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3 Download: 0

융의 그림자 이론과 자기실현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With Ugly Duckling」의 예술적 특성 연구

Title
융의 그림자 이론과 자기실현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With Ugly Duckling」의 예술적 특성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With Ugly Duckling」, a creative dance work based on Jung’s shadow theory and self-realization
Authors
이은미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21세기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들이 사화와 문화를 지배하는 스마트 시티(smart city) 시대이다. 과학의 발전은 사회의 모든 공간이 인공지능과 사이버 물리 시스템으로 연결시키며 인간의 주체성 상실과 정체성의 분열을 야기시켰고, 예술역시 급변하는 시대 안에서 첨단기술과 결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확장되고 있지만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본래의 목적을 상실해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 어느 때보다 21세기의 현대인들의 마음은 현저하게 분리되었고, 마음의 불균형으로 인한 개인의 고립과 정체성의 혼란은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현대사회에서 인간이 겪는 심리적 고통은 마음의 분열에서 온다는 관점과 논의에서 연구를 시작하여 분석심리학자 융(Carl Jung, 1875-1961)의 마음의 통합과 총체성에 주목하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무의식에 억눌린 그림자의 수용을 통한 자기실현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무용창작을 통해 탐색하여 무의식 세계의 안무적 접근을 위한 표현방식과 이에 나타난 예술적 특성을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는 작품의 모티프(motif)인 인간 내면에서 어둡고 파괴적인 성격으로 자아에게 거부당하는 무의식의 그림자를 안데르센(Hans Christian Andersen, 1805-1875)의 동화 『미운 오리새끼(The Ugly Duckling』(1843)’에서 찾아 이를 융의 인간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무의식의 그림자 원형을 미운 오리새끼로 설정하여 작품의 주제와 내용을 전개하였다. 동화 『미운 오리새끼』의 주제는 주인공이 여러 가지 위기를 거쳐 회복하는 자아실현의 과정을 다루며 아름다운 자신을 발견함으로써 정체성을 획득하고 마음의 치유를 이끌어낸다. 하지만 연구자는 그림자의 인식에 초점을 두고 어두운 인격의 부분을 인지하고 수용하여 관계의 갈등을 해소하는 인간의 총체적 관점인 자기실현에 집중하였다. 그리고 동화의 핵심인 미움에서 아름다움으로 변화하는 이분법적인 선택이 아닌, 미움 역시 다름으로 받아들이고 타인과 함께 공존해갈 때 진정한 나를 발견하여 자기실현의 길을 걸을 수 있음을 엔딩으로 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무용창작작품 「With Ugly Duckling」을 통해 외적 페르소나로 인해 감추어진 미운 내 그림자를 발견하고 인식하여 좀 더 성숙된 인간으로 발전함으로 실존의 공간에서 자기실현적 행복을 누릴 수 있게 된다는 점을 전하고, 이를 전인적 움직임의 예술인 무용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식을 새롭게 찾아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작품을 총 3장으로 억압-투사-통합의 장면으로 구성하였고 안무과정에 감성의 형상화, 시공간적 동질화, 이미지의 상징화라는 체계를 구축하여 각 주제를 전개하였다. 1장은 그림자와 자아의 대립 안에서 나타나는 자아의 억압적인 심리적 감성을 드러내었고, 2장은 그림자 투사로 인한 내면의 고통과 자기탐색의 과정과 특성을 표현하였으며, 3장은 그림자와 페르소나의 관계 속에서 자기를 구별하며 자기실현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나타내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그림자의 성격을 전달하고 그림자와 마주하는 자기실현의 과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무대표현매체를 활용하여 연구자의 의도에 따른 시각적인 표현양식을 확장시키고자 하였다. 그리고 자기실현의 과정을 작품을 통해 표현함으로서 드러나는 다양한 표현방식과 예술적 특성을 분석해본 결과 의미의 이중성, 시공간적 표현성, 이미지의 상징성을 작품의 독창적 가치로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의미의 이중성은 의식과 무의식, 자아와 그림자의 마음의 대극을 나타내며 움직임의 반복성과 대조성을 통해 강조되어졌다. 자아와 그림자의 이중적 의미는 자아로 인한 억압의 감성으로 진행되며 이는 대조성을 지닌 이중적인 움직임의 반복을 통해 함축적으로 표상화되었다. 또한 조명, 오브제, 의상은 캐릭터의 이중적 의미를 내포하여 중첩과 병치, 대위와 반복으로 내면세계의 갈등과 대립의 구조를 시각화하여 나타내는데 효과를 더하였다. 둘째, 시공간적 표현성은 인간의 내면과 외면의 공간이 동시에 존재하도록 연출하여 공간의 확장을 이끌어내었고, 중첩된 시간성을 내포한 무용수의 움직임은 시간의 일치와 변화를 나타내며 움직임의 동시성과 확장성이 표출되었다. 풋 조명의 사용으로 무대에 나타난 인간과 그림자의 모습을 동시에 존재하게 함으로써 무용수의 내면심리와 연관시키며 심상적인 무대공간으로 확장시켰고,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로 상징된 긴 천 오브제는 모호한 마음의 공간을 현상적이며 감성적인 움직임의 변화에 의해 심미화되어 나타난다. 이 때 무용수들의 움직임과 이동은 부단한 이미지의 변화로 경계를 허물며 파편화된 인간의 마음을 동시다발적으로 확장시키며 나타내었다. 셋째, 이미지의 상징성은 그림자에 대한 자아의 부정적인 감성을 움직임을 통해 상징적으로 형상화하고, 복수성을 지닌 즉흥과 우연에 의한 움직임을 통해 잠재된 주변의 페르소나의 이미지를 드러내었다. 그리고 무의식의 그림자가 의식화되어가는 과정에서는 무의식의 공간에서 의식의 공간으로 가로지르는 이동경로를 의도적으로 사용하였고, 의식과 무의식이 서로 대면하는 모습을 풋 조명에 의해 나타난 그림자로 상징화하여 실존의 공간과 인격의 통합을 추상적 이미지로 드러냄과 동시에 개인에서 사회로의 연결을 시사하는 암묵적 표현을 담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진정한 ‘나’를 찾는 자기실현의 과정을 표현함으로 무의식의 그림자 통합을 탐색하고, 작품에 나타난 무용예술의 표현방식과 그 특성을 통해 심리 발레의 안무 성향과 방법론을 발전시켰다는 점에 연구의 가치와 의미가 있다고 본다. 그리고 무의식인 그림자의 표현은 자아와 그림자라는 대극적인 축 사이에서 방황하는 현대인들에게 무용예술이 자기실현을 통한 위로와 결속과 행복을 주는 치유의 기능과 전인적 회복을 위한 매개체가 될 수 있음을 밝히며, 이러한 성과가 무용창작에 새로운 방향성과 현대사회의 인간학적 기여로 작용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Twenty first century is characterized by smart city which fourth industrial resolution governs society and culture. Development of science connects all spaces in societ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auses loss of humanity and division of identity. Art is expanded in a various way combined with advanced technology amid rapidly changing age but original purpose centering around has lost. People of twenty first century are distressed and disruption of heart deepens personal isolation and confusion of identity. The author of this paper started this study from the viewpoint that psychological distress which humans suffer in today’s society results from disruption of heart and paid attention to integration and totality of heart argued by Carl Jung (1875-1961), psychologi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expression mode for approach to unconscious world in terms of choreography and artistic characteristics by exploring process towards self realization and accepting shadow surpressed by unconsciousness based on it through creation of dance. The author of this paper developed theme and content of artwork by finding shadow of unconsciousness which is refused by ego as dark and destructive nature in inner world of humans that is motif of artwork in The Ugly Duckling, fairy tale written by Hans Christian Andersen (1805-1875) and interpreting it from the viewpoint of Jung’s anthropology and setting original form of shadow of unconsciousness to The Ugly Duckling. The Ugly Duckling, fairy tale is about process of self-realization which a leading character restores to his/her own identity and heal himself/herself by finding his/her own beauty after undergoing several crises. However, the author of this paper focused on self-realization that solves conflict of relationships by recognizing and accepting dark side of personality focusing on recognition of shadow. Above mentioned fairy tale implies that self-realization consists in coexistence with others embracing difference not dichotomous choice that changes to beauty from hatred by finding true identity. Hereupon, the author of this paper attempted to find a way to express it as dance that is art of holistic movement by delivering a point that humans can enjoy happiness in terms of self-realization in space of existence by growing into mature person after finding and recognizing his/her own shadow hidden due to outer persona through 「With Ugly Duckling」, creative dance piece. To this end, creative dance piece in this study consisted of three chapters; suppression-projection-integration. Each subject was developed by building system of embodiment of emotion, temporal and spacial homogenization and symbolization of image in the process of choreography. Chapter 1 revealed repressive psychological emotion of ego that is shown in confrontation of shadow and ego. Chapter 2 expressed agony of inner world caused by projection of shadow and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self exploration. Chapter 3 showed a process towards self-realization by setting personality apart in relationships between shadow and persona. To this end, the author of this paper intended to expand visual expression mode according to author’s intention by using means of stage representation to deliver the nature of shadow and effectively express process of self-realization that faces shadow. As a result of analyzing various expression modes and artistic characteristics that are revealed by expressing process of self-realization through artwork, the author of this paper found that duality of meaning, temporal and spacial expression and symbolism of image are original value of the artwork. Firstly, duality of meaning represents opposite poles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nd those of ego and heart of shadow and it was emphasized through repetition and contrast of movement. Dual meaning of ego and shadow goes on as emotion of repression due to ego which is implied through repetition of dual movement with contrast. Light, objet, costume connote character’s dual meaning and add effects in visualizing and showing structure of conflict and confrontation of inner world with overlap and juxtaposition as well as counterpoint and repetition. Secondly, temporal and spacial expression brought about expansion of space by having spaces of inner world and outer world of humans exist at the same time and movement of dancers that connotes overlapped temporality represents coincidence and change of time expressing simultaneity and expansion. Using foot lighting made figures of humans and shadow shown on the stage exist simultaneously associated with psychology of dancers and expanded into imaginal space of stage and long cloth objet symbolized as boundary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ppears beautiful by changes of phenomenal and emotional movement. At this time, motions and movements of dancers broke boundaries with ceaseless changes in images and expanded fragmented heart of humans simultaneously. Thirdly, symbolism of image revealed potential images of marginal persona through movement by improvisation and chance with plurality representing ego’s negative emotion towards shadow through movement. In a process which shadow of unconsciousness becomes conscious, path of movement that crosses from space of unconsciousness to space of consciousness was used intentionally and figure that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face each other was symbolized with shadow shown by foot lighting revealing integration of space of existence and integration of personality with abstract image and capturing implicit expression that implies connection to society from perso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tendency and methodology of choreography of psychological ballet through expression mode of dance art and its characteristics shown in artwork by exploring integration of shadow of unconsciousness expressing process of self-realization seeking true ‘I’. Expression of shadow that is unconsciousness can serve as medium for healing and holistic recovery that gives comfort, solidarity and happiness to today’s people who wanders between opposite poles that are ego and shadow. The author of this paper expects that such achievement can give a new direction towards creation of dance and contribute to contemporary society in terms of human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