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2 Download: 0

외국인 프로 축구 선수 대상 한국어 교육을 위한 요구 분석

Title
외국인 프로 축구 선수 대상 한국어 교육을 위한 요구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ne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players through professional football
Authors
박혜정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necessity and demand of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lan for foreign professional soccer players. Specialized Korean education aimed at a variety of people is an actively discussed topic. Foreign professional athletes make up one of the target groups, as they also need specialized Korean education. However,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se people is still insufficient. Foreign professional athletes are important human resources for the sports industry and their number as workers is gradually increasing. They work under good conditions for a high income, as they contribute immensely to the team's victories, popularity as well as box office succ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question of whether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ecessary for foreign professional athletes, and if that is the case, how the education should be realized. Hence, in the first chapter,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were explained.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about occupational purpose Korean education as well as studies about foreign professional athletes was examined one by one. Furthermore, a research question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was developed while looking at the current management of foreign professional athletes. In the second chapter,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examined. First, the general idea and different branches of occupational purpose Korean were examined. It was identified which branch of Korea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athletes belonged to and its characteristics. Next, research about Korean education was academically reviewed and a definition, method, and procedure for the requirement analysis was established. In the third chapter, the research method was described. First, the research procedure was presented in detail. Then,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procedure of the data collection and tools used, and the data analysis method were described. In the fourth chapter, the research results were presented. First, the results gained by surveying each team's foreign athletes, Korean athletes, and the coaching staff about the study's first question: the current situation and necess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out that there was almost no implementation of direct Korean language education aimed at foreign athletes or support for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inside or outside the team, and there were only a few foreign athletes who were actually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But in the respective teams, mostly Korean was used during activity times and the communication with foreign athletes was dependant on one interpreter. It also became clear that improving Korean language skills would prove helpful for the teams' activities an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ecessary. Next, regarding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s second question about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 were many demands for repeated one-on-one classes with professional instructors two to five times a week for twenty minutes each. The class contents should mainly include the listening comprehension of soccer vocabulary and conversations. Also, the foreign athletes did not have the opportunity to study Korean and were not very eager about the idea of learning it because an interpreter helped them. Still, they expressed the clear intention to participate if there should be opportunities and suppor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fifth chapter, this paper's results were summarized and the study was completed by pointing out its meaning, limitations, and suggestions. The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deals with the insuffici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athletes. Various opinions of participating members of all teams in the K League 1 were collected. However, a suggestion to continue conducting related research was made, as an analogous study couldn't be executed for all of the items, a concrete education plan could not be presented and interviews could not be conducted as part of the survey.;본 연구는 외국인 프로 축구 선수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과 방안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 연구는 다양한 이들을 대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외국인 프로 스포츠 선수도 특수한 목적으로 한국어 교육이 필요한 대상이다. 하지만 이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는 아직 미진한 상황이다. 외국인 프로 스포츠 선수는 스포츠 산업의 중요 자원이자 노동자로 그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외국인 프로 스포츠 선수에게 한국어 교육이 필요한지, 필요하다면 한국어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지금까지 이루어진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에 관련된 선행 연구와 외국인 프로 스포츠 선수에 관한 선행 연구를 차례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외국인 프로 스포츠 선수 운영 현황을 참고하여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관해 살펴보았다. 먼저 직업 목적 한국어의 개념과 종류를 살펴보고, 외국인 선수 대상 한국어 교육은 그 가운데 어느 갈래에 속하며, 특성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이후 한국어 교육을 위한 요구 분석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여 요구 분석의 정의와 방법, 절차에 대해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관해 기술하였다. 먼저 연구 절차에 대해 자세히 제시하고, 연구 참여자, 자료 수집 도구 및 절차, 자료 분석 방법에 관해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기술하였다. 먼저 연구 문제 1번인 한국어 교육 현황과 필요성에 대해 각 구단의 외국인 선수, 한국인 선수, 코칭스태프의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외국인 선수를 위한 직접적인 한국어 교육이나 한국어 학습을 위한 지원은 구단 내외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선수도 매우 적었다. 하지만 각 구단은 대부분의 활동 시간에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었고, 외국인 선수와 소통은 한 명의 통역사에게 의존하고 있었다. 그리고 구단 활동에 한국어 능력 향상이 도움이 되며, 한국어 교육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서 연구 문제 2번인 한국어 교육 방향에 관한 분석 결과는 한국어 전문강사와 1:1 수업 방식으로 주 2~5회 약 20분의 짧은 반복 학습을 하는 것의 요구가 많았다. 교육내용은 축구 관련 어휘와 회화를 듣고 이해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국인 선수는 그동안 한국어를 학습할 기회가 없었고 통역의 도움이 있어 학습에 적극적이지 않았지만, 한국어 교육 기회와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이에 대한 참여 의사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제언을 밝혔다. 본 연구는 그동안 미비했던 외국인 선수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라는 점, K리그 1의 전 구단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타 종목에 관한 유사 연구를 하지 못한 점, 교육 방안을 구체화하지 못했다는 점, 조사 방법에서 면담을 진행하지 못한 점에서 관련 연구가 이어지길 제안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