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4 Download: 0

성인의 자아존중감 변화유형에 대한 예측 및 결과 탐색

Title
성인의 자아존중감 변화유형에 대한 예측 및 결과 탐색
Other Titles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Self-Esteem, the related Predictors and Depression : A Longitudinal Study with Applied GMM
Authors
길민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석선
Abstract
Self-esteem is among the main variables that influence depression. Research on self-esteem considers both the stability of self-esteem and the level of self-este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t trajectories of self-esteem among adults and to test the association of several predictors with these variations. The study used supplementary research data of 8,866 adults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urvey, with 2011 results categorized as Time 1 (‘T1’), 2014 results as Time 2 (‘T2’), 2017 results as Time 3 (‘T3’), and 2020 results as Time 4 (‘T4’). Growth mixture modeling (GMM) analysis was performed. Basic statistics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and the growth mixed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plus 8.5. As a result, three different latent classes of trajectory related to self-esteem were identified. The majority of adults (88.0%), referred to as high-level maintaining, reported a steady high level of self-esteem over time. A second class (low-level increasing: 7.7%) reported low levels of self-esteem levels which gradually increased to high levels at the end of the study. A third group, low-level decreasing (4.3%), reported low self-esteem levels which dropped to the lowest level at the end of the study. Participants belonging to the ‘high-level maintaining' group were generally older, with high rates of problem drinking, no economic activity, were dissatisfied with family income, had no spouse, and were dissatisfied in terms of subjective health and social intimacy. There was a high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low-level increasing' group. In addition, there was no economic activity based on the ‘high-level maintaining,' and the lower the satisfaction with social intimacy,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low-level decreasing' group. Lastly, when compared to the 'low-level increasing’ group, the higher the subjective health satisfaction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low-level decreasing' group. The depression score for T4 was inputt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differences in depression scores by subgroup were verified. The average depression score of the ‘high-level maintaining’ group was 3.45 points, the ‘low-level increasing’ group was 13.02 points, and the ‘low-level decreasing' group 18.94 points. Groups showing changes in self-esteem over time had significantly higher depression scores compared to the ‘high-level maintaining’ grou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lassifies adults into subgroups according to changes in self-esteem and identifies factors affecting subgroup classification and differences in depression between subgroups. Furthermore, the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self-esteem st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primary data for self-esteem enhancement, nursing interventions for depression prevention, and in policy establishment.;자아존중감(self-esteem)은 자신의 가치와 역량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자아존중감은 높고 낮음과 같은 상대적 수준과 더불어 안정성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19세 이상 65세 미만의 성인을 대상으로 최근 10년간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확인하고, 변화 양상의 하위 집단을 도출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자아존중감 변화의 하위 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들을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하위 집단에 따른 우울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성인기의 자아존중감 변화 유형을 확인하기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2011년, 2014년, 2017년, 2020년의 총 4개 시점의 종단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 분석은 SPSS 27.0을 활용하여 기초통계를 분석하였고, Mplus 8.5를 이용하여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ing, GMM)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장혼합모형을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변화에 따라 하위계층은 총 세 개의 집단으로 나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아존중감의 하위 집단은 초기에는 평균 이상의 자아존중감 수준을 보이고 시간의 흐름에도 큰 변화 없이 약간 상승하는 패턴으로 보이는 ‘고수준유지형(88.0%)’, 초기에 평균 이하의 자아존중감을 보이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아존중감이 증가하는 패턴을 보이는 ‘저수준증가형(7.7%)’, 초기에 평균 이하의 자아존중감을 보이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아존중감이 감소하는 패턴을 보이는 ‘저수준감소형(4.3%)’으로 분류되었다. 2. 자아존중감 변화의 하위 집단 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개인, 경제, 건강, 관계 요인을 투입하여 검증한 결과, 개인 요인에서 나이, 경제 요인에서 경제활동 유무와 가족 수입 만족도, 건강요인에서 문제 음주 수준, 주관적 건강 만족도, 관계 요인에서 배우자 유무, 가족생활 만족도,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가 자아존중감 변화 집단을 분류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수준유지형’에 비하여, 나이가 많고, 문제 음주 수준이 높으며, 경제활동이 없고, 가족 수입에 불만족하며, 배우자가 없고, 주관적 건강 만족도와 사회적 친분관계에 불만족할수록 ‘저수준증가형’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고수준유지형’에 비하여 경제활동이 없고,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가 낮을수록 ‘저수준감소형’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저수준증가형’에 비하여 주관적 건강 만족도와 가족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저수준감소형’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2020년도의 우울 점수를 결과 변수로 투입하여 하위 집단별 우울 점수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고수준유지형’의 우울 평균은 3.45점, ‘저수준증가형’의 우울 평균은 13.02점, ‘저수준감소형’의 우울 평균은 18.94점으로 나타났으며 ‘저수준증가형’과 ‘저수준감소형’의 우울 점수가 ‘고수준유지형’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성인의 자아존중감의 변화의 하위 집단을 실질적으로 분류하고, 하위 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하위 집단 간 우울의 차이를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고려하여 간호사는 성인의 자아존중감 변화가 단일한 특성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고, 자아존중감 변화 유형에 따라 집단이 나눠질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한다. 또한 국내 성인의 우울 예방을 위하여 자아존중감의 높고 낮음의 수준과 더불어 안정성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자아존중감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는 집단일 경우 변화가 없는 집단과 비교하여 우울의 위험이 높음으로 집단의 특성 및 욕구를 반영하여 대상 중심의 맞춤형 우울 예방 정신간호 중재를 제공하여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