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6 Download: 0

The Effects of Gender Difference on Suicidal Intent and Methods

Title
The Effects of Gender Difference on Suicidal Intent and Methods
Authors
김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덕희
Abstract
Background: Gender paradox is a phenomenon in which more women attempt suicide but more men died by suicide. We proposed that this paradox arises from the inconsistency between suicidal intent and the chosen method. When a patient’s suicidal intent is consistent with the chosen method, this paradox would disappear. Method: Suicide attempt patients’ medical records and phone interviews were collected by Korea Suicide Prevention Center (KSPC). A total of 1,269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suicidality as 1) severe, 2) moderate, and 3) mild, and looked into their suicide behaviors. Results: Men (37.8%) and women (31.3%) used fatal methods in the severe group. In contrast, women (74.3%) chose a drug poisoning more than hanging (1.0%) or pesticide poisoning (3.9%) in the moderate group.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choice of lethal methods, such as hanging (p = 0.189) and pesticide poisoning (p = 0.143) showed no difference in the severe group. Conclusion: We found an absence of the gender paradox in the severe group, but a persistent paradox in the other groups. These findings led us to conclude that the gender paradox may not be the result of cultural bias regarding masculinity and femininity.;Gender paradox (성의 역설)는 여성이 자살을 많이 시도하지만, 사망자는 적은 반면, 남성은 시도를 적게 하고 자살에 의한 사망자가 많음을 일컫는다. 이 현상에 대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현재로는 문화적 원인에 의한 여성성 (femininity)과 남성성 (masculinity) 인식에 의해 이 현상이 초래된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이 이론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gender paradox 가 제한적인 현상임을 밝히려 한다. 즉, gender paradox는 자살 의도와 그 방법 선택 간의 비일관성 때문에 초래된 것으로 보고 환자가 자신의 자살 의도에 맞는 치명적인 방법을 택할 때 이 현상이 사라지는 여부를 밝히려 한다. 2017년 3월부터 2020년 5월까지 중앙자살예방센터 (Korea Suicide Prevention Center, KSPC) 주관하, 응급실에 내원하는 자살 시도자의 재시도 예방을 위한 사후 관리 사업의 일환으로 수집된 사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살 시도자의 나이, 직업, 혼인 상태, 그리고 학력을 성별에 따라 분석하였다. 자살 시도와 관련된 특징으로 성별에 따라 자살 시도 장소, 방법, 의학적 치명도, 자살 경향성 (suicidality, 심각한 집단/중간 집단/약한 집단), 자살 시도 동기, 음주 유무, 과거 시도 유무, 자살 시도에 대한 의학적 결과와 함께 환자의 사후 관리 동의 여부를 분석하였다. 총 1,269 사례를 모았으며, 자살 경향성이 가장 심각한 집단 (정말로 죽으려고 했으며, 그럴 만한 방법을 택함)에서 남성의 37.8%, 여성의 31.3%가 치명적인 방법을 택했다. 중간 집단(죽고 싶은 마음은 있었으나, 실제 죽을 수 있다는 방법이 아니라는 것은 알고 있는)에서 74.3%의 여성이 약물 음독을 택하였다. 이 결과는 같은 집단에서 1.0%의 여성이 목을 매거나 3.9%의 여성이 살충제를 사용하는 것과는 달랐다. 카이 제곱 검증을 사용하여 자살 경향성의 세 집단에서 성별과 자살 방법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심각한 집단이 목맴 (p=0.189)과 살충제 사용 (p=0.143)에서 남녀간의 차이가 없었다. 즉, 자살 의도와 방법이 일치하는 강한 자살 경향성을 나타낼 때에 남성과 여성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gender paradox가 문화적인 현상이라는 주장이 제한적임을 밝혔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자살 재시도자들의 자살 의도와 선택한 방법에 따라 차별적인 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