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8 Download: 0

패션디자인의 창의적 발상 교육 방안 연구

Title
패션디자인의 창의적 발상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Enhancing Creative Ideation in Fashion Design Education
Authors
이교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정수

김동은
Abstract
패션디자인에서 발상은 디자이너의 창의성에 의존도가 높은, 최종 디자인 결과물의 성패가 좌우되는 핵심적인 과정이다. 창의성은 개인의 잠재된 특성으로 교육과 훈련으로 계발될 수 있는 영역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성 교육이 확대되면서 발상을 쉽게 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기법 활용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것에 비해 패션디자인 교육에서 사고기법의 실질적 적용 방안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창의성은 미래 사회의 핵심역량이기에 창의성 증진을 위한 검증된 효과적인 교육사례 및 교육방법론은 지속적으로 필요한 연구 분야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디자인 전공대학생을 위한 창의적 발상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전공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국내 패션디자인 발상법 교육의 필요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패션디자인 발상에 적용 가능한 사고기법을 고찰하였고, 셋째, 발상 프로세스에 따라 창의적 사고기법 중 5W1H, 특성열거법, 마인드맵, 워드다이아몬드법, 형태분석법, 체크리스트법의 총 6가지의 창의적 사고기법 연계성을 고려한 교육 실험용 발상워크시트를 설계하였다. 넷째, 국내 패션디자인 전공대학생이 발상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심층면담을 통해 파악하고, 다섯째, 이들을 대상으로 발상워크시트를 활용한 패션디자인 발상 교육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로써 사고기법 활용이 학생들의 발상 과정에서 어떤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었는지 참여자별 워크시트 결과물과 사후 면담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패션전공대학생을 대상으로 패션디자인 발상법 교육의 필요성 인식을 알아본 결과, 학생들은 창의적 사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현재 발상법 교육은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체계적인 발상 교육 방안의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발상 교육 실험 참여자로 선정된 8인의 전공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 전 심층면담을 진행한 결과, 익숙한 습관에 의한 고착된 사고, 아이디어의 구체화, 아이디어의 수렴, 이미 있는 것의 반복과 모방에 대한 두려움 및 자신만의 독창성 표현, 결과물 중심 평가로 인한 발상 포기에 대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가진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디자인 발상 교육 실험을 진행한 결과, 워크시트에 반영된 6가지의 사고기법은 참여자들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실질적 도움이 되었음을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 및 디자인 방향 설정 단계에서 5W1H법과 소비자 특성열거법은 소비자를 이해한 디자인 목표 설정에 도움을 주었다. 과제키워드 열거법은 소비자와 개인적 영감에 관한 모든 특성을 키워드로 열거해봄으로써 두 가지 대상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후 콘셉트 설정 단계에서 마인드맵 기법은 주어진 과제와 관련된 떠오른 생각들을 기록해봄으로써 연상을 통해 새로운 개념을 도출함과 동시에 무질서하고 모호했던 개념을 정리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디자인 단계에서 워드다이아몬드법은 패션디자인의 요소 중 어떠한 요소에 중점을 두어 표현할 것인지 시각화 방향을 기획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형태분석법은 초기에는 발견하지 못했던 고정된 시각에서 벗어나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게 하였고, 단시간에 많은 아이디어 생성에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체크리스트법도 대상을 새로운 관점으로 발상하게 하여 예상치 못했던 아이디어 획득에 효과적이었다. 형태분석법과 체크리스트법에 의한 스케치 과정은 스케치 능력에 자신감이 부족한 참여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뿐 아니라 고착된 사고에서 벗어난 발상에 도움을 주었다. 이로써 다소 모호했던 개념의 아이디어가 스케치를 통해 구체적으로 형상화된 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최종 디자인 스케치에서는 전체적인 주제와의 통일성을 유지하되, 아이디어의 다양성이 표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발상 과정에서 사고기법을 통해 텍스트, 이미지, 스케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아이디어를 기록하고 조합해봄으로써 새로운 아이디어 획득과 동시에 디자인 전개 과정에서 생각이 정리되어 발상에 효율적이라고 하였다. 이로써, 발상워크시트가 발상의 어려움의 해결전략으로써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고기법을 활용한 발상 연습은 아이디어 표현에 막연한 어려움을 가진 학생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자유롭게 발상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줄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는 패션디자인 발상 교육을 위한 발상법 관련 연구로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다양한 사고기법을 활용해 새로운 접근을 시도했다는 점과 전공대학생을 대상으로 발상 과정에 사고기법을 활용한 교육 실험을 진행하여 학생의 사고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실질적 사례를 바탕으로 발상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Ideation in fashion design is an essential process that is highly dependent on the designer’s creativity and determines the success of the final design output. Creativity is a potential attribute of an individual that can be developed by education and training. As creativity education has been expanded to various field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use of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that facilitate creative ideation, but in-depth research on actual application of thinking techniques in fashion design education remains insufficient. Since creativity is a core competence for the future society, effective and validated cases and methodologies of education require continuous research to promote creativ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creative ideation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design.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urvey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to determine the need for fashion design ideation training in Korea. Second, this study reviewed thinking techniques that can be applied to fashion design ideation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Third, an ideation worksheet for a training experiment was designed considering the connectivity of six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according to the ideation process, such as 5W1H, attribute listing method, mind map technique worddiamond method, morphological analysis method, and checklist method. Fourt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college student to determine the difficulties faced by fashion design majors in Korea in the ideation process. Fifth, an experiment in fashion design ideation training using the ideation worksheet was conducted. This is to examine how using the thinking techniques actually helped students in the ideation process by the worksheet results of each participant and post-test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n examination of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fashion design ideation training among fashion majors found that students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creative thinking, but not enough ideation training is currently provided. This proved the need for systematic educa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efore the experiment with eight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who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e experiment. The students were found to face difficulties such as fixed thoughts about familiar habits, materialization of ideas, convergence of ideas, fear of repeating and imitating what already exists, expression of one’s originality, and giving up on ideation due to result-oriented evaluation. An experiment examining design ideation training on participants with these difficulties found that the six thinking techniques in the worksheet actually helped participants in their problem-solving process. The 5W1H and consumer attribute listing method In the theme and design direction–setting stage helped set the design goals that understand consumers. The task keyword listing method helped students explore the relevance between two subjects by listing all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and personal inspirations in keywords. Then, the mind-mapping technique in the concept-setting stage helped students come up with a new concept through association by recording thoughts that arose related to the given task, while also organizing the concepts that had been disordered and ambiguous. Word diamond in the design stage helped students set the direction for visualization, such as which fashion design element to focus on. Morphological analysis helped students come up with original ideas that that had not been discovered at first by thinking outside the box, and it was effective in generating many ideas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checklist method was also effective in generating unexpected ideas by thinking from a new perspective. The sketching process through morphological analysis and the checklist method were accessible to participants who lacked confidence in sketching, helping them not only concretize their ideas but also think outside the box. Thus, ideas that had been somewhat ambiguous took shape more concretely through sketches, based on which they could maintain consistency with the general theme in their final design sketch while also expressing diversity of ideas. The participants claimed that the thinking techniques in the ideation process were effective for ideation, as they could get new ideas by recording and combining ideas in various ways such as texts, images, and sketches, while also organizing their thoughts in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This showed that the ideation worksheet can be a useful strategy to resolve difficulties in ideation. The ideation exercises using thinking techniques are accessible to even students with a vague difficulty in expressing their ideas, thereby laying the groundwork for free ideation. Moreove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study related to ideation for fashion design ideation training, attempting to take a new approach by using various thinking techniques that had not been covered i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it has presented ideation-training methods based on actual cases by conducting a training experiment using thinking techniques in the ideation proces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and qualitatively analyzing their thinking proc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