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76 Download: 0

애도의 숲속

Title
애도의 숲속
Other Titles
Mourning in the Forest
Authors
차주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경원
Abstract
This paper is a paper that studies the process of discovering various symbols and advancing to the pure sense of art through experience in the forest with condolences for one's disappearing beings. Potential memories of the past are converted into artistic symbols in the process of one's work and become tools for learning to generate abstract images. The symbols of the discovered art act as an important factor in exploring the space of artistic beings and senses with vitality. In the main topic, my work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periods and the changing sense of art is analyzed through humanistic thinking. [Cave of memories] [Reconstruction of organic debris] [Experience the power of the forest] The significance of this process is to look at my work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to examine the meaning and value of my paintings in various expression media of modern art in a contemporary context. Chapter 2 Cave of Memory analyzes Freud's mourning theory and Proust's literary thoughts of past experiences and memories that form my artistic perspective and act as motifs for important creation in the work. I discover a new formative element in the process of working in which latent memories sense certain materials and shape them into a huge cave inside. The found artistic symbols act as tools for learning and serve as an opportunity to move on to the next step for expanded artistic expression. Chapter 3, Reconstruction of Organic Fragments intensively discusses my changed perspective and various artistic expression methods after creating a space for images that have emerged from the image. I create abstract image sculptures through a formative inquiry process that dismantles and combines objects that disappear from nature. Image sculptures freely combine within the screen of the plane through experience and thought in the forest and create the existence of mental landscapes and daydreaming in which the inner image is projected. Chapter 4, The Experience of the Power of the Forest explores the way the original power and synesthesia elements inherent in nature are embodied in the work as they migrate to Jeju Island, a small island. Deleuze analyzes the disappearance of extinct beings and the emergence of new creation, which are the driving forces in his work, through Deleuze's concept of affect. I tried to create a beautiful and strange form of art by exploring the screen of the plane in depth through the mental image that comes to mind. The research process of the work strengthened the aesthetic framework of my own and made one discover the inner space to reach the essence and pure sense of art. Accordingly, I expect to be able to continue my constant exploration for a new level of artistic expression in my future life.;본 논문은 본인의 소멸하는 존재들에 대한 애도의 마음이 숲에서의 체험을 통해 다양한 기호들을 발견하고 예술의 순수한 감각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연구한 논문이다. 본인의 잠재된 기억은 작업의 과정에서 예술적 기호로 전환되어 추상적 이미지를 생성하는 배움의 도구가 된다. 발견된 예술의 기호들은 생명력을 가진 예술적 존재와 감각의 공간을 탐구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본론에서는 본인의 작품을 <기억의 동굴>, <유기적 파편들의 재구성>, <숲이 주는 힘의 체험>의 세 시기로 나누고 변화되는 예술의 감각을 인문학적 사유를 통해 분석한다. 본인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조형적인 시각과 자연을 감각하는 방식을 이론적 근거를 통해 상세하게 서술하고 예술의 표현과 존재 방식을 깊이 있게 탐구한다. 이 같은 과정이 갖는 의의는 본인의 작품을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고 현대예술의 다양한 표현 매체 속에서 본인의 회화가 지니는 의미와 가치를 동시대의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Ⅱ장 기억의 동굴에서는 본인의 예술적 시각을 형성하고 작품 안에서 중요한 창작의 모티프로 작용하는 과거의 경험과 기억을 프로이트의 애도 이론과 프루스트의 문학적 사유를 통해 분석한다. 본인은 잠재된 기억이 특정 물질들을 감각하고 내면의 거대한 동굴로 형상화되는 작업 과정에서 새로운 조형적 요소를 발견한다. 발견된 예술적 기호들은 배움의 도구로 작용하고 확장된 예술적 표현을 위한 다음 단계로 나아가는 계기가 된다. Ⅲ장 유기적 파편들의 재구성에서는 심상에 떠오른 이미지의 공간을 만들어 낸 이후 본인의 변화된 시각과 다양한 예술적 표현방식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본인은 자연에서 발견한 소멸하는 대상을 해체하고 결합하는 조형적 탐구 과정을 통해 추상적 이미지 조각을 만든다. 이미지 조각들은 숲에서의 경험과 사유를 바탕으로 평면의 화면 안에서 자유롭게 결합하며 내적 심상이 투영된 정신적인 풍경과 몽상의 존재를 생성한다. Ⅳ장 숲이 주는 힘의 체험에서는 작은 섬 제주도로 이주하게 되면서 본인이 느꼈던 자연 안에 내재한 원초적인 힘과 공감각적 요소를 작품 안에 구현하는 방식에 대해 탐구한다. 본인 작품의 원동력인 소멸하는 존재의 사라짐과 새로운 생성의 나타남을 들뢰즈의 정동 개념을 통해 분석한다. 본인은 내면에 떠오르는 정신적인 이미지를 통해 평면의 화면을 깊이 있게 탐구함으로써 아름답고 기묘한 형태의 예술 작품을 만들고자 했다. 작품의 연구 과정은 본인의 미학적 기틀을 견고히 다지고 예술의 본질과 순수한 감각에 이르고자 하는 내면의 공간을 발견하게 했다. 이에 따라 본인은 앞으로 내면의 감각에 집중한 순수하고 정제된 추상적 이미지들을 통해 깊이 있는 예술적 표현을 위한 끊임없는 탐구를 이어나갈 수 있을 거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