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7 Download: 0

사회적 배제가 암생존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Title
사회적 배제가 암생존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Depression among Cancer Survivors : A Moderate Role of Age
Authors
이소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적경제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종설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와 암생존자의 우울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고, 연령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암생존자의 우울을 완화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연령별 맞춤형 방안 모색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8년 한국복지패널 1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암생존자 215명이다. 통계분석을 위해 IBM SPSS 25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Pearson의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부트스트랩 검증을 시행하였고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배제 변수 중 이분형 변수의 여부에 따라 우울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기 위한 t-검정 결과, 중위소득, 근로능력, 경제활동, 타인신뢰에서 사회적 배제가 높게 나타날 경우 암생존자의 우울 정도도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사회적 배제와 암생존자의 우울 간의 상관성을 파악한 결과, 가족의 수입 불만족도, 주거 불만족도, 건강 불만족도, 사회 친분관계 불만족도와 암생존자의 우울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배제가 암생존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배제 영역 중 고용영역의 근로능력 정도와 경제활동 상태, 건강영역의 건강 불만족도가 암생존자의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사회적 배제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연령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가족의 수입 불만족도와 암생존자의 우울 간의 관계에서 연령은 유의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사회적 배제가 암생존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암생존자의 사회적 배제를 해소하는 것이 암생존자의 우울을 완화하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령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였을 때, 암생존자의 우울을 완화하기 위한 연령별 지원 및 제도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가 암생존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암생존자의 우울에 대한 병리(病理)적 관점에서 벗어나 사회·환경적인 관점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시도를 꾀하였다. 또한 사회적 배제와 암생존자의 우울 간의 영향관계에서 연령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사회적 배제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 모색에 있어 생애주기별 접근의 필요성이 있음을 밝히는데 기여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본 연구는 2차 자료를 활용한 횡단적 연구로 수행되었음으로 암생존자의 우울에 미치는 다차원적인 사회적 배제의 세밀한 분석이 어렵고 시간의 흐름으로 인한 차이를 추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더 나아가 다차원적이고 역동적인 특징을 가진 사회적 배제의 영역과 지표의 구성에서 타당성이 충분치 않다는 한계를 가질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depression among cancer survivors to provide basic data to ease the depression of cancer survivors and find age-specific measure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The data was from the 2018 Korea Welfare Panel Study and the sample included 215 cancer survivors. A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were performed. The IBM SPSS 25 was utilized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test showed that depression is significantly high in groups with higher social exclusion in median income, working ability, economic activity, and trust. Second,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depression in the areas of family income dissatisfaction, housing dissatisfaction, health dissatisfaction, and social intimacy dissatisfaction. Thir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at the higher degree of working ability, economic activity, and health dis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igher depression of cancer survivors. Fourth,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ge played a moderate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income dis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cancer survivors. This study revealed a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mong cancer survivors and social ex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ocial exclusion of cancer survivors is a critical factor in alleviating the depression of cancer survivors. Moreover, conside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the need for age-specific services should be designed to relieve the depression of cancer survivors. This study is meaningful since it attempted to shift a pathological perspective on the depression of cancer survivors to a socio-environmental perspective by verifying the effect of social exclusion on the depression of cancer survivors. It also presented the importance of a life-cycle approach for alleviating social exclusion by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depression of cancer survivors. However, since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secondary data, there would be some limitations on analyzing the multi-dimen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the depression of cancer survivors due to the passage of time. Furthermore, the validity of indicators may be insufficient to estimate social exclusion with its multidimensional and dynamic characteristic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적경제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