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0 Download: 0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불확실성 이론 개발

Title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불확실성 이론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Theory of Uncertainty towards Contracting COVID-19 : Theory Derivation Based on Uncertainty in Illness Theory
Authors
강초록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양숙자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the Theory of Uncertainty towards Contracting COVID-19 using the strategy of theory derivation, based on Mishel’s Uncertainty in Illness Theory (UIT). The developed theory is middle-range theory targeting the general population, explaining how to cognitively process stimuli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contracting COVID-19 and construct meaning in these situations, and focusing on the individual-level experience of appraisal of and coping with the perceived uncertainty towards contracting COVID-19. The concept of uncertainty towards contracting COVID-19 was defined by redefining the UIT’s concept of uncertainty based on the specified contents of uncertainty towards contracting COVID-19. To classify the forms of uncertainty towards contracting COVID-19, the forms of uncertainty were conceptualized using the strategy of concept synthesis and redefined based on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uncertainty towards contracting COVID-19. Several steps were followed in the theory derivation based on the UIT. First, concepts that can be applied to explain the phenomenon related to uncertainty towards contracting COVID-19 were selected from the UIT. Second, the concepts selected from the UIT were redefined to explain the phenomenon related to uncertainty towards contracting COVID-19. Finall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edefined concepts were identified, and the structure of the derived theory was established. In addition,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perceived severity’ of the Health Belief Model and ‘value-affirmation’ of the Self-Affirmation Theory, were considered as the concepts of the derived theory. Uncertainty towards contracting COVID-19, the main concept of the derived theory, is a cognitive stat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meaning of situations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contracting COVID-19. The uncertainty was specifically defined as the inability to determine the meaning of ‘situations in which contracting COVID-19 occurs’ and ‘health-related situations that may result from contracting COVID-19’. The forms of uncertainty towards contracting COVID-19 were classified as inappropriate amount or content of information, ambiguity of the situation, and lack of scientific evidence, concerning situations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contracting COVID-19. The Theory of Uncertainty towards Contracting COVID-19 consists of a linear and unidirectional model centered on three themes: antecedents of the uncertainty, appraisal of the uncertainty, and coping with the uncertainty. The antecedent theme of the theory includes ‘stimuli frame’, ‘cognitive capacity’, and ‘structure providers’. The stimuli frame has three components, including ‘epidemic control pattern’, ‘situation familiarity’, and ‘situation congruence’, which provide the stimuli that are structured in a cognitive schema which creates less uncertainty. Cognitive capacity influences the three components of the stimuli frame. Structure providers include ‘trust in authorities’, ‘news media exposure’, and ‘health literacy’ as the available resources to assist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stimuli frame. Structure providers may reduce the state of the uncertainty,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Uncertainty towards contracting COVID-19 is appraised as a ‘threat’ or an ‘opportunity’ with the inference and illusion processes. The cognitive state of uncertainty towards contracting COVID-19 can be appraised as a threat through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perceived severity’ to contracting COVID-19 with an inference process. In the process of coping with a threat, ‘prevention behavior’, ‘information seeking’ and ‘body vigilance’ can be used as mobilizing strategies. When it is perceived that value for oneself is undermined by the prevention-related strategies, ‘value-affirming behavior’, ‘information avoidance’, and ‘situation vigilance’ can be used as mobilizing strategies. When the uncertainty is appraised as an opportunity, buffering strategies can be used to support the uncertainty. Affect-control strategies are taken to manage the emotional responses that occur during threat perception and coping processes. The effective affect-management helps the adaptive coping. When coping efforts are effective, negative physical and psychological outcomes can be alleviated or positive physical and psychological outcomes can occu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to examine the phenomenon related to uncertainty towards contracting pandemic disease centered on COVID-19 from a nursing perspective. The Theory of Uncertainty towards Contracting COVID-19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a detailed and comprehensive explanation for the phenomenon related to uncertainty towards contracting pandemic disease.;본 연구는 Mishel의 ‘질병의 불확실성 이론(Uncertainty in Illness Theory, UIT)’을 기반으로 한 이론유도를 통해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불확실성 이론’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이론은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하는 중범위이론으로, 코로나-19 감염의 발생과 관련된 상황에 대한 자극을 어떻게 인지적으로 처리하고 의미를 구성하는지를 설명하며, 인지된 불확실성을 평가하고 대처해가는 개인 수준의 경험에 초점을 맞춘다.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불확실성’ 개념을 정의하기 위하여,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불확실성 개념의 내용을 구체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UIT의 불확실성 개념을 재정의하였다. 또한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불확실성의 형태를 분류하기 위해, 개념합성 전략을 이용하여 불확실성의 형태를 개념화하고, 이를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불확실성 개념을 바탕으로 재정의하였다. UIT를 기반으로 한 ‘이론유도’를 수행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 UIT로부터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불확실성 관련 현상을 설명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개념을 선택하였다. 다음으로 관심현상 탐색을 위한 문헌고찰 과정에서 파악된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불확실성 관련 현상을 설명하는 주요 개념들을 고려하여 UIT로부터 선택한 개념들을 재정의하였다. 끝으로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불확실성 관련 현상을 설명하는 개념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론의 구조를 정립하였다. 특히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불확실성의 평가 및 대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건강신념모형의 구성요소인 ‘인지된 감수성’과 ‘인지된 심각성’, 자기가치확인이론의 ‘가치 확인’을 유도된 이론의 개념으로 고려하였다. 유도된 이론의 주요 개념인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불확실성’은, 코로나-19 감염의 발생과 관련된 상황의 의미를 판단하기 어려운 인지적 상태로, 구체적으로 ‘코로나-19가 발생하는 상황’ 및 ‘코로나-19 감염 시 초래될 수 있는 건강 관련 상황’의 의미를 판단할 수 없는 것으로 정의되었다. 또한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불확실성의 형태는, 코로나-19 감염의 발생과 관련된 상황에 대한 ⓐ정보의 양 또는 내용이 부적절함, ⓑ상황이 모호함, ⓒ과학적 근거가 부족함으로 분류되었다.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불확실성 이론은 세 가지 주제인 ①불확실성의 선행요인, ②불확실성의 평가, ③불확실성에 대한 대처를 중심으로 한 선형적이며 일방향적인 모형으로 구성된다.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불확실성의 선행요인은 ‘자극 틀’, ‘인지능력’, ‘구조 제공자’를 포함한다. 자극 틀은 세 가지 구성요소인 ‘유행 통제 양상’, ‘상황 친숙성’, ‘상황 적합성’을 포함하며, 인지적 도식을 구성함으로써 불확실성 상태를 낮출 수 있다. 인지능력은 자극 틀의 형성을 지원할 수 있다. 구조 제공자는 ‘정부에 대한 신뢰’, ‘뉴스 미디어 노출’, ‘건강문해력’을 포함하며, 코로나-19 감염의 발생과 관련된 상황을 해석하는 것을 도움으로써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불확실성을 직접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자극 틀을 형성하는 것을 도움으로써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불확실성을 간접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불확실성은 추론 및 착각을 통해 ‘위협’ 및 ‘기회’로 평가될 수 있다.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불확실성의 인지적 상태는 추론 과정을 거쳐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인지된 감수성’과 ‘인지된 심각성’을 통해 ‘위협’으로 평가될 수 있다. 위협에 대한 대처 과정에서 ‘예방 행동’, ‘정보 탐색’, ‘신체 경계’가 동원 전략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예방 관련 전략이 수행됨으로써 자신의 가치가 훼손된다고 인지되는 경우, ‘가치 확인 행동’, ‘정보 회피’, ‘상황 경계’가 동원 전략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불확실성이 착각을 통해 기회로 평가된 경우에는 대처를 위해 완충 전략이 취해질 수 있다. 위협 인지 및 대처 과정에서 발생하는 감정 반응을 관리하기 위해 ‘정서 관리 전략’이 취해지며, 효과적인 정서 관리를 통해 적응적 대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대처 노력이 효과적일 때 부정적인 신체 및 심리적 결과가 완화되거나 긍정적인 신체 및 심리적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를 중심으로 범유행 질병 감염에 대한 불확실성 관련 현상을 간호학적으로 살펴본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불확실성 이론은, 코로나-19로 대표되는 범유행 질병의 감염에 대한 불확실성 관련 현상에 대하여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개인이 인지하는 불확실성을 관리하고 이들의 건강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