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1 Download: 0

간호사의 투약근접오류 보고 체험

Title
간호사의 투약근접오류 보고 체험
Other Titles
Nurses’ Experience of Reporting Near Misses in Medication Administration
Authors
정현선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옥수
Abstract
투약근접오류는 다양한 장애요인으로 인해 과소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간호사가 투약근접오류를 보고하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간호사의 투약근접오류 보고 체험을 탐색함으로써 그 경험의 의미와 본질적인 의미구조를 밝히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투약근접오류를 보고한 경험이 있는 11명의 간호사이다. 자료 수집은 2021년 5월부터 9월까지 2~3회의 대면 또는 비대면 일대일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가 포화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체험연구 방법에 근거하여 시행하였으며, 총 13개의 하위구성요소와 6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 간호사의 투약근접오류 보고 체험은 ‘보고 기준이 비일관적으로 적용되어 부당함을 느낌’, ‘동료와의 관계가 의식되어 갈등함’, ‘실수가 공개되어 위축됨’, ‘부서 내 다단계 보고 과정으로 부담이 커짐’, ‘동료들에게 피해를 끼치게 되어 미안함’, ‘보고 과정을 통해 투약 간호에 대한 각성이 일어남’이다.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파악한 간호사의 투약근접오류 보고 체험의 일반적인 구조는 보고 체계가 부담스럽고 부당하다고 느꼈고, 보고 과정 동안 동료와의 관계를 의식해 갈등하고 위축되며 미안함을 느꼈으며, 보고 과정을 돌아보니 투약 간호에 대한 각성이 일어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첫째, 간호사들은 보고 체계와 관련하여 보고 기준이 비일관적으로 적용되어 부당하다고 느꼈으며 부서 내에서 거쳐야 하는 다단계 보고 과정에 대해 부담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명확한 보고 기준을 마련할 것과 안전한 투약의 책임을 공유하기 위한 구성원 모두의 의식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보고 과정을 단순화하고 투약근접오류와 관련된 개선안을 논의할 때 구성원 모두의 참여를 통해 합의된 개선안을 도출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간호사는 투약근접오류 보고 과정에서 동료와의 친분 또는 위계 관계를 의식해 갈등하거나 위축되었고, 동료에게 미안함을 느꼈다. 따라서 위계적인 조직 문화 속에서 투약근접오류를 보고해야 하는 간호사들에 대해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고, 주기적인 부서 모임 등을 활용하여 간호사들이 투약 안전에 대해 개방적으로 의사소통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함으로써 신뢰 관계를 쌓을 수 있도록 독려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보고 과정을 돌아보니 간호사들은 투약근접오류 보고를 통해 투약 간호의 원칙을 더욱 철저하게 지키게 되었고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탐색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따라서 간호사들이 투약근접오류 보고를 통해 경험한 투약 간호에 대한 각성과 긍정적인 개선 경험이 투약근접오류 보고 의도를 높이는 동기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내 환자안전 보고학습 시스템이 마련되고 자율보고를 독려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임상 현장에서 투약근접오류를 보고하는 간호사가 어떤 경험을 하는지 이해를 돕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Nurses experience various reporting barriers, which leads to underreporting of near mis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ow nurses report near misses and their experiences with reporting. This study employed a qualitative design to explore the meaning and nature of nurse’s reporting experiences of near misses. The participants were 11 nurses who had experience reporting near misses verbally or in writing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patient safety accident and reporting procedure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y to September 2021 using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method by Giorgi, and 13 sub-constituents and six constituent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study, nurse experiences of reporting near misses in medication administration were ‘unfair due to inconsistent application of reporting standards,’ ‘inner conflict over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discouragement caused by disclosure of mistakes,’ ‘increased burden of the multi-step reporting process,’ ‘apologetic for causing trouble for colleagues,’ and ‘education of medication management through the reporting process.’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nurse's experience of reporting near misses in medication administration is as follows: nurses felt that the reporting system was burdensome and unfair; nurses felt conflicted, withdrawn, and apologetic in their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during the reporting process, and nurses felt that the reporting process was increasing their awareness of medication in nursing. This study revealed that nurses thought the reporting standards were unfair and being applied inconsistently. In addition, the multi-step reporting process caused burd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lear reporting standards and to improve the attitudes of all members to share the responsibility of safe medication dispersal.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implify the reporting process and derive an improvement plan through participation of all medical staff. Second, nurses were conscious of their close or hierarchical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in the process of reporting near misses and often felt conflicted or withdrawn and apologetic toward their colleagues. Therefore, in a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emotion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nurses when reporting near misses, and regular department meetings can provide opportunities for nurses to openly communicate about medication safety. Nurses also must be encouraged to build workplace relationships. Third, nurses better adhered to the principles of medication nursing when reporting near misses, and it was an opportunity to explore specific improvement plans. Therefore, awareness and positive experiences of nursing care during reporting of near misses can motivate nurses to increase their intention to report.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patient safety reporting and a learning system are in place and autonomous reporting is encourag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help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nurses who report near misses in medication administr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