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4 Download: 0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발달장애아동 현장실습 체험연구

Title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발달장애아동 현장실습 체험연구
Other Titles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Lived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on Art Therapy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uthors
정서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발달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현장실습 경험에 관한 목소리를 상세하게 기술하고, 궁극적으로 그 체험의 본질과 의미가 무엇인지 생생하고 풍부하게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토대로 발달장애아동이 있는 미술치료 현장실습에 있어서 석사과정생들과 이를 운영하는 기관 관계자들에게 본 실습 현장과 대상에 대한 이해와 준비를 높이기 위한 기초 교육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현장실습 체험은 어떠하며, 그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고,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이를 근거로 연구 단계 및 절차를 계획하고 수행하였다. 연구 절차는 체험 본질에 집중, 실존적 체험 탐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로 구성되어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발달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현장실습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수료생과 졸업생을 포함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인 총 6명의 연구 참여자와 일대일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언어적 심층 면담은 2021년 2월부터 5월까지 실시되었으며, 1차·2차 면담을 기본으로 이후 추가적 면담이 필요한 경우 전화 면담을 진행하여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8개의 본질적 주제와 31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이와 관련한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발달장애아동과 만나는 미술치료 회기 안에서 실습생으로서 겪는 감정의 소용돌이>, <우왕좌왕 계속해서 겪게 되는 시행착오>, <발달장애아동을 대하는 치료사로서 마주하는 소진과 버거운 한계>, <발달장애아동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슈퍼비전과 동료>, <발달장애아동과 치료사로서의 나를 다시 이해하며 그에 맞는 미술치료를 연구함>, <미술치료가 발달장애아동에게 줄 수 있는 기회와 그 경험들>,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미술치료의 힘을 발견하고 미술치료사로서 한 발짝 다가서는 나>, <발달장애아동과의 미술치료 현장실습이 주는 자원과 깨달음> 위와 같이 도출된 주제 분석과 현상학적 글쓰기, 수집된 다양한 형태의 현상학적 자료를 종합적으로 정리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발달장애아동 현장실습 체험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현장실습을 통해 발달장애아동에 대한 이해와 인식, 미술치료사로서 그 역량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이를 토대로 치료 방향과 개입, 상호작용 등 여러 방면에서 부족함을 채우기 위해 연구해나간다. 특히 다양한 발달장애아동을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접하는 것의 중요성을 깨달으며, 각 아동에 적절한 미술치료를 진지하게 고민하며 그 역량을 발전시킨다. 발달장애아동의 특성이 개인마다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과 그러한 아동들을 한 곳에서 만날 수 있다는 실질적인 정보를 서적을 통해 접하기에는 한정적이다. 그러므로 무엇보다 실제 현장에서 발달장애아동을 만나 그들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실습이 현장에서 다양한 발달장애아동을 접하는 미술치료사로서 그 전문성을 발달시키기 위한 교육 현장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미술치료의 힘과 가치를 이해하고 미술치료 전문가로서의 정체성을 회복 및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그 의미를 갖는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론을 통해 미술치료 현장실습과 현장 그리고 연구에 기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지적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ADHD 등이 있는 다양한 발달장애아동 대상 미술치료 실습 현장에서 이를 경험한 석사과정생, 실습생의 생생하고 풍부한 이야기를 전달하고 그 의미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실습 현장에 대한 이해 뿐만 아니라 실습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줄여 준비시킬 수 있는 기초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장에서 기관 담당자에게 미술치료 수련생로서의 경험과 미술치료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을 만난 현장실습을 체험한 석사과정생, 즉 실습생의 경험을 탐구하였으므로 이로 도출된 실제적이고 경험적인 정보가 근무 형태로 회기를 수행한 미술치료사의 경험과 비교할 수 있는 근거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study aims to illustrate field experience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which graduate schoolers majoring in art therapy have had and shed light on the ultimate nature and significance of such experience in a graphic and detailed way. Based on this, the study hopes to lay the foundation for deeper understanding of and well-informed preparedness for art therapy field experience program involving handicapped children, which is aimed at graduate schoolers and center employees being involved in art therapy field experience program. Considering this, the study, as main research subject, focused on question like "What did the graduate schoolers experience in art therapy field experience program aimed a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nd what is the ultimate nature and significance of such experience?" and involved Max van Manen's interpretational phenomenal research method to set up and perform research stages and procedures. Research procedures comprise focus on the nature of experience, study on existential experience, interpretational and phenomenal self-reflection and interpretational and phenomenal writing. After that, the study, in an effort to collect relevant data, performed one-on-one in-depth interview with a total of study participants who ever experienced field experience program aimed a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s art therapy M.A. course takers, M.A. degree holders and graduate schoolers. Linguistic in-depth interview went on from Feb. 2021 through May and basically involved 1st and 2nd round of interview. If additional interview is deemed to be necessary, phone interview was performed to collect date until sufficient data is gathered. The analysis of gathered data resulted in eliciting 8 fundamental research themes and 31 sub-themes. In connection with this, fundamental themes are described as follows: ; , ; ; ; , ; and . Based on the above-mentioned analysis of study themes, phenomenal writing and a wide array of gathered phenomenal data, the field experience program of art therapy M.A. course takers, aimed a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may be concluded as follows. Art therapy M.A, course takers may have an opportunity to deepen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nd figure out one's own capacity as art therapist. This would help them to fill any loopholes in various areas such as treatment direction, interference and interaction. In particular, this led them to recognize importance of direct interaction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t different levels, seriously consider proper art therapy aimed at each of the children and thereby develop their own capacity. The real fact that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differ at individual level and that such children may be encountered at a segregated place is hard to know through books. Thus, the study emphasizes that it is important to visit and experienc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o understand them, as a matter of fact. In conclusion, the study holds significance by suggesting that art therapy experience program involv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may serve as educational field where would-be art therapists may sharpen their proficiency by experiencing a wide arra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In addition, it importantly confirms that art therapy holds strength and validity for treat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nd that it is necessary to restore and strengthen identity as art therapist. Such conclusion contributes to development of art therapy experience program and the site and study, which is described as follows. Firstly, the study aims to deliver graphic stories of MA course takers and practitioners going through art therapy experience program involving a varie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such as mentally challenged children, children with autism and ADHD and etc and shed light on the significance. This would help not just deepen understanding of field experience but also lay the foundation for further improved field experience program by reducing repetition of trials and errors. Moreover, this would serve as the basis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would-be art therapists' experience and art therapy to center employees. Secondly, the study delved into experiences of graduate schoolers and practitioners who visited and experience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eliciting practical and empirical data. This is expected to serve as data with grounds, which may be compared with experience of art therapist going through therapy sessions as a work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