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0 Download: 0

통합적 인지강화프로그램 훈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개선 연구

Title
통합적 인지강화프로그램 훈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개선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integrated cognitive reinforcement program training o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uthors
심숙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국제보건정책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혜경
Abstract
In order to demonstrate the intervention effect of an integrated cognitive training program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primary dementia screening test and secondary examination (neuropsychological evaluation and clinical evaluation of dementia) at the Seoul Middle School ** Dementia Relief Center Results 16 people diagnosed with mild cognitive decline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and relate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June 2021 to February 2021. The integrated cognitive training program proposed in this study consists of four stages: initial, intermediate I, intermediate II, and final, and was conducted 12 times for 4 weeks, each 60 minutes each. To confirm the program effect, cognitive level and depression-related factors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Dementia Screening Test and the Korean Depression Scale for the Elderly, and analyzed according to a statistical proced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e-mean (M=22.3, SD=4.24) and post-mean (M=25.06) of the overall cognitive function in the change of the mean value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integrated cognitive training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22.3, SD=4.24) , SD=3.17),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1) was identified.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1) was confirmed between the pre-mean (M=6.63, SD=2.87) and the post-mean (M=8.44, SD=2.06) of memory.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of change was found in the improvement of depression.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because it was conducted on some elderly members of the Seoul Middle and ** Dementia Relief Center members. Second, since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d and compared changes in related variables through experiments,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discussions on qualitative dimensions such as the subject's experience and perception were excluded. Third, although this study consisted of a program of 12 sessions for 60 minutes per session,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extend the period and to analyze the continuity of the program participation effect. Fourth, as this study is a single-group study design, comparable comparison groups are excluded. Although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COIVD-19 and the study subject are elderly and there are restrictions on public relations related to program participation, it is desirable to discuss the differentiation of program effects by setting up various comparison groups in consideration of this in the follow-up study. Fifth, the contents and operation of the integrated cognitive training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so far are different for each study. This is thought to be due to the absence of a unified program development principle and mode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principles of developing an integrated cognitive training program and model validation in a follow-up study.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및 우울증 개선을 위한 통합적 인지 훈련 프로그램의 중재 효과를 실증하기 위해서 서울시 중** 치매안심센터에서 1차 치매선별검사와2차정밀검진(신경심리평가와치매임상평가)결과에서 경도인지저하로 진단받은 1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2021년 1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관련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통합적 인지 훈련 프로그램은 초기, 중기Ⅰ, 중기Ⅱ, 종결 네 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1회기 당 60분씩 4주간 총 12회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효과를확인하기위해서한국형치매선별검사지와한국형 노인우울척도 단축형을 사용하여 인지 수준 및 우울증 관련 요인을 측정하였으며 통계적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및 우울증상 개선을 위한 통합적 인지훈련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의 평균 값 변화에 있어서, 인지기능 전체의 사전 평균(M=22.3, SD=4.24)과 사후 평균(M=25.06, SD=3.1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차이(p<.01)가확인되었다.또한,기억력도사전평균(M=6.63, SD=2.87)과사후평균(M=8.44,SD=2.0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1)를 확인하였다. 하지만, 우울증 개선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서울시 중** 치매안심센터 회원으로 구성된 노인 일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에 대한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실험을 통해 관련 변인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 및 비교한 연구이기 때문에 연구대상의 경험과 인식 등 정성적 차원의 논의는 배제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셋째,본연구는회당60분12회로프로그램을구성하였으나후속 연구에서는 기간을 늘리고, 프로그램 참여 효과의 지속성을 살피기 위한 추후 분석이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는 단일집단 연구 설계로서 비교할 만한 비교 집단이 배제되어 있다. COIVD-19와 같은 환경적 요인과 연구 대상이 고령이며, 프로그램 참여 관련 홍보 등에 제약이 있었지만, 후속 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다양한 비교 집단을 설정하여 프로그램 효과의 차별성을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현재까지 선행연구 등에서 보고된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통합적 인지 훈련 프로그램의 경우 그 내용과 운영이 연구마다 상이하다. 이것은 통일된 프로그램 개발 원칙과 모형의 부재가 원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 통합적 인지 훈련 프로그램 개발 원리 및 모형 타당화 논의가 병행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