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5 Download: 0

자기치유를 향한 극복의 과정

Title
자기치유를 향한 극복의 과정
Other Titles
The process of overcoming self-healing : Focused on My Artworks
Authors
송다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애란
Abstract
본 논문은 삶의 터전을 옮겨가면서 나타난 정서적 불안감과 혼란함이 내면의 상흔으로 발견되고 이를 회화로 재현하는 과정에서 불안을 잠재우는 창작 행위에 대해 연구이다. 본인은 개인과 사회의 상호교류의 부재로 인해 심리적 갈등을 일으키고 그 사이에서 발생한 자기혐오와 불신을 내면에 축적되어 현실의 감정으로 직면한다. 이에 따른 억압된 감정과 뒤틀린 내면은 충족하고자 하는 욕망으로 발현되고 신체의 충동적인 움직임을 작업으로 옮겨 내적 에너지를 해소시키고자 한다. 작품의 화면 안에서 부정적 에너지를 상징물로 구현함으로써 감정을 전환시키는 과정은 하나의 심리 치료라 볼 수 있으며 총체적인 의미로 ‘자기치유’ 또는 ‘자기 극복’이라 말한다. 본인의 작품은 과거에 회복되지 못한 상처의 흔적과 짓눌린 욕망은 무의식의 공간에서 기묘하게 변형된 비현실적 풍경과 상징적인 조형물로 드러난다. 작품의 과정은 정신 분석학자인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 1875-1961)의 심리 치료를 기반하여 형상 과정과 상상 과정으로 표현되는 조형적 상징물과 자아가 투영된 형상으로 탐색한다. 본 논문은 폐쇄적인 공간에서 열린 공간으로 변화하는 심리 상태의 풍경을 중심으로 성장하는 자아의 과정을 세 가지로 나눠서 설명한다. 첫 번째는 감정이 혼재된 공간에서 배회하는 ‘빛을 발산하는 인물’이다. 노란빛을 뿜어내는 각각의 자아는 내면의 상흔으로 점철된 공간을 배회하면서 치유의 태도를 보여 준다. 또한 어두운 내면의 공간은 인물의 치유적 행위와 빛을 통해 조명된다. 두 번째는 본인의 개인적인 경험을 통해서 탄생한 시각적인 조형물 ‘반죽’이다. 매시간마다 반죽을 만드는 과정을 수행하면서 만들어진 조형물은 변동하는 심적 상태를 대변하고 작품의 조형물로 체화된다. 반죽은 심적인 안정감을 느끼게 해 준 조형물로 비정형의 특징을 보이며 다양한 마음의 상태로 빚어진다. 세 번째는 미래의 성숙한 자아를 지향하며 이상과 희망을 간접적으로 실현시켜 주는 자연 현상에서 연상된 ‘바람과 구름의 이미지’이다. 바람과 구름은 대기를 떠다니는 요소로 무의식에 내재된 열망을 해방시키는 이상과 초월적 상징물이다. 바람과 구름 이미지를 통해 ‘현실 넘어서기’를 시도하며 현실적 상황에 굴복하지 않는 내면의 강한 의지를 보여줌으로써 치유되고 성장한 자아를 보여 주고자 한다. 본인의 작업은 시각적 조형물이 변화하는 과정을 통해 내적 에너지의 표출하는 기쁨을 느끼며 부정적 감정을 점차 와해시키고 있다. 형상의 변화에 따라 보이는 공간 또한 열린 공간으로 확장하여 긍정적 에너지가 충만한 장소로 거듭난다. 이로써 그린다는 창작 행위는 삶의 본연의 행복에 근거하는 긍정하는 방식으로 제시되며 스스로 감정의 균형을 바로잡는 ‘자기 극복’을 실현하게 해 준다. ;In this paper, emotional anxiety and confusion in the process of changing places of life are discovered as internal scars, and creative behavior that calms anxiety in the process of reproducing them into paintings is studied. The lack of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causes psychological conflicts, and the self-loathing and distrust that arise between them build up inside and face real feelings. The repressive emotions and distorted inner thoughts are expressed as desire to satisfy, and the impulsive movements of the body are transferred to work to relieve internal energy. The process of transforming emotions by embodying negative energy as a symbol in the picture of the work is considered psychological therapy, and is generally called "self-healing" or "self-overcoming." Her work shows the scars and suppressed desires that have not been restored in the past as unrealistic landscapes and symbolic sculptures that have been deformed strangely in unconscious space. Based on the psychotherapy of the psychologist Carl Gustav Jung (1875-1961), the work explores the shape and imagination of the characters and the self. This paper illustrates the process of self-development centered on the scene of psychological state changing from closed space to open space. First of all, it is a person who wanders around in a space of mixed emotions. The yellow-colored ego wanders around the dotted space with internal scars, showing a healing attitude. In addition, the dark inner space is illuminated by the healing actions and light of the characters. The second is the "fabric," a visual molding created from personal experience. The sculptures made every hour represent the changing state of mind and are transformed into sculptures. Fabric is a form that gives you a sense of mental stability, showing atypical characteristics and creating a variety of mental states. The third is the "image of wind and clouds" associated with natural phenomena that indirectly realize ideals and hopes while aiming for the mature self of the future. Wind and clouds are elements of the atmosphere, and they are ideals and transcendental symbols that free the unconscious desire. They try to overcome reality through images of wind and clouds, and show their cured and grown self by showing their strong will not to give in to reality. In my work, I feel the joy of expressing my inner energy through the process of changing visual shapes and gradually disintegrate my negative feelings. As the shape changes, the visible space expands into an open space and becomes a place full of positive energy. In this way, creative behavior is presented as a positive method based on inherent happiness in life, and "self-overcoming" can be achieved by correcting one's emotional bal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