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5 Download: 0
일본 우익 NGO의 위안부 부정 운동과 미국 중심의 인권 담론 비판
- Title
- 일본 우익 NGO의 위안부 부정 운동과 미국 중심의 인권 담론 비판
- Other Titles
- Critique on Japanese Extreme Right Wingers’ Anti-Comfort Women Movements and U.S.-Centered Human Rights Discourse
- Authors
- 김혜빈
- Issue Date
- 2022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여성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정지영
- Abstract
- 이 연구는 일본 우익 NGO가 위안부 문제를 부정하기 위해 인권 개념을 활용한 양상을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은 인권 개념을 특정한 역사적 맥락에서 해석함으로써 그것이 어떤 조건에서 누구에 의해 이야기되는지에 따라 오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밝히는 작업이다.
일본 우익 NGO는 국제사회에서 미국이라는 장(場)을 주무대로 하여 위안부 문제로 인해 일본과 일본인이 피해자가 되었음을 알리고 인정받고자 한다. 이들은 위안부 피해당사자들의 거짓된 증언으로 인해 오히려 일본인들의 인권이 침해 당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특히 이들은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순진무구한 일본인 아이들은 일본인이라는 이유만으로 따돌림과 괴롭힘의 대상이 되고 있기에 더욱 문제적이라 말한다. 일본 우익 NGO는 기존에 위안부 피해당사자들에게 쓰였던 전략적 도구인 인권 개념을 전유하여 반대로 일본과 일본인을 피해자로 설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위안부 피해당사자들의 증언과 피해 경험은 중요치 않다. 일본 우익 NGO의 궁극적인 목표는 일본과 일본인의 피해자성을 승인 받는 것이기 때문이다.
일본 우익 NGO의 인권 개념을 활용한 전략은 2013년을 기점으로 활발해진 그들의 UN 활동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2013년 당시 미국 글렌데일시는 위안부를 기리기 위한 평화비 건립을 추진하는데, 이에 대해 일본 우익 NGO가 소송을 제기하면서 우익 운동가들이 본격적으로 국제활동을 전개하기 시작한다. 위안부 문제로 인해 일본인의 인권이 침해 당하고 있다는 주장은 이때 처음 제기되기 시작했으며, 일본 우익 NGO는 그 피해자성을 미국의 법원에서 미국의 정치 및 사법체계를 통해 인정받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일본과 일본인의 피해자성을 승인해주는 존재로서의 ‘미국’이 설정된다.
피해자성을 승인해주는 권한을 ‘미국’에 부여하는 것은 위안부 문제에 있어 피해의 자격과 정도, 그리고 피해를 호소할 수 있는 대상과 해결 운동의 방향을 마치 미국이 정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도록 했다. 이러한 역학 관계는 국제사회에서 위안부 문제가 미국 중심의 인권 담론에 포섭된 것으로 보이게 한다. 미국의 정치와 사법체계 속에서 위안부 문제가 인권 문제로써 제기되고 논의됨으로써 미국에게 주재자의 역할이 부여된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일본 우익 NGO가 단순한 논리로 인권 개념을 전유하는 것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미국을 주재자로 설정하는 인권 담론에서 벗어난 위안부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방식의 논의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미국의 정치적 개입과 그 편파성을 강조하고 인권 개념의 현실적 작동방식을 읽어냄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이를 통해서 앞으로는 인권 개념이 오용되지 않는 방식의 운동을 전개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미국의 정치 및 사법체계를 활용하거나 미국을 대상으로 피해를 호소하는 방식의 운동에서 벗어나야 함을 논의하고자 했다.;According to United Nations, human rights are rights that ever human being deserves. The rights cannot be infringed upon or deprived of. This definition of human rights was developed after the Frist and the Second World War as well as the Cold War. Afterwards, international society has been trying to solve various kinds of human rights issue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concept of human rights.
Comfort women advocate movements have also utilized the concept of human rights. This strategy helped them get attention and help from international society, which also enables transnational solidarity movements. The recognition and solidarity the movements gained are truly meaningful.
However, the concept of human rights can bring unexpected consequences. Those who deny comfort women, mainly Japanese extreme right wingers, have also started using the concept, trying to prove their victimhood to the United States in international society.
This is because using the concept of human rights to the United States is useful. This usefulness comes from the premise that the United States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actors in comfort women discourse. Indeed, the United States has been involved in comfort women issue under the name of human rights issue. 2007 Human Rights Resolution for Comfort Women and the peace monuments built in many places in the country are great examples of such involvement.
The United States’involvement in comfort women issue has made the country at the center of the discourse, who has thepower to decide the eligibility of victimhood and the direction of the redress movements. This is because the more power the country exercises in terms of solving the comfort women issue, the more the movements rely on the country. This kind of dynamics enable the United States-centered human rights discourse where the country controls and manages the discussions.
By using the United States-centered human rights discourse, Japanese extreme right wingers tried to persuade the United States that Japan and its people are the actual victims of comfort women. To achieve the goal, the right wingers have argued that fabricated testimonies of comfort women have violated human rights of innocent Japanese, especially children who live in the United States. Here, the testimonies of victims are not important to the right wingers, because all they want is to be proved by the United States that they are the victims.
To weaken the right wingers’ strategy to portray Japan and its people as victims of human rights, comfort women advocate movements should move away from the United States-centered human rights discourse. Moving the United States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may be possible by emphasizing the politics and biases behind the country’s involvements. This kind of movement discourages regarding the United States’ political and legal systems as neutral tools to address the comfort women’s victimhood and realize justice. If the United States stands outside the center of human rights discourse of comfort women issue, the needs to prove oneself to the United States to be ‘the victim’ of comfort women issue will also fade away.
By doing so, the comfort women advocate movements can react to the Japanese extreme right wingers’ attempts to appropriate the human rights concept and discourse. This is possible by reading the intricate and realistic way of how human rights work. Human rights always work within particular political context based on who the actors are and how it is utilized, which is also the reason why the right wingers could have appropriated it.
However, the human rights concept allows hidden and silenced issues to be raised and solved. By pushing the United States away from the center of the discourse, the advocate movements may succeed in losing the necessity of the concept of human rights.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