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9 Download: 0

청소년의 학교부적응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Title
청소년의 학교부적응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n the Trends of Research on Art Therapy for Adolescents Maladjusted to School
Authors
최혜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소정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학위논문과 학회 학술지에 게재된 청소년의 학교부적응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청소년의 학교부적응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으로 최초 논문이 게재된 1999년부터 2020년 12월까지 발표된 학위논문과 학회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의 학술연구정보 서비스(RISS)와 국회 전자 도서관의 온라인 자료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기준에 따라서 학위논문 55편, 학회 학술지 논문 21편, 총 76편의 분석대상 논문을 선정하였다. 청소년의 학교부적응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발행연도 및 발행처,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내용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학교부적응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의 발행연도 및 발행처 동향 분석에 따르면 1999년에 학회 학술지에 최초 게재되었고 2002년부터 저조한 발행 빈도를 보였으나, 2005년에 7편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평균 4.3편의 논문이 꾸준히 발행되었다. 발행처별 동향분석은 총 32개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학위 논문이 발행되었으며, 학술지 논문은 14곳의 학회에서 발행되었다. 둘째, 청소년의 학교부적응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의 연구 대상에 따른 동향 분석은 중학생 연령의 피험자가 과반수를 차지하였고, 연구 대상의 소속도 마찬가지로 중학교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연구 대상의 성별 비율은 여성과 혼성이 비슷한 비율로 분석되었지만, 남성 비율은 여성과 혼성비율의 1/2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학교부적응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의 연구 방법 동향에 따른 연구 설계 분석은 실험-통제 집단설계가 가장 많이 설계되었고, 연구 결과 분석 방법은 혼합분석 방법이 과반수를 차지하였다. 진단 및 측정 도구의 분석은 연구 주제와 관련성이 높았다. 객관적 검사 도구로 자기개념을 검증하는 검사가 가장 많았고 그중 자아존중감(SEI) 검사가 가장 많이 시행되었다. 투사적 그림 검사는 학교생활과 관련된 동적학교생활화 검사(KSD)가 가장 많이 시행되었다. 연구주제에 대한 동향 분석은 자기개념 주제가 48건(38.4%)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특히, 자아존중감을 다룬 연구가 24건(19.2%)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학교생활(학교적응, 부적응) 주제가 24건(19.2%)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주제의 한 측면으로 학교부적응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그에 따른 동향 분석은 개인요인이 학교부적응 요인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하지만 다른 요인 간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청소년의 학교부적응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의 연구내용 동향 분석에 따른 프로그램 참여 형태는 집단형태가 68건(89.5%)으로 압도적인 빈도를 차지하고 있다. 프로그램 유형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사용한 복합 프로그램 유형이 단일 프로그램과 통합 프로그램보다 더 많이 사용되었다. 미술치료 환경은 학교시설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었다. 치료 환경을 기재하지 않은 미기재 환경의 빈도가 15.8% 상당히 높은 편이지만, 분석대상 논문을 살펴본 바 대부분 학교에서 미술치료가 실시 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미술치료 참여자 수는 5~9명의 구성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치료 총회기 수는 10~14회기로 구성된 연구가 가장 많았다. 가장 많은 빈도로 시행된 주당 회기 수는 주 1회이며, 회기 진행 시간은 90분으로 실시 된 연구가 25건(33.3%)으로 나타났다. 미술 매체의 사용 빈도는 종이 및 바탕 재료와 평면-건습 매체가 비슷한 빈도로 사용되었고 표현 방법은 그리기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부적응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청소년의 학교부적응에 관한 미술치료 연구 발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on art therapy for adolescents maladjusted to school published in Korean dissertations and journals and provide foundational materials and directions for follow-up research on art therapy targeting adolescents maladjusted to school. To address the goal, among the dissertations and journals presented from 1999 when the thesis was first published until December, 2020, this author collected materials using KERIS’ RISS and also the National Assembly Electronic Library’s Online Data Search Service.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research, total 76 materials, 55 dissertations and 21 journals, were chosen for analys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this researcher conducted analysis classifying them by the year of issue, place of issue, subjects of research, study methods, and study contents and gained findings as below: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search on art therapy for adolescents maladjusted to school by the year of issue and place of issue, the first one was published in the journal in 1999, and they were hardly issued from 2002; however, along with the rapid increase of seven pieces in 2005, 4.3 pieces continued to be published annually on average. Concerning analysis on the trends by the place of issue, total 32 graduate schools published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while journals were published in 14 different societie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rends of research on art therapy for adolescents maladjusted to school by the subjects of research, the age groups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med the majority, and also, regarding where the subjects belonged to, those affiliated to middle schools formed the largest part. About the gender ratio of the subjects, females and mixed-gender groups were analyzed to be similar, but the ratio of males were one half of that of women and mixed-gender group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esign trends of research on art therapy for adolescents maladjusted to school by study methods, experimental-control group design was found the most, and about how to analyze the results, the mixed-analysis method formed the majority. The analysis of diagnostic and measuring tools is highly related to the research topics, with the most tests verifying self-concepts with objective testing tools, and among them, the SEI (Self-Esteem Inventory) were conducted the most. The projective drawing test conducted the most was the KSD (Kinetic School Drawing) associated with school life. Concerning the trends of the research topics, topics about self-concept were studied the most as 48 cases (38.4%), and in particular, 24 cases of research dealing with self-esteem (19.2%) were found. Next to that, topics about school life (school adjustment/maladjustment) were observed in 24 cases (19.2%). As an aspect of the research topics, the factor of school maladjustment was analyzed,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trends, the individual factor was found to be the biggest factor of school maladjustment. The analysis, however, has shown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other factors.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rends of research on art therapy for adolescents maladjusted to school by study contents, about the types o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s, the group type was found to be overwhelmingly the most as 68 cases (89.5%). Regarding the program types, the complex program type adopting diverse programs was more frequently found than the single program or integrated program. About the environment of art therapy, school facilities were chosen the most, and the frequency of those not presenting the environment for therapy was fairly high as 15.8%, but examining the theses selected for analysis, this author assumes that art therapy was done mostly at school. About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art therapy, groups of five to nine were found to be the most, and regarding total sessions of therapy, more than half of the studies went with 10 to 14 sessions. About the number of sessions per week, one session per week was selected the most, and about the time to carry out a session, 25 cases (33.3%) selected 90 minutes per session. Regarding the frequency of using art media, paper and ground materials and flat-dry and wet media were used similarly, and about the methods of expression, drawing was applied the mos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attempted to examine the general trends of research on art therapy for adolescents maladjusted to school and provide foundational materials to develop follow-up research on art therapy for adolescents maladjusted to schoo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