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3 Download: 0

자기효능감에 관한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Title
자기효능감에 관한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Other Titles
Art Therapy with Focus on Self-Efficacy Research trend analysis : with close look at articles posted on domestic journals
Authors
임수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자기효능감에 관한 미술치료 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자기효능감에 관한 미술치료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예측 불가능하고 복잡한 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다양한 개인 심리적 보호 요인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자기효능감 증진에 치료적 도구로서 효과적인 미술치료의 가치를 알리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국회전자도서관 온라인 정보서비스, 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 정보서비스, science on을 이용하여‘자기효능감’, ’미술치료’키워드 검색을 통해 자기효능감 관련 미술치료 연구가 최초로 발표된 2005년부터 2021년 3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총 74편을 선정하여 최종 분석하였다. 최종 분석논문은 Microsoft Exce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및 백분율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에 관한 미술치료 연구의 연도별 동향 분석에 의하면 2005년에 최초로 발표된 이후로 연도별로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며 학술지별 동향은 미술치료연구에서 가장 많이 발표되었고 다른 분야의 학술지에서도 연구가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 분석에 의하면 여성과 남성이 혼합된 혼성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성인, 청소년, 아동을 대상으로한 연구가 많고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미비했다. 연구대상 특성에 따른 분석은 의학적 진단명이 없는 사회 배경이나 자아개념 관련 일반적 문제를 가진 일반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설계에 따른 분석에 의하면 실험연구와 단일사례연구로 이루어진 양적 연구가 가장 많았다. 측정도구에 따른 분석에서는 객관적 측정 도구인 자기효능감 관련 척도(SES)를 거의 모든 연구에서 사용하였고 투사적 측정 도구는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 검사(K-HTP)가 높은 사용 빈도를 나타냈다. 넷째, 연구내용 분석에 의하면 자기효능감 관련, 심리 및 정서와 관련된 주제가 주를 이루었다. 미술치료 구조 분석에서는 집단 치료 형태가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치료가 이루어지는 장소는 학교나 기관 및 센터에서 진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주당 치료회기 수는 주 1회가 가장 많았으며, 총 치료회기 수는 11회-15회로 진행한 연구가 많았다. 회기당 소요시간은 90분 이상 100분 미만으로 실시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매체와 미술기법에 따른 분석에 의하면 각각 종이매체, 평면(건식)매체와 자기표현기법, 그리기 기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이론적토대의 분석에 의하면 긍정심리이론을 기반으로 한 미술치료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는 2005년부터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자기효능감에 관한 미술치료 선행연구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였고, 향후 자기효능감 관련 미술치료 연구의 발전에 의미있게 기여하기를 기대한다.;The study, by analyzing trend of study on art therapy regarding self-efficacy being reported through domestic journals, aims to lay the foundation for study on art therapy concerning self-efficacy and shed light on validity of art therapy as an effective treatment tool for strengthening sense of self-efficacy as more attention and interest are being given to various psychological protective factors for contemporary people struggling to adapt themselves to unpredictable and highly complicated social conditions. To this end, the study involved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RIS), National Assembly Online Library’s online information service and science on to search key words such as self-efficacy and art therapy and ultimately selected a total of 74 articles regarding art therapy with focus on self-efficacy posted through domestic journals from 2005, in which the 1st study on art therapy with focus on self-efficacy was released, through 2021 for final analysis. The study regarding such final analysis involved Microsoft Excel program to adopt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 shows: First, year-on-year analysis of study on art therapy concerning self-efficacy shows that such study has steadily been published each year since 2005, the year when the 1st relevant study was published. As far as journal-based trend is concerned,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ranked 1st in the number of publications with journals of different spheres being revealed to proceed with relevant studies. Second, as far as subjects involved in studies are concerned, it has turned out that while combination of male and female subjects was most preferably subjected to studies, adults, adolescents and children were most preferred with elderly ones being less favored. For analysi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subjects, it was revealed that general subjects like social background lacking medical diagnosis or concept of identify dominated the relevant studies. Third, analysis based on research method generally comprises experimental study and case study. For research design, all the studies involved pre and post-tests and most preferably adopted experiment-control pre and post-design. As far as measurement tool-based analysis is concerned, almost all the studies used SES, a measure regarding self-efficacy. For projective measurement tool, Kinetic House-Tree-Person (KHTP) test ranked 1st in frequency of use. Fourth, analysis of study content shows that studies have mostly concerned themselves with self-efficacy, psychology and emotions. When it comes to art therapy structure analysis, group therapy represented the largest percentage, with schools, institutions or centers often being selected as the place for therapy. As far as week-based treatment time is concerned, once a week was most preferred, with a total of therapy frequency often reaching 11 to 15 times. The duration per therapy was revealed to most preferably last between 90 and 100 minutes. Analysis of art medium and art technique shows that paper, plane (dry) medium, self-expression technique, painting technique were most preferred. Theoretical analysis shows that art therapy involving positive psychology theory was most preferably adopted. The study focusing on identifying general trend of preceding studies of art therapy concerning self-efficacy posted through domestic journals from 2005 aims to lay the foundation for relevant studies and thereby hopes to become a meaningful contributor to progress of study on art therapy regarding self-efficac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