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3 Download: 0

공공도서관의 구술기록물 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공공도서관의 구술기록물 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Oral Records Management for the Public Libraries in Korea
Authors
이은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정책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연경
Abstract
공공도서관은 문화, 교육, 다양한 프로그램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공간으로서 지역사회의 다양한 문화적 요구를 해소하며, 지역 내 플랫폼 커뮤니티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공공도서관은 각 지역의 지역민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협력과 연대의 기초적 문화 활동을 누릴 수 있는 창조의 공간임과 더불어 사람과 사람을 잇는 공동체적 가치의 공간을 재현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공공도서관은 역사를 보존하고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활용·보존 하여 지역만의 콘텐츠를 개발하기에 가장 이상적인 플랫폼이라 할 수 있다.그리고 여기서 구술기록은 과거의 잊혀진 사건을 말로 회상하고, 지역사를 다시금 체현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공동체적 가치를 재고한다. 그러므로 구술 기록의 보존과 관리는 그 자체로 국가 유산의 지식 창출과 활용이면서 지역 문화의 가치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나아가 공공도서관의 구술사는 풀뿌리 역사에 의해 주변에 살아가고, 살아온 국민의 삶을 재조명하고 그들의 권리와 편익에 관한 기록을 보존하여 기록의 공공 이용을 실현해야 하는 사명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구술 기록물 관리에 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문헌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구술기록의 개념 및 특성과 공공도서관에서의 구술기록물이 갖는 가치를 정의하고, 그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더불어 공공도서관 구술기록물 관리 개선 방안에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국외 3개국, 국내 11개의 공공도서관의 구술기록물 관리 사례와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국가와 기관은 높은 수준의 구술기록 환경과 수집·활용·보존을 갖춘 대표 공공도서관으로, 미국의 볼더 카네기지역역사도서관, 캐나다의 에드먼턴공공도서관, 호주의 남호주주립도서관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11개 공공도서관의 업무 담당자 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다음 인터뷰에 응한 6개 도서관은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전문가들의 공공도서관 구술기록물 수집·활용·보존 개선을 위한 의견을 구체적으로 취합하였다. 또한 해당 내용을 보완하여 재차 심층면담을 통해 공공도서관의 구술기록물 관리 문제점 및 개선 타당성과 필요성을 검증하였다. 해당 자료는 구술기록물을 관리하는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문헌 조사, 홈페이지 검색, 전화 조사를 통해 구술기록 관리 담당자에게 구술자료 관리에 대한 온라인 혹은 대면 설문조사를 병행하였고, 수집된 설문지는 추후에 분석하였다. 구술기록 수집 및 생산에 있어서 대부분의 공공도서관은 매뉴얼 또는 구체적인 지침의 미비로 인해 체계적으로 구술기록물을 수집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담당 직원들은 표준화된 매뉴얼과 전문 교육을 통해 구술기록 수집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게다가 사서가 본연의 업무 외 구술 수집이라는 전문 업무를 도맡는 것 자체에 큰 부담 요소가 된다고 호소하였다. 구술 기록은 수집과 생산에 있어서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이 요구되므로 그러한 지식의 습득을 위해 재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구술기록물 정리 및 활용 면에서 구술 자료를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대해 각 기관들은 단행본, 전시, 지역 콘텐츠 확보 및 개발, 온라인 활용, 학술 연구지원 등으로 답변하였다. 그러나 구술 자료 이용률과 자료 인식은 구술기록물을 활발히 수집하는 일부 기관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공공도서관에서 매우 낮은 편이었다. 이에 여러 담당자들은 도서관 이용자들의 구술 자료 인식 확대를 위해 전문 인력 배치와 홍보가 가장 시급하다고 답변하였으며, 보존 시설 확보, 구술 자료 기구 설치, 관련 법 개정, 이용자 세분화를 통한 이용자별 요구 파악이 뒤를 이었다. 이외 활용 및 서비스 면에서는 구술기록물의 체계적인 관리 부족, 전문성 부족, 인력의 부족, 구술기록물의 정보 부족, 인식의 부족, 제도적 뒷받침의 문제, 구술기록물의 가치 판단이 문제시되었다. 구술기록물 보존 및 처리 면에서 현재 구술 자료의 원자료 관리 현황은 단행본, 녹취록, 사진자료, 동영상 자료, 단순보관으로 나타났다. 각 도서관들의 구술 자료 보존 전략은 표준 보존 포맷의 개발과 보존 메타데이터의 표준 정립, 자료 보존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았거나 자료 부족 등의 이유로 실질적으로 고려하고 있지 않음으로 응답하였다. 구술기록의 보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기구 및 규정 마련, 전문성, 인력 문제, 시설 및 장비 확보, 홍보 문제, 인식 부족, 예산 문제가 있었다.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에서 담당자들은 공통적으로 구술기록 원자료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특히, 해당 기록을 외장 하드에 보관하는 방식부터 인수인계, 순환 근무 등으로 인해 자료가 쉽게 유실될 수 있는 시스템은 구술 자료의 정비나 관리가 구조적으로 불가능함을 방증하고 있었다. 나아가 그 보존 역시 전문성의 부족으로 어떻게 구술 자료를 관리해야 할지 모른다는 의견과 민감한 개인정보, 저작권 문제 등에 있어서 전문 보존시설과 이를 위한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활동에 제약이 있음을 토로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의 구술기록물 수집·활용·보존·관리 개선을 위해 제안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술기록물 관리를 위한 정책과 매뉴얼을 수립해야 한다. 이는 구술 기록 업무 담당자를 위한 정책과 표준화된 매뉴얼의 제공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공공도서관 업무 담당자들의 구술기록물 수집·활용·보존·관리에 대한 전문 능력을 고양시키는 담당자별 개별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셋째, 공공도서관의 구술자료 이용률과 인식이 매우 낮으므로 지역의 구술사를 활용한 흥미로운 주제나 역사와 관련된 특정 주제를 선발하여, 전시회 또는 관련 간행물의 제작 등 홍보 전략이 중점적으로 보완되어야 한다. 넷째, 구술자료의 원자료 보존과 디지털화를 통해 보존을 위한 장기적 환경을 마련하고, 그 활용에 있어서 다각화하는 방향이 필요하다. 다섯째 구술기록이 효율적으로 수집되고 관리되기 위해 구술 기록물의 수집·활용·보존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전문인력 배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구술기록물 관리 개선 방안에 관한 업무 담당자 설문조사를 실시한 시기에 COVID-19의 영향으로 공공도서관의 서비스가 제한적으로 운영되어 11명의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진행할 수밖에 없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공공도서관의 구술기록물 관리 개선을 위한 국외의 공공도서관 사례 조사와 국내의 구술기록물 관리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심층면담을 통해 이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public library is a space that organically combines culture, education and various programs, addressing the diverse cultural needs of the community, and growing into a platform community within the region. These public libraries are aimed at reproducing the space of community value that connects people and people, as well as creating a space where local residents of each region can voluntarily gather and enjoy basic cultural activities of cooperation and solidarity. In addition, public libraries are the ideal platform for developing local contents by preserving history and systematically collecting and utilizing data. And the oral record recalls the forgotten events of the past in words, and reconsidered the community values of the region by re-imposing local history. To sum up, the preservation of oral records in itself is to create and utilize knowledge of national heritage and to promote the value of local culture. Furthermore, the oral history of public libraries has a mission to realize the public use of records by re-examining the lives of the people who have lived around by 'Grassroots history' and preserving records on their rights and benefits.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oral records in public libraries. To this end,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 of oral records and the value of oral records in public libraries were defined in their own ways and the theoretical basis was provided.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and examples of oral records management in 11 public libraries and 3 foreign countries were analyzed in order to deri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management of oral records in public libraries. The countries and agencies have a high level of oral recording environment and services. It is a representative public library equipped with preservation, and examined the Boulder Public Library in the United States, the Edmonton Public Library in Canada, and the Southern Australia State Library. Next,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11 public library staff to gather detailed opinions on improving the collection, utilization, and preservation of oral records in public libraries, and the contents were supplemented to verify the problems of oral records management in public libraries and the feasibility and necessity of improvement. The data were followed by an online or face-to-face survey of oral records management personnel through literature survey, media exploration, website search, and telephone survey of public libraries that manage oral records, and the collected questionnaire was analyzed later. In the collection and production of oral records, most public libraries confirmed that they were collecting oral records due to lack of manual or specific guidelines. In response, the staff pointed out that changes in oral records collection are needed through standardized manual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 addition, the librarian complained that taking charge of the professional work of collecting oral language outside of the original work itself was a big burden. They responded that oral records require professional knowledge and ability in collection and production, so retraining is necessary to acquire such knowledge. On how to utilize oral materials in terms of organizing and utilizing oral records, each agency responded with booklets, exhibitions, securing and developing local contents, online utilization, and academic research support. However, oral data utilization and data recognition were very low in most public libraries, except for some institutions that actively collect oral records. In response, several officials answered that deploying and promoting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was the most urgent to expand the awareness of oral materials among library users, followed by securing preservation facilities, setting up oral data organizations, revising related laws, and identifying user-specific needs through user segmentation. In addition, in terms of utilization and service, the lack of systematic management of oral records, lack of expertise, lack of manpower, lack of information on oral records, problems of budget, lack of awareness, problems of institutional support, and determination of the value of oral records were questioned. In terms of the preservation and processing of oral records, the current status of raw material management of oral materials has been shown as a workbook, transcripts, photographic materials, video materials, and simple storage. Each library responded that it did not have information about the development of standard preservation formats,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s for preservation metadata, or the preservation of data, or that it was not actually considered due to lack of data. Factors affecting the preservation of oral records included the preparation of instruments and regulations, expertise, manpower problems, securing facilities and equipment, public relations problems, lack of awareness and budget issues. In this way, in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those in charge had a common difficulty in managing oral records. In particular, the system, in which data can be easily lost due to the method of keeping the records on external hard drives, transfer of documents, and rotation, proved that it was structurally impossible to maintain or manage oral data.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also a lack of the expertise in preservation and restrictions on activities due to the lack of specialized preservation facilities and systems for sensitive personal information and copyright issues.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s, the results of the proposal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llection, utilization,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oral records of public libraries shall be as follows. First of all, we need to establish policies and manuals for oral records management. This will need to improve the provision of policies and standardized manuals for oral record staff. Second, in order for oral records to be collected efficiently and records management properly, sufficient professional manpower is needed to respond to the collection, production, utilization and utilization of oral records. Third,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s for each staff in charge of public library affairs are needed to enhance their expertise in collecting, preserving, recording and managing oral records. Fourth, Since the utilization rate and awareness of oral materials in public libraries are generally very low, public relations strategies, such as the production of exhibitions or related publications, should be intensively supplemented by selecting interesting subjects or specific subjects related to history using local oral history. Fifth, it is essential for public libraries to prepare a long-term environment for preservation through thorough digitalization of each feed and to diversify their use. This study had limitations in conducting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a small number of people in charge because of limited operation of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under the influence of COVID-19. However, it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public libraries and conducted oral records management surveys to improve oral records in public libraries, and prepared improvement measures by analyzing them in dept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기록관리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