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영경-
dc.contributor.author신수향-
dc.creator신수향-
dc.date.accessioned2021-07-29T16:33:18Z-
dc.date.available2021-07-29T16:33:18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807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8070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8414-
dc.description.abstractAs non-face-to-face lifestyles become commonplace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and consumers prefer online stores, the sense of crisis in offline industry is growing. Distribution companies see this crisis as an opportunity and use‘un-tact’marketing to overcome the adversity. Seeing how these circumstances can be an enormous opportunity, IT-based online distribution companies such as Amazon and Alibaba are expanding explosively by expanding their offline unmanned store business. As Amazon emerged as a leader in the unmanned store market with the introduction of Amazon Go, leading retailers around the world benchmarked ‘Amazon Go’ and aggressively pursued it. In Korea, various unmanned stores, such as unmanned cafes, unmanned convenience stores, unmanned ice cream shops, unmanned butchers, unmanned clothing stores etc., are literally popping up like mushrooms everywhere. While the online-based distribution business is increasing due to the change of the times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spread of COVID-19 is accelerating the pace of this trend beyond the scope of general prediction. As the needs of the society for non-face-to-face/non-contact are increasingly heightened, the demand for ‘un-tact’ zones such as unmanned stores is increasing rapidly. An unmanned store has the advantage of saving labor costs and allowing managers to utilize their time more efficiently, but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safety issues will arise due to the absence of employees in the store. This may amplify the anxiety of customers who use the store late at night. One of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ethod to prepare appropriate measures for customers who may feel anxious about using unmanned stores.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ethod of implementing color tones in the store space to promote psychological stability of customers who use unmanned stores. As for the research on color tone to promote psychological stability of customer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definition of the term due to the lack of prior research in the field. Therefore, for better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of this thesis, the color that leads to the psychological stability of customers in the space will be named ‘color associated with safe space’ in this thesis. The higher the level of association with the safe space that customers feel through the colors implemented in the space in the store,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sense of safety that they perceive as safe. In this study, a two-step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color associated with safe space that enhances the sense of safety of customers in an unmanned store. In the first experiment, subjects were asked to select the color they felt the safest among 12 colors including white and black in 10 basic colors extracted with the Munsell color system through a Google survey. In the second experiment devised based on the first experiment, a total of 55 color stimuli for brightness and saturation were presented sequentially, and the subjects looked at 11 colors in 5 levels and selected the color they felt the safest through a Google survey. The conclusions from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colors and tones that customers associate with safety appear in WHITE, Y, B, GY, YR, G, BG series from highest to lowest. Second, the colors and tones that customers do not associate with safety are BLACK, PB, P, RP, and R series. Third, when applying the black value, it was found that applying the value to high brightness and high saturation increases the degree of association of safety, and applying the white value to high brightness and low saturation increases the degree of association of safety. The color associated with safe space in an unmanned store is an important factor in providing a comfortable shopping experience by promoting the psychological safety of customers, so it should be actively reflected when setting up an unmanned store. It is understood that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will be useful as initial data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unmanned stores at home and abroad in the future.;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비대면 생활방식이 일상화되고 소비자들이 온라인 매장을 선호하게 되면서 오프라인 매장들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위기를 기회로 극복하기 위한 유통기업들의 시도로 언택트(Un-tact) 마케팅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아마존(Amazon), 알리바바(Alibaba)와 같은 IT 기반의 온라인 유통 기업들은 오프라인 무인 매장 사업을 확대하며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아마존이 아마존고(Amazon go)를 선보이며 무인매장 시장의 선두주자로 나서자, 전 세계 굴지의 유통 기업들이 아마존 고를 벤치마킹하며 공격적으로 그 뒤를 쫓고 있는 양상이다. 국내에서도 무인 카페, 무인 편의점, 무인 아이스크림가게, 무인 정육점, 무인 옷가게 등등 다양한 무인점포들이 우후죽순으로 늘어가고 있다. 시대의 변화와 기술의 발달로 인해 온라인 기반의 유통사업이 증가하는 가운데,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일반적인 예측의 범주를 넘어 이 흐름의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비대면/비접촉에 대한 사회적인 니즈(needs)가 커져, 무인매장과 같은 언텍트 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무인매장은 인건비가 절약되고 관리자의 시간 활용이 자유롭게 되는 운영 측면의 장점이 있기도 하지만, 매장 내 직원의 부재로 안전에 대한 이슈가 발생할 개연성이 높다. 이는 늦은 시간 매장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불안감의 이슈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본 연구의 목적은 무인매장을 이용하는 고객의 심리적 안전감을 높이기 위한 매장 내 공간의 컬러톤의 구현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공간 내 심리적 안전감을 도모하기 위한 컬러톤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학계에서 선행된 연구가 미비함으로 인해 용어에 대한 정의를 새롭게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의 원활한 이해와 전개를 위해 공간 내에서 고객의 심리적 안전감을 높이는 색채를 본 논문에서는‘안전공간 연상색채’라고 명명하였다. 매장 내 공간에 구현된 색채를 통해 고객이 느끼는 안전공간에 대한 연상 정도가 높을수록 자신이 안전하다고 인식하는 심리적 안전감이 상승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인매장에서 고객의 안전감을 높이는 안전공간 연상색채를 연구하고자 2단계 실험을 진행하였다. 1차 실험에서는 피험자가 먼셀 컬러 시스템으로 추출된 기본컬러 10개에 white, black이 포함된 총 12개의 컬러 중 가장 안전하다고 느끼는 컬러를 구글 설문으로 선택하게 하였다. 1차 실험을 바탕으로 고안된 2차 실험에서는 명·채도에 대한 총 55개의 색채자극물을 순차적으로 제시하고 피험자는 11개의 컬러별 5단계의 컬러를 보고 가장 안전하다고 느끼는 컬러를 구글 설문으로 선택하게 하였다. 실험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들이 안전함을 연상하는 컬러와 톤은 가장 높은 순부터 낮은 순으로 WHITE, Y, B, GY, YR, G, BG계열로 나타난다. 둘째, 고객들이 안전함을 연상하지 않는 컬러와 톤은 BLACK, PB, P, RP, R계열이다. 셋째, black값을 적용할 경우, 고명도 고채도일 때 적용하는 것이 안전함의 연상 정도를 높이고, white값은 고명도 저채도일 때 적용하는 것이 안전함의 연상 정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인매장에서의 안전공간 연상색채는 고객의 심리적 안전감을 도모하여 편안한 쇼핑을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무인매장을 만들 때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의 연구결과는 향후 국내외 무인매장의 성장과 발전에 초석을 다지는 초기 데이터로 유용할 것으로 이해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5 3. 연구도 6 4. 연구의 한계점 7 Ⅱ. 이론적 배경 8 1. 무인매장의 정의 및 동향 8 2. 무인매장의 해외 사례 분석 9 3. 선행연구 고찰 20 Ⅲ. 실증적 연구 24 1. 해외 무인매장의 색채 분석 24 2. 국내 유인매장과 무인매장의 색채 분석 28 3A. 무인매장의 구매와 결제방식의 패턴 분류에 따른 중요 요소 41 3B. 무인매장의 중요 요소에 대한 실험 45 4. 무인매장의 레이아웃에 대한 실험 49 5-1. 무인매장의 안전공간 연상색채 1차 실험 52 5-2. 무인매장의 안전공간 연상색채 2차 실험 56 IV. 결론 및 논의 64 참고문헌 67 부록1. 설문지 69 부록2. 설문지 70 부록3-1. 설문지 71 부록3-2. 설문지 72 부록4. 안전공간 연상색채에 대한 설문 및 응답 결과 예시 73 부록5. 안전공간 연상색채 자극물 예시 74 ABSTRACT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860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1-
dc.title언택트 존의 색채와 레이아웃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A study on the funcionality of colors and layout in 'un-tact' zone-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lors enhancing the sense of security in 'un-tact' zone and user-friendly layout-
dc.creator.othernameShin, Soohyang-
dc.format.pageviii,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컬러디자인테크놀로지전공-
dc.date.awarded2021.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컬러디자인테크놀로지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