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1 Download: 0

학생의 시민의식 변화궤적과 영향요인 분석

Title
학생의 시민의식 변화궤적과 영향요인 분석
Other Titles
A Longitudinal analysis on the Development of Citizenship of Students : Focusing on the Latent Growth Modeling and Growth Mixed Model
Authors
김현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자유 민주주의는 보편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정치체제 유형이기 때문에 냉전의 종식이 곧 역사의 종언으로 해석하기도 한다(Fukuyama, 1989). 민주주의는 1990년대 이후 세계적으로 지배적인 정치체제가 되었다. 이에 학교 교육은 모든 국민에게 민주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함으로써 국민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민주국가의 발전을 실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민주주의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회 구성원의 시민의식 수준인데 시민의식은 유전적인 특성이라기보다 교육과 경험으로 성장해나가는 개념으로 학생은 유의미한 또래와 다양한 상호작용 및 적응을 통하여 시민의식을 획득해간다. 시민의식은 한 시기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인생의 과정에서 변화하고 성장하는 개념이다. 특히 청소년기는 시민의식을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에 이러한 청소년기인 학생들의 시민의식 종단 변화 정도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은 추후 학생들의 바람직한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교육적 개입과 교육 정책 입안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 번째로 시민의식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를 확인하고 학생의 변화궤적 잠재프로파일의 예측변수로 어떠한 개인·가정·학교생활 특성 변인이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ing: GMM)을 활용하였다. 두 번째로 시민의식 변화궤적 잠재프로파일별로 학생의 개인·가정·학교생활 특성이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확인하여 각 잠재프로파일의 특징을 심층적으로 분석해보고자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ing: LG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학생이 아닌 변화궤적 유형별로 학생들의 시민의식 외의 특성들이 어떻게 변화해가는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의 시민의식에 관한 다수의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시민의식 변화궤적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분석 자료는 경기종단연구(GEPS)의 1차년도~7차년도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경기종단연구에서 조사된 시민의식 변수는 인지적 시민의식, 정서·행동적 시민의식을 포괄하여 있는 변수로 본 연구의 종속변수로 활용하였다.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생의 개인 특성 변인, 가정 특성 변인과 학교생활 특성 변인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시민의식 변화궤적이 몇 개의 잠재프로파일로 분류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잠재성장혼합모형 분석한 결과, 가장 적합한 잠재프로파일의 수는 3개로 나타났다. 분석된 학생의 시민의식 변화궤적 잠재프로파일은 세 집단으로 도출되었다. 우선 전체 학생의 6.1%를 차지하고 초기치가 높았으나 점차 시민의식 수준이 감소하는 집단을 ‘감소형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전체 학생의 6.6%를 차지하고 초기치가 낮았으나 지속적으로 시민의식 수준이 증가하는 집단은 ‘증가형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전체의 88.2%를 차지하고 초기치가 높고 계속 유지하는 집단은 ‘고수준 유지형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어떠한 특성이 각 시민의식 변화궤적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이는지 예측 변수를 찾았다. 감소형 집단을 준거집단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고수준 유지형 집단의 예측 변수로는 성별, 자아존중감, 독서활동, 봉사경험, 인권침해 인식 수준으로 나타났다. 성별이 여학생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독서활동을 많이 할수록, 봉사경험이 많을수록, 인권침해를 받았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낮을수록 감소형 집단보다는 고수준 유지형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컸다. 증가형 집단의 예측변수로는 봉사경험, 인권침해 인식으로 나타났다. 봉사경험이 많을수록, 인권침해 인식 정도가 낮을수록 감소형 집단보다는 증가형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컸다. 셋째,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시민의식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요인이 감소집단에서는 줄어들고, 증가집단, 고수준 유지집단에서는 대부분 증가하였다. 3개 잠재프로파일(감소형, 증가형, 고수준 유지형)의 주요 변인별로 초기치와 변화율의 모수 추정치를 분석한 결과, 감소형 집단의 학생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아존중감, 독서활동 정도, 봉사활동 경험, 부모의 감독적 양육태도, 부모의 합리적 양육태도,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 학업성취도가 낮아지고 있었다. 반면 인권침해 인식 정도는 높아지고 있었고, 부모와의 애착 정도는 다른 집단들은 높아진 반면 감소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지지 않았다. 증가형 집단의 학생들은 자아존중감, 부모와의 애착,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 학업성취도가 높아지고 인권침해 인식 정도, 차별 정도는 낮아지고 있었다. 고수준 유지형 집단의 학생들은 부모와의 애착, 학업성취도는 높아지고 있었고, 차별 경험은 낮아지고 있었다. 기타 다른 긍정적인 변인들은 다소 낮아지고 있었으나 감소형 집단보다 소폭 낮아졌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은 시민의식 성장유형 집단별로 도출한 시사점과 연구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도출한 시사점 두 가지로 나뉜다. 우선 시민의식 성장유형 집단 분류 결과를 토대로 한 시사점은 세 가지이다. 첫째, 시민의식 수준이 감소하고 있는 청소년들을 위한 지원이 더욱 필요하다. 감소형 집단의 학생들은 자신을 더욱 공감해주고 긴밀하게 상호작용하여 사회적 관계 맺기와 더불어 학교 적응, 시민의식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멘토가 필요하다. 둘째, 시민의식 수준이 증가하는 청소년들이 있기에 초기 청소년 시기에 시민의식 수준이 낮더라도 지속적인 관심과 교육을 통해 시민의식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시민의식 수준이 낮은 학생들을 위한 교육적 개입으로는 우선 학교에서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좋아질 수 있도록 사회적 기술을 교육하고, 학생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상담 지원,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학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 셋째, 시민의식 수준이 고수준을 유지하는 청소년들이 대부분이다. 고수준 유지형 집단이 증가형 집단과 마찬가지로 더욱 시민의식 수준을 높아지기 위해서는 독서활동을 증진시키고, 학교 안에서 학생참여 수업방식의 비중을 높이며, 사회적 관계 맺기를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사회성 발달에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또한, 학교 내에서 인권침해를 하지 않는 민주적 학교 풍토 조성에 힘써야 한다. 다음으로 연구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도출한 시사점 다섯 가지이다. 첫째, 청소년의 시민의식 발달을 위하여 가정의 정서적 지원 및 돌봄 기능의 회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부모교육에 대한 법제화와 더불어 정책적 차원에서 예산을 확보하여 부모들에게 접근성이 좋으면서 양육 관련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홍보가 필요하다. 둘째, 시민의식은 사회성과 큰 관계가 있으므로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따라서 각 학교의 전문 상담 교사의 배치와 집단 상담 지원이 필요하고, 사회성 발달과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및 자료집 개발, 교사 연수를 통해 실효성 있는 시민의식 함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교사의 시민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현직 교사를 위해서는 기존 정책에서 제시하는 일방적인 연수보다는 연수에 부담을 느끼는 교사들을 위해 시민교육을 위한 자기 연수용 자료집 및 학생들과의 시민교육을 위한 자료집을 개발하여 배부해야 한다. 또한, 교사가 수업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 도구(동영상 제작, 토의 토론 주제 중심의 자료집 등)를 개발 및 배포하여 시민교육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이처럼 교사들이 시민교육을 시작할 수 있게 도움을 준다면 더 많은 현직 교사들이 시민교육 역량 강화에 관심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예비 교원의 시민교육 역량 강화를 위해서 교원양성기관의 역할도 중요하다. 교원양성기관은 예비 교원의 시민성 및 시민교육 교수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과정 전반을 시민교육 중심으로 편성하고 운영을 시도를 더욱 확대해야 한다. 그리고 추후 그 성과를 교원양성기관의 역량진단에 포함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예비 교원들이 교직에 나아가서 시민교육에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점검할 수 있고 시민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선에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넷째, 학생들의 시민의식 발달을 위해 학교의 민주적 문화 풍토 형성이 필요하다. 시민의식이 감소하는 학생들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학교에서 인권침해가 있다고 생각하는 정도가 계속 증가하였고, 차별을 경험했다는 정도가 계속 증가하였다. 따라서 학생을 포함한 학교 구성원이 다양한 규모로 주기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시·공간적 여건을 확보하고, 학생자치회의 역할 강화 등을 통해 학교의 민주적 문화 풍토를 확산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시민교육 중심 교육과정 활성화가 필요하다. 체계적인 교과 교육과정과 안정적인 시수 확보를 위해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학교 교육의 목적으로서 시민교육의 중요성을 명시하고 모든 교과 교육과정과 창의적 체험활동에 시민교육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과정 개정과 더불어 논쟁점이 있는 사회 문제들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함께 개발하여 배포하면 현장에서의 시민교육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의 국가 교육과정에서는 시민의식 함양을 위해 학생들이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내용 추가와 더불어 대강화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학교 현장에서는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학생들에게 일상적으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이것이 인권 교육이나 시민교육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이러한 다양한 활동들은 학생들에게 타인의 다름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이는 민주적이고 포용적인 학교 공동체 구성을 만들어갈 수 있다.;Liberal democracy is universally the most ideal of the social and political system, and the end of the Cold War can be interpreted as the end of history. The current democratic system is the most dominant political system in the world. However, the introduction of democracy alone does not guarantee quality, so in terms of formality, mature civic consciousness of members is required beyond democratization. Therefore, school education allows all citizens to have the necessary qualities as democratic citizens to live like a human being and to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the development of a democratic country. Civic consciousness is a concept that is not innate but constantly changing and acquires civic consciousness through various meaningful interactions with peers and adaptations. Like this, civic consciousness is not a concept that takes place in one time, but a concept that changes and grows in the course of life. In particular, since adolescence is an important time to form civic consciousness, looking specifically at the longitudinal changes in the civic consciousness of students who are in adolescence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m can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and educational policy-making to raise desirable civic consciousness among students in the future. This study first checked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the growth trajectory of civic consciousness and used Growth mixture modeling (GMM) to analyze what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life characteristics variables are as a predictor of student’s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the growth trajectory. Secondly, this study examined how the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life characteristics change in each growth trajectory latent profile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profile using Latent growth model (LGM) to do an in-depth analysis. And it figured out how characteristics other than civic consciousness of students change by type of growth track, not by all students. To this end, a number of prior studies on students' civic consciousness were reviewed to establish a research model to analyze the growth trajectory of civic consciousness and factors affecting it. The analysis data used panel data from the first year to the seventh year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The civil consciousness variables surveyed in the GEPS are variables that include cognitive civic awareness, emotional and behavioral civic awareness, and a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for this study. The factors that affect this are the student’s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life characteristics. The main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latent growth mixture modeling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many latent profiles students' civic consciousness growth trajectory were categorized into, and found that the number of the most suitable latent profiles was three. As a potential profile for the growth of civic consciousness of students analyzed, the group that first accounted for 6.1% of all students and had a high initial level, but gradually decreased the level of civic consciousness was named ‘decreasing group.’ The group, which accounted for 6.6% of all students and had a low initial figure, but whose level of civic consciousness continued to increase, was named the ‘increasing group.’ The group, which accounts for 88.2% of the total and had a high initial value and maintained it, was named the ‘high-level maintaining group.’ Second, predictors were found which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which group of civic consciousness growth trajector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creasing group as a reference group, the predictors of the high-level maintaining group were gender, self-esteem, reading behavior, volunteer experience, and awareness of human rights violations. The female gender, the higher self-respect, the more reading behaviors, the more service experience, and the less it was perceived as a violation of human rights, the more likely it was to belong to a high-level maintaining group than a decreasing group. The female gender, the higher self-respect, the more reading behaviors, the more service experience, and the less they perceived as a violation of human rights,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belong to a high-level maintenance group than a decreasing group. Predictors of the increasing group were volunteer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human rights violations. The more volunteer experience, the lower the awareness of human rights violations, the more likely it was to belong to an increasing group rather than a decreasing group. Third, the positiv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civic consciousness found in previous studies decreased in the decreasing group, and most of the increasing group and high-level maintaining group increased.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parameter estimates of the initial value and change rate by the main variables of the three latent profiles(decreasing, increasing, high-level maintaining), students in the reducing group had lower self-esteem, reading behavior, volunteer experience, supervised parenting attitudes, parental monitoring, rational parenting, peer support, relationship with teacher, and academic achievement over time. The attachment with parents has increased in other groups,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ducing groups. Students in the increasing group were increasing their self-esteem, attachment with their parents, peer support,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cademic achievement, awareness of human rights violations, and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were decreasing. Students in high-level maintaining groups were increasingly attached to their parents, their academic achievement was increasing, and their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was decreasing. Other positive variables were falling somewhat, but slightly lower than the decreasing group.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policy implications for cultivating students' civic consciousness are divided into two types: the implications derived for each civic consciousness growth type group and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synthesis of the research results. First of all, there are three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ivic consciousness growth type group classification. Firstly, more support is needed for young people whose levels of civic consciousness are declining. Students, whose level of civic consciousness is decreasing, are personally suffering from falling self-esteem, and are suffering from various difficulties such as lack of emotional support at home, difficulties in social relations in schools, and maladjustment in school life. These students who are suffering from various difficulties need more discriminatory support to reduce the gap with the majority of high-level maintained and increased students. For these students, teachers at schools should exercise leadership to help students develop civic consciousness, and sympathize and interact more closely with students in decreasing group through projects such as mentoring in connection with local communities to help them build relationships in their homes and schools, adapt to schools and develop civic consciousness. Second, since there are young people whose civic consciousness level is increasing, support is needed to develop civic consciousness through continuous interest and education even if the civic consciousness level is low in the early adolescent period.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a low level of citizenship include, first of all, educating social skills to improve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teachers at school, counseling support to improve student self-esteem, and academic support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must be done together Third, most of the youth maintain a high level of citizenship. In order for the high-level maintenance group to raise the level of citizenship even more, like the increase-type group, it is necessary to promote reading activity, increase the weight of the democratic teaching method in the school, and help develop social skills to facilitate social relationships. .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create a democratic school climate that does not infringe human rights within the school. Next, there are five implications drawn from the synthesis of the study results. First, it is necessary to restore the emotional support and care functions of the family for the development of youth's civic consciousness. In addition to the legislation of parent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ecure a budget to provide high-quality education related to parenting that is accessible to parents, and to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in it. Second, civic consciousness has a great relationship with sociality, so a social competence program is need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ploy professional counselors at each school to support collective counseling, and draw up measures to raise an civic consciousness through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materials for social development and civic consciousness, and teacher training. Third,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support measures to strengthen teachers' democratic civic education capacities. For current teachers, self-training materials f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and materials f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with students can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for teachers who are burdened with training rather than unilateral training presented by existing policies.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teaching tools (a collection of materials centered on video production, discussion topics, etc.) that teachers can use directly in classes to enhance access to democratic civic education. If this helps teachers start democratic civic education, more current teachers can be interested in strengthening democratic civic education capacities. The role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is important to strengthen democratic civic education capacities for prospective teachers. In order to strengthen the citizenship of prospective teachers and the teaching competency in democratic civic education, teachers training institutes shall organize the entire curriculum centered on democratic civic education and further expand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nd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results in competences diagnostic scale of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es in the futur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heck what prospective teachers are having difficulties in teaching and use them to improve programs to strengthen their civic education capacit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form a democratic cultural climate in schools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itizenship. For students with reduced citizenship, the higher the grade, the higher the degree to which they considered human rights violations at school, and the higher the degree to which they experienced discrimin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temporal and spatial conditions where school members, including students, can communicate regularly on various scales, and to spread the democratic culture of the school by strengthening the role of the student council. Fifth,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the curriculum centered on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order to secure a systematic curriculum and stable education times, the importance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school education needs to be specifi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o that democratic civic education can be reflected in all curriculum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n addition to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education programs on controversial social issues will enable more effective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the field. Also, the future national curriculum should provide conditions for various activities at school sites through simplified curriculum system, as well as adding contents for students to experience in order to raise civic consciousness.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the school field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a variety of experiences on a daily basis and should be guided so that it can be linked to human rights education 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These various activities allow students to critically recogniz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differences from others and cultivate their ability to solve problems. This could create a democratic and inclusive school commun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