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7 Download: 0

대도시 지역주민의 문제음주 관련 개인 및 환경 요인 분석

Title
대도시 지역주민의 문제음주 관련 개인 및 환경 요인 분석
Other Titles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Problem Drinking among Adults in a Metropolitan City :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s
Authors
최새결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보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혜경
Abstract
Drinking is a health issue that can cause not only personal physical and mental problems, but also social problems. Although problem drinking has a variety of negative consequences for our society and can increase social costs, the incidence of problem drinking in Korea, as measured by monthly drinking rates, monthly binge drinking rates, and high-risk drinking rates, is not reducing.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problem drinking and to evaluate possible interventions. Not only individual-level factors, but also social and environmental-level factors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 drinking behavior. In the case of study conducted in Korea, however, it is a situation in which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only examined individually. Previous studies and an integrated behavioral model show that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 th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factors and health behavior as a third variable, but studies that performed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problem drinking are insufficient.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factors on problem drinking, as well as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s in this relationship.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800 adults in Seoul and used a total of 800 copies of the collected data for analysis. Research tools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drinking,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s, and drinking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from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moderated regression using SPSS 27.0 and SPSS PROCESS Macro.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ender, age, final educational attainment, marital status, occupation, and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were all factors that affected the research subjects' problem drinking. Subjects who were a men, aged 60 or older, as well as those who were not married, had a bereavement or got divorced had a high level of problem drinking. In addition, subjects who were housewives, students, or unemployed, had a final educational attainment below middle school graduation or low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less than 2 million won had a low level of problem drinking.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differed in problem drinking according to depression level and smoking status. Subjects belonging to major depressive disorders had higher levels of problem drinking, and current and past smokers had higher levels of problem drinking than non-smokers who did not smoke in their lifetime. Secon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blem drinking and positive drinking expectancies, acceptable drinking norms, and social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health-relate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blem drinking. Third, when 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were controlled, positive drinking expectancies had a positive (+) effect on problem drinking, and health-relate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howed a buffering effect. Acceptable drinking norms also had a positive (+) effect on problem drinking, and social activity showed a synergistic effect. Fourth, acceptable drinking norms also had a positive (+) effect on problem drinking, and social activity showed a synergistic effect in both men and women when analyzed independently. Last but not least, this study suggest as follows for the future studies and applications. First, there is a need to recruit people from a wider area that can reflect regional differences. Second,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self-reporting online survey. As a result, the understanding of the questionnaire items and the reliability and fidelity of the responses may be poor. As a result, it is suggested that in future studies, the universality of research findings should be reinforced through a way of determining response results that ensure reliability and fidelity. Third,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situation of COVID-19. Since changes in drinking behavior are expected after the end of COVID-19, further research is needed at that time. Fourth, the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 of this study was collected based on individual perception, not objective data. It is expected that in future studies,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might be further enhanced by analyzing objective data provided by the local community.;음주는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문제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까지 야기할 수 있는 보건 문제이다. 문제음주는 우리 사회에 다방면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음에도 우리나라의 월간음주율 및 월간 폭음률, 고위험음주율과 같은 문제음주 발생률은 여전히 감소 추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이 요구된다. 음주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개인 수준의 요인뿐만 아니라 사회·환경 수준의 요인까지 함께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구의 경우, 개인 요인과 환경 요인을 별도로 분석하는 것에서 그치는 실정이다. 선행 연구 및 이론에 따르면 환경 요인이 개인 요인과 건강행동 간의 관계에서 제 3의 변수로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하고 있으나, 문제음주의 관점에서 이를 수행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개인의 심리적 요인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관계에서 사회물리적 환경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80세 미만의 성인 80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총 80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관련 특성, 음주에 관한 심리적 요인, 사회물리적 환경, 음주의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과 SPSS PROCESS Macro를 통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조절회귀분석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문제음주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 연령, 최종 학력, 혼인 상태, 직업, 월 평균 가구소득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성, 만 60세 이상, 사별·이혼 등의 혼인 상태가 아닌 대상자의 문제음주 수준이 높았다. 또한 중학교 졸업 이하의 학력 수준, 주부나 학생, 또는 무직, 월 평균 가구소득이 200만원 이하인 대상자에서 문제음주 수준이 낮았다. 건강 관련 특성으로는 우울 수준과 흡연 상태에 따라 문제음주에 차이가 있었다. 주요우울장애에 속하는 대상자가 문제음주 수준이 높았으며, 현재 금연한 과거 흡연자와 현재 흡연자는 평생 흡연 경험이 없는 비대상자보다, 현재 흡연자는 현재 금연한 과거 흡연자보다 문제 음주 수준이 높았다. 둘째, 음주에 관한 심리적 요인 중 긍정적 결과 기대와 허용적 음주 규범, 사회물리적 환경 중 사회적 활동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반면, 사회물리적 환경 중 건강 관련 환경 특성은 문제음주와 부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 관련 특성을 통제하였을 때, 긍정적 음주 결과 기대는 문제음주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긍정적 음주 결과 기대와 건강 관련 환경 특성의 상호작용 항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완충효과를 보였다. 허용적 음주 규범 또한 문제음주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허용적 음주 규범과 사회적 활동의 상호작용 항 또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강화효과를 보였다. 넷째, 성별을 구분하여 음주에 관한 심리적 요인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물리적 환경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을 때, 남녀 모두 허용적 음주 규범이 문제음주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허용적 음주 규범과 사회적 활동의 상호작용 항 또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강화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고려하여 본 연구의 적용 및 후속 연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본 연구 모집단은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성인으로 제한되어 지역적 차이가 반영되지 못하였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모집단의 확장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둘째, 본 연구는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조사로 진행되어 설문 항목에 대한 이해도와 응답의 신뢰성 및 충실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신뢰성과 충실도가 보장된 응답 결과의 도출 방안을 통해 연구 결과의 보편성을 강화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상황 하에 이루어졌다. 추후 COVID-19의 종식 이후에는 음주 행태의 변화가 예상되므로, 이에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본 연구의 사회물리적 환경은 객관적인 자료가 아닌 개인의 인지에 기반 하여 수집되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지역사회가 제공하는 객관적 자료의 분석을 통해 결과의 신뢰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보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