면을 이해하고 젠더 감수성의 맥락적 요인들을 분석하여, 젠더 감수성을 가진 여성건강 ODA 사업이 어느 정도로, 또한 어떠한 방식으로 건강을 향상시키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성인지적 관점의 필요성에 근거한 선행연구는 보건 사업이 남성과 여성 사이의 젠더적 차이를 고려하고 사업 전체에 젠더적 측면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강조한다. 특히 젠더 관점의 적용과 더불어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는 통합적인 접근법이 보건 ODA 사업에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보건 ODA 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다양한 선행연구가 있는 반면, 보건 ODA 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젠더 관련 요인이나 성인지적 관점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은 보건 ODA 사업의 젠더 분석을 위한 젠더 감수성 점검표를 개발하여 해당 사업이 젠더 규범과 젠더 장벽 등과 같은 젠더 역학을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포괄적 건강, 젠더 분석, 공여국의 지원, 수원국의 보건 수요, 공동체의 참여와 같은 보건 ODA 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 기반하여 형성된 분석틀을 적용하였으며, Ragin (1987)의 고전 집합 질적 비교 분석 기법(Crisp-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을 활용하여 주요 5가지 사례에 대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5가지 사례국가들은 호주, 독일, 스웨덴, 영국, 미국이며 모두 보건 분야에서 높은 수준으로 성평등 ODA를 지향하는 상위 국가들이다. 이 사례연구를 통해 과연 그러한 정책적 지향점이 실제 수행된 보건 ODA 사업에 잘 실현되었는지에 대해 질적으로 검토하였다. 성평등 ODA를 지향하는 상위국가로서의 5가지 사례국가들은 젠더 감수성을 ODA 사업에 어떻게 구현했는지 그리고 ODA 사업에 적용된 젠더 관점이 여성건강 향상을 위한 충분조건인지 점검하게 하는 면에서 중요성을 갖는다. 본 연구는 대부분의 성중립적 혹은 몰성적 보건 ODA 사업이 여성건강 증진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한 반면에, 모든 성인지적 보건 ODA 사업은 여성건강 증진에 기여한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5가지 사례국가의 모든 성중립적 혹은 몰성적인 보건 ODA 사업은 수원국의 보건 수요를 우선시한 반면, 모든 성인지적 보건 ODA 사업은 수원국의 보건 수요와 더불어 젠더 분석에 집중한 것으로 밝혀졌다. 호주와 독일의 성인지적 보건 ODA 사업은 젠더 분석과 수원국의 보건 수요를 주요 요인으로 고려하였고, 특히 독일은 호주와 달리 포괄적 건강을 강조하였다. 스웨덴, 영국, 미국의 성인지적 보건 ODA 사업은 젠더 분석, 수원국의 보건 수요, 공여국의 지원을 주요 요인으로 고려하였고 사례 간의 상이성은 호주와 독일의 경우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스웨덴의 경우, 포괄적 건강과 공동체의 참여는 주요 요소로 고려되지 않았지만 공동체 기반의 접근법은 미국에서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다. 그리고 영국의 경우, 5가지 요소 (포괄적 건강, 젠더 분석, 공여국의 지원, 수원국의 보건 수요, 공동체의 참여) 모두를 고려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주요 유사성과 상이성에 기반하여 성인지적 보건 ODA 사업의 성공요인은 (1) 젠더 분석, (2) 포괄적 건강, (3) 공동체의 참여로 나타났다. 특히 맥락적 요인을 고려한 남성 관여 전략이 보건 ODA 사업의 효과성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젠더 감수성을 지닌 여성건강 ODA 사업이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이는 단순히 젠더 관점을 적용하는 것에서 나아가 주요 3가지 성공 요인인 젠더 분석, 포괄적 건강, 공동체의 참여를 고려한 사업이 더욱 성공적인 것을 확인했다. 따라서 여성건강 ODA 사업에서는 젠더 분석과 더불어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건강에의 통합적 접근법과 공동체 기반 접근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건강의 다면적인 측면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포괄적 건강 개념이 중요하다는 선행연구를 뒷받침하였으며, 젠더 감수성 점검표를 개발하여 젠더를 둘러싼 맥락을 파악하고 젠더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성인지적 관점을 도입한 연구를 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다. 또한 본 논문은 실제 이행된 보건 ODA 사업 문서를 전체적으로 분석하여 성인지적 보건 ODA 사업의 성공요인을 발견했다는 실증적 가치를 지닌다. 이를 통해 향후 성인지적 관점에서의 보건 ODA 사업 구상에 대한 논의를 더욱 풍부하게 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