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8 Download: 0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의 지속성 측정도구 개발

Title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의 지속성 측정도구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ntinuity of Home Health Care Scale
Authors
김지연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양숙자
Abstract
The “continuity of home health care” is a multidimensional concept related to the role of home-visiting nurses, which encompasses timeliness, coordination, and the linkage of services perceived by individual patients through comprehensive organization and the integrated provision of services based on the needs of patients. Therefore, the continuity of home health care is an essential element for ensuring quality service for elderly patients, who live at home and have complex medical and social care needs, due to physical frailty.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and test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continuity of home health care scale (CHHCS) for elderly Korean patients. The initial item pool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concept analysis according to the conceptual framework suggested by Haggerty et al. (2003). The concept of home health care continuity was analyzed us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n-depth interviews. The item-level content validity of this scale was confirmed via the assessment of five experts.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applying the initial items to the respondents. In the scale validation stage, item-scale correlation and inter-item correlation were used to assess internal consistency. Parallel Analysis (PA)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for the continuity of home health care. Known group validity was assessed by comparing continuity of home health care scores between patients grouped using ANOVA and patients grouped using t-test analysis. Concurrent validity was assessed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veloped CHHCS an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visiting nurse services” scale (Byeon, 2012).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d split-half method were used to determine the scale’s internal consistency. As part of the concept development, a review of 37 studie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ttribute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home health care continuity. Next, 13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home health care clients (three patients and two family caregivers) and five providers (four chief executive operators of visiting nursing centers and one registered nurse). These interviews were followed with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31 items were initially generated using the results of this conceptual analysis, then revised following an examination of content validity by experts and the preliminary survey, resulting in a provisional scale comprising 31 items and nine factors: “customized care plan”, “care coordination”, “service availability”, “consistency in service provision”, “appropriate knowledge and skills”, “patient-provider communication”, “provider-provider communication”, “longitudinal care”, and “therapeutic relationship”. A refined version of 31 items on a five-point Likert scale was tested in the main survey conducted in 2021 using a sample of 202 home health care clients (93 patients and 109 family caregivers). As a result of the item analysis, five items were deleted. Parallel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five factors from 26 items. The resulting EFA suggested five factors: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linkage and coordination of care, service availability, customized care plan, and consistency in service provision. Consequently, five of the 26 items were deleted due to the low theoretical relevance to each factor. In addition, known group validity was satisfactory for the scale of home health care continuity.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new developed CHHCS an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visiting nurse services scale (Byeon, 2013) was indicative of satisfactory concurrent validity.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developed scale was .959 (using Cronbach's alpha), which demonstrates strong internal consistency. The developed scale was found to be reliable and relatively valid for measuring the patient’s perceived continuity of home health care within the Korean long-term care system. This scale may be us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home health care and identify the roles of home visiting nurses, which must be reinforced.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의 지속성은 이용자 욕구에 기반한 서비스의 포괄적인 조직과 통합적 제공에 의해 이용자 개별 단위에서 경험되는 서비스의 적시성과 조정 및 연계 등 방문간호사의 역할과 관련한 다차원적인 개념이다. 이는 만성질환 관리의 질 보장을 위한 필수요건으로, 서비스 분절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병원 입원과 요양시설 입소 등을 방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의 지속성 개념을 규명하고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Haggerty et al. (2003)의 개념적 기틀에 따라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의 지속성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도구개발 단계에서는 선행연구 고찰과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 이용자와 제공자 심층면접을 통해 개념을 규명하여 초기문항을 작성하였으며, 이는 전문가 내용타당도 조사와 예비조사를 거쳐 수정되었다. 도구 검증 단계에서는 본조사에서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여 문항분석과 구성타당도, 집단비교,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도구개발 단계에서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의 지속성 주제를 다룬 37편의 국내외 선행연구 고찰과 국내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 이용자(이용자 3명, 주 가족돌봄제공자 2명)와 방문간호 제공자(기관장 4명, 실무자 1명) 대상의 심층면접을 실시한 결과, 9개의 구성요인(‘맞춤형 케어 계획’, ‘케어 조정’, ‘케어의 가용성’, ‘케어 제공의 일관성’, ‘적절한 지식과 기술’, ‘이용자-제공자 의사소통’, ‘제공자-제공자 의사소통’, ‘종적 케어’, ‘치료적 관계’)을 도출하였고, 규명한 개념에 기반하여 초기문항 31개를 개발하였다. 이에 대한 전문가 내용타당도 조사 결과, 초기문항 2개를 제거하고, 신규 문항 2개를 추가하였다. 이후 20명의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 이용자(이용자 6명, 주 가족돌봄제공자 14명) 대상 사전조사를 거쳐 31개의 문항이 본 조사용 도구로 확정되었다. 도구검증 단계에서는 202명의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 이용자(이용자 93명, 주 가족돌봄제공자 109명)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문항분석 단계에서 문항별 기술통계와 문항-차원 총점 간과 문항-전체 총점 간의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문항간 상관관계 분석 과정을 거쳐 5개 문항을 제거하고 26개 문항을 도출하였다.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의 구성요인과 26개의 문항이 도출되었다. 요인별로 분류된 문항을 검토하여 연구의 개념적 기틀에 의해 해당 구성요인을 설명하기 어려운 4개의 문항을 제거하고, 22개의 문항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다시 실시하였다. 그 결과, 3개의 차원(‘관리의 지속성’, ‘정보의 지속성’, ‘관계의 지속성’)과 5개의 구성요인(‘치료적 관계와 의사소통’, ‘케어 조정과 연계’, ‘케어의 가용성’, ‘맞춤형 케어 계획’, ‘케어 제공의 일관성’)을 도출하였고, 도구의 설명력은 68.22%이었다. 집단 타당성은 방문간호 이용 정도(최근 1개월간 이용 횟수와 1회당 평균 이용 시간)에 따라 집단을 나누어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의 지속성 평균 점수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최근 1개월간 방문간호 이용 횟수와 시간이 각각 많은 군일수록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의 지속성 정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집단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준거타당도 검정을 위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와 방문간호의 중요도와 성과도 측정도구(변도화, 2012)와의 총점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 준거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또한 도구 전체의 Cronbach’s α=.959로 도구의 내적 일관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최종 개발된 도구는 Continuity of Home Health Care Scale (CHHCS)로 명명하였다. 본 도구는 3개의 차원과 5개의 요인, 22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Likert 척도로 응답한다. 본 연구는 이용자 관점에서 인식하는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의 지속성의 다차원적인 개념 요인을 규명하여 측정도구를 개발하였으며,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에 본 도구를 통해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의 지속성 향상을 위해 이용자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방문간호사의 역할에 대한 확인이 가능함에 따라 이들의 건강욕구와 기대에 부합되는 방문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데에 의의를 갖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