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5 Download: 0

미취학 자녀 양육모의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연구

Title
미취학 자녀 양육모의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VID-19 stress and depression of preschool children’s mothers : Focusing on the mediation and moderation effects of psychological and social resources
Authors
박주하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의 모든 개인과 가정은 건강과 안전, 경제적 안녕을 위협하는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특히 미취학 아동을 양육해야 하는 어머니들에게 이런 상황은 또 다른 스트레스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물론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모든 어머니들이 심리적인 부적응이나 문제 상황에 처해있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이런 차이를 이끌어내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은 어머니들이 부정적인 심리적 결과를 경험하지 않도록 예방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스트레스와 그 결과의 차이에 대한 설명은 결국 다양한 자원의 차이로 연결되며,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관련 변인을 찾아 그 기제를 확인하고 해당 경로를 추적하여 영향력을 밝히는 것은 필요한 작업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취학 자녀 양육모를 대상으로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관련된 변인을 탐색하고 그 기제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러나 코로나19는 새로운 감염병으로 관련 척도가 미흡하여, 연구 1에서는 코로나19 스트레스 평가척도를 번안 및 타당화 하였다. 해당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비롯하여 기존 척도들과의 상관을 통한 준거관련 타당도와 법칙적 망조직을 통한 구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타당화한 척도를 활용하여 스트레스 과정 모델을 기반으로 코로나19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의 구조적인 기제를 확인하고 각 매개변인들의 예측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사회적지지를 조절변인으로 상정하여 사회적지지 수준에 따라 변인 간 구조적인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를 다집단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모형은 스트레스 과정 모델을 근거로 1차 스트레스(코로나19 스트레스), 매개변인(긍정심리자본), 이차 스트레스(양육죄책감, 양육부담), 조절변인(사회적지지), 그리고 결과변인(우울)을 상정하였다. 또한, 모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변인들(긍정심리자본, 양육부담, 우울)의 경우에는 모 직업을 통제한 후 각 변인들의 관계 속에서 작동하는 기제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1에서 Tambling외 6인(2021)이 개발한 코로나19 스트레스원 척도(CSS)는 교차요인부하 및 낮은 요인부하로 7문항이 제거되어 최종적으로 16문항이 선정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요인이 확인되었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살펴본 3요인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하였다. 한국판 코로나19 스트레스 척도(K-CS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본 결과, 내적합치도를 비롯한 문항의 양호도가 확인되었고 준거관련 타당도와 법칙적 망조직을 통한 K-CSS의 구인타당도 역시 양호하였다. 연구 1은 코로나19 스트레스의 포괄적인 평가가 가능한 공식적인 척도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기제를 확인한 연구 2의 결과를 보면, 본 연구에서 상정한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하였다. 이는 코로나19 스트레스는 매개변인인 긍정심리자본을 낮추고, 저하된 긍정심리자본은 2차 스트레스요인에 해당하는 양육죄책감과 양육부담을 가중시키고 우울로 이어짐을 의미한다. 이처럼 코로나19 스트레스의 부적 영향이 파급되는 과정에서 긍정심리자본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한편, 양육죄책감은 우울을 예측하지 않았는데 이는 양육죄책감이 책임을 수용하고 나아가 잘못을 개선하려는 행동을 동기화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된다.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에서 사회적지지 수준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양육죄책감과 양육부담의 순차적인 이중매개 경로에서만 유의하였다. 즉, 사회적지지가 높은 집단만 해당 경로가 유의하였는데, 결국 평소 사회적지지를 많이 받아왔던 어머니들은 코로나19 스트레스로 증가된 죄책감이 양육부담으로 이어지면서 우울을 심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는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각 매개변인들(긍정심리자본, 양육죄책감, 양육부담)의 예측효과를 밝힘으로써 우울기제에 대한 구조적인 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코로나19 스트레스가 개인의 내적자원인 긍정심리자본을 무너뜨려서 죄책감을 느끼기 쉽게 하고 이것은 양육부담으로 이어져서 우울을 더 심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미취학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경우, 코로나 상황에서는 개인의 내적자원인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불필요한 양육죄책감을 경험하지 않도록 하는 것 역시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적지지의 수준에 따라 다른 개입이 이루어져야 하며 차별적인 전략적 개입이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Due to COVID-19, all individuals and families around the world are experiencing stress that threatens their health, safety, and economic well-being. In particular, this situation is bound to be experienced as another stress factor for mothers who raise preschool children. Certainly not all mothers experiencing stress from COVID-19 are in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r problematic situations. Accordingly, understanding causes of these differences are foremost in preventing mothers from experiencing negative psychological consequences. The difference between various resources give the explanation for difference between stress and its outcome. In this way, it is necessary to find relevant variables in the process of stress affecting an individual, investigate the mechanism, trace the applicable path, and reveal its influ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ariables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and depression in preschool children's mothers and clarify its mechanism. However, COVID-19 is a new infectious disease and the related scale is insufficient, Hence in Study 1, COVID-19 stress scale was translated and validated. The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has been performed in the verification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For the same purpose, criterion-related validity through correlation with existing scales and the construct validity through nomological network were confirmed. In Study 2, the structural mechanism of depression caused by COVID-19 stress was identified based on the stress process model using the validated scale from Study 1, and the predictive effect of each mediator was verified. Also, after postulating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variable, a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ccording to the level of social support was confirmed through multi group analysis. The research model was based on the stress process model, and the first stress (COVID-19 stress), the mediator variabl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second stress (Parenting Guilt, Parenting Burden), the moderator variable (Social Support), and the result variable (Depression) were supposed. In the case of these variabl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mother's occupation(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arenting Burden, Depression), the influence in the relationship of each variable were examined after controlling the mother's job statu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Study 1, the COVID-19 Stressor Scale(CSS) developed by Tambling and 6 others(2021) was adapted by removing 7 items due to cross-factor loading and low factor loading. As a result, 16 items were finally selected. Three factors were identifi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fit of the three factor structure model examin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goo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VID19 Stress Scale (K-CSS), the goodness of the items including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confirmed, an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K-CSS through the reference related validity and the nomological network was also good. Study 1 is meaningful for the very fact that it prepared a formal scale with comprehensively capacity to evaluate COVID-19 stress. The results of the study 2, which identified the mechanisms of COVID-19 stress and depression indicated that the fit of the structural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was good. This means that COVID-19 stress lowers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hich is a mediator, and the lowere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creases the parenting guilt and the parenting burden, which are the secondary stressors, and leads to depression. In this wa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spreading the negative effects of COVID-19 stress. On the other hand, parenting guilt did not predict depression, which is explained since parenting guilt accepts the responsibility and further motivates behaviors to improve one’s faults. In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 only in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path of parenting guilt and parenting burden. In other words, only the group with high social support had the significant the path, which means that mothers who are used to receive a lot of social support can intensify depression by leading to parenting burden due to increased parenting guilt due to COVID-19 stres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in the depression mechanism by revealing the predictive effects of each mediator variables operating in the process of COVID-19 stress affecting depression. COVID-19 stress destabiliz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 individual’s internal resource, making mothers prone to feel parenting guilty, which can lead to parenting burden, further deepening depression. Therefore, in the case of preschool children’s mothers, it is important to improv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hich is an individual's internal resource,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and it is essential to prevent unnecessary parenting guilt.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different interventions should be made according to the level of social support and that discriminatory strategic interventions could be more effecti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