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3 Download: 0

동시대 미술에 나타나는 파라픽션(Parafiction) 연구

Title
동시대 미술에 나타나는 파라픽션(Parafiction)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arafiction in Contemporary Art : Focusing on Carrie Lambert-Beatty’s Theory
Authors
임나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남시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parafictional art practices which are recently being discovered in contemporary art world since 2000s and to derive the implications of lies that appear in art. To this end, this thesis analyzes the effective aspects of lies characteristically appearing in parafictional art practices based on Carrie Lambert-Beatty’s ‘Parafiction.’ This study proposes that Parafiction be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 of lies, assuming Parafictional art as a kind of lying art. Here, lying art refers to art tha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reflection on how human reason, emotion, and belief are processed and circulated according to aesthetic experience by using the epistemological structure itself to determine authenticity. Lies, according to traditional definitions, should have the intention of deceiving someone. However, Jacques Derrida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classical definitions and expands the discussion by insisting that lies should be contemplated on a performative dimension. In this way, it can be said that if lies are identified as actions, effects of lying art should be discussed along with intentions. On the other hand, if lies are involved in the domain of art, the discussion becomes more complicated. Lying art, which combines lies with fiction, provides an opportunity for insight of reality at a critical and inventive dimension. Art historian Carrie Lambert-Beatty describes the term ‘parafiction’ as ‘the untrue that tends to be experienced and believed as true,’ and discusses it along with the trend of the times in which ‘lies’ have fatal consequences in society. Unlike in the past, the lies prevailing in the ‘post-truth’ era tend to believe what one wants to believe is true based on individuals’ feeling or intuition. This is equivalent to the meaning of ‘Bullshit,’ which Harry Frankfurt attempted to conceptualize earlier, and the most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bullshit and lies is whether it is interested in truth or not. Parafiction can be seen as reflecting the phenomenon in itself in which objective and absolute truth is overwhelmed by subjective emotions and opinions. Parafictional arts have a structure of antinomy that evokes both belief and doubt. In this study, this structure is divided into a representational and performative dimens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meanings of the term ‘belief’ which parafictional arts strategically deal with. In a representational dimension, belief refers to the mental activity of experiencing the world. It contains a certain meaning of principle, and namely the art of ‘plausible’ is the principle that is required to make the audience believe. Plausibility demonstrates the social consensus and sanction and gives the audience a credibility. People are easily misled because the plausibilities in a parafictional art reflect ‘our willingness to believe that it is true.’ This belief is suspended when the audiences discover a device that raises doubt for themselves. So the parafictional art trains them within skepticism. Specifically, it includes not only cognitive reflection on reality reasonably and critically, but also the self-reflection on human instincts, emotions, and intuitions. In a performative dimension, the belief refers to mental attitude. Even if the belief produced by parafictional art has been dropped, the belief leaves two residual effects. This is because belief is intentional state to the world with two conflicting directions. One is the will to pursue objective truth to properly represent the world, and the other is the desire to be matched with the world and to achieve conditions of satisfaction. When the audiences pursue truth, the truth-framing devices that allowed for deception in the first place is emerged, which makes people confront the reality critically. On the other hand, when people pursue their desire, the specific image of the ‘possible world’ is inscribed onto their mind. This thesis analyzes two examples of parafictional arts in contemporary art practices. Walid Raad summons Lebanon's absent modern history through an alternative writing of history, and Hye-soo Park constructs a fictional business model that rents human who is optimized for necessary situations. Their artistic practices demonstrating another kind of lies called parafiction form creative subjects in the realm of art and life and claim a new horizon of knowledge.;본 논문은 2000년대 초반 이후 동시대 미술계에서 새롭게 발견되고 있는 ‘파라픽션 예술’의 실천 양상을 살펴보고, 예술에서 나타나는 거짓말의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캐리 램버트비티의 파라픽션 개념을 중심으로 동시대 파라픽션 예술 실천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거짓말의 효과적 측면을 고찰한다. 본 연구는 파라픽션이 거짓말 개념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보고, 파라픽션 예술을 일종의 거짓말하는 미술로 상정한다. 이때 거짓말하는 미술이란, 진위여부를 판단하는 인식구조 자체를 소재로 삼아 미적 경험에 따라 인간의 이성, 감성, 믿음이 어떻게 가공되고 통용되는지 성찰의 계기를 제공하는 미술을 말한다. 거짓말은 고전적인 정의상 누군가를 속이려는 의도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자크 데리다는 거짓말을 수행적 차원에서 사유해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고전적인 정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논의를 확장한다. 이와 같이 거짓말을 행위로 파악한다면 의도와 함께 효과적 측면을 논해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한편, 예술의 영역에 거짓말이 개입된다면 논의는 훨씬 더 복잡해진다. 거짓말과 허구가 결합된 거짓말하는 예술은 현실에 대하여 성찰적 차원과 창조적 차원에서 통찰의 계기를 제공한다. 미술사학자 캐리 램버트비티는 파라픽션을 ‘사실이 아니지만 사실로 경험되고 믿어지는 허구’로 정의하면서, 이를 ‘거짓말’이 사회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시대적 흐름과 함께 논의한다. ‘포스트트루스’ 시대에 난무하는 거짓말의 양상은 과거와 달리, 개인의 감정이나 직감을 근거로 믿고 싶은 바를 진실이라고 믿는 경향이 있다. 이는 일찍이 해리 프랭크퍼트가 개념화를 시도한 ‘개소리(Bullshit)’와 의미가 상통하고, 개소리와 거짓말의 가장 근본적인 차이는 진리에 대한 관심 여부이다. 파라픽션은 객관적이고 절대적 진리가 주관적 감정과 의견에 압도되는 현상을 그대로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파라픽션 예술은 믿음과 의심을 함께 불러일으키는 이율배반적 구조를 취한다. 이 구조는 파라픽션이 전략적으로 다루는 ‘믿음’의 의미에 따라 재현적 차원과 수행적 차원으로 구분된다. 재현적 차원에서 믿음은 세계를 경험하는 정신적 활동을 의미한다. 즉 관객들을 믿게 만드는 원리로 작동한다. 이때 관객들을 믿게 만드는 원리로 ‘그럴듯함’의 기술이 요구된다. 그럴듯함은 합의된 현실을 충실히 모방해 관객들에게 신뢰감을 부여한다. 파라픽션 예술이 재현하는 허구가 ‘우리가 진실이라고 느끼거나 믿고 싶은 바’를 반영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쉽게 현혹된다. 이러한 믿음은 관객이 의심을 불러일으키는 장치를 스스로 발견함으로써 유예된다. 파라픽션 예술은 의심 안에서 성찰을 훈련시킨다. 구체적으로, 현실을 합리적이고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인지적 성찰뿐만 아니라 인간 본능과 감정, 직감을 자기반성적으로 성찰하는 행위를 포함한다. 수행적 차원에서 믿음은 인간 본연의 심적 태도를 의미한다. 파라픽션 예술이 생산한 믿음은 깨어지더라도 믿음은 두 가지 잔류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이는 믿음이 두 가지 상반된 방향성을 가지고 세계를 지향하기 때문인데, 하나는 세계를 올바로 표상하기 위해 객관적 진리를 추구하는 마음이고, 다른 하나는 욕망을 세계와 일치시켜 충족하려는 마음이다. 관객이 진리를 추구할 때, 애초에 믿게 만들었던 ‘진실-프레이밍’ 장치가 드러나고 현실을 성찰적으로 바라보게 된다. 반면, 욕망을 충족시키려 할 때, 구체적인 ‘가능세계’의 이미지가 관객의 마음에 새겨진다. 본 연구는 파라픽션 예술의 구조에 입각하여 동시대 예술의 사례를 살펴본다. 왈리드 라드는 레바논의 부재하는 근대사를 대안적인 역사 쓰기로 소환하며, 박혜수는 필요한 상황에 최적화된 인간을 대여해주는 가상의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한다. 이들의 예술적 실천은 파라픽션이라는 또 다른 양상의 거짓말이 예술과 삶의 영역에서 창조적인 주체를 형성하고 새로운 인식의 지평을 연다는 점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