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2 Download: 0

탈북 후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Title
탈북 후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Other Titles
North Korean Late teen defectors A Case Study on Personal Art Therapy for Ego-identity
Authors
박슬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 후기 청소년이 자아정체감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것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현재 G시에 위치한 A 그룹홈에 거주하고 있는 제3국 출생 탈북청소년으로 만 22세 여자 후기 청소년이다. 사례는 2021년 4월 5일부터 2021년 5월 10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주 2회씩 90분간 총 12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탈북 후기 청소년 자아정체감을 위한 질적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목표는 미술치료를 통해 자기 이해를 촉진하고 내적 자원 탐색의 경험을 통해 긍정적 자기개념을 형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술치료 회기를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참여자의 미술치료 전 회기 과정 및 심층 면담과 참여자의 담임 선생님과의 심층 면담의 녹음 파일과 이를 전사한 텍스트, 작품을 촬영한 디지털 형식의 이미지, 연구자의 임상일지 및 반응작업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에는 질적 연구의 자료 분석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탈북청소년의 미술치료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집된 자료와 전사한 텍스트를 면밀히 검토하고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 과정을 거쳐 참여자의 언어적 표현, 미술표현에서 유의미한 것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총 5개의 상위주제와 13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미술치료 사례 경험의 범주는 <아무 느낌 없던 나에게 미술치료는 마음의 문을 열게 함>, <혼자서 감당했던 답답한 마음을 미술 작업으로 드러내기 시작함>, <타인의 시선·생각 속에 가려진 나를 발견하고 수용함>, <안전한 공간으로 충분한 놀이 공간이 되어줌>, <미래를 향해 나갈 기대감과 자신감을 얻게 됨>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탈북 후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을 위한 미술치료 경험은 무엇인가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감각적인 비정형 매체의 경험을 통해 긴장감을 완화하고 편안함을 경험하며 심리적 외상에 도움을 줄 수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 활동을 통하여 현재 자신의 감정과 모습을 표현하며 자신을 통찰하는 경험을 통해 자기 이해를 증진하고 내적 자원을 탐색하였다. 셋째, 미술 활동을 통해 창조적인 에너지를 경험하여 자기수용과 성장을 경험하였고 미래에 대해 긍정적 자기 가치관을 인식할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탈북 후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미술치료는 감정표현이 어려웠던 탈북청소년에게 자신을 표현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불안정 애착이라는 심리적 외상 기억을 반추하며 엄마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의미를 재정립할 수 있었다. 현재 자신의 감정과 모습을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자기 이해를 증진하였고 자신의 내적 자원 탐색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에 자신을 통찰하는 과정과 경험을 통해 자신의 존재에 대해 수용하면서 성장을 경험하며 미래를 향한 계획을 수립하는 등의 사회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었다. 이러한 자기표현과 자기를 이해하는 과정은 각성상태로 굳어진 감정을 위로하여 심리적 외상을 극복하고 혼란스러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탐색함으로써 보다 적응적인 삶을 이루게 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kind of experiences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have through art therapy for self-identity and what the meaning of those experiences are. To this end, this study tried to explore what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d by apply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hich provides an in-depth exploration of the meaning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a third country who are currently living in a group home located in G city, and are 22-year-old female late-stage adolescents. The case was conducted from April 5, 2021 to May 10, 2021, and art therapy was performed twice a week in 90 minute sessions for a total of 12 sessions. The goal of the qualitative art therapy program for the self-identity of late-stage adolescents from North Korea is to promote self-understanding through art therapy and to form a positive self-concept through the experience of exploring internal resources.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participants' pre-sessional art therapy sessions and in-depth interviews, recorded files and transcriptions of participants' in-depth interviews with their homeroom teachers, digital images of the works, and the researcher's clinical journal and reaction work. In the data analysis, the itera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 a method used for data analysis in qualitative research - was us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art therapy of North Korean defectors. To this end, the collected data and the transcribed text were thoroughly reviewed, and the verbal and artistic expressions of the participa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ategory confirmation processes.  As a result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5 super-topics and 13 sub-topics were derived. The categories of art therapy case experiences were , ,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