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9 Download: 0

맥락주의 비평 이론에 근거한 현대미술 감상수업이 고등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Title
맥락주의 비평 이론에 근거한 현대미술 감상수업이 고등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ntemporary Art Criticism Classes based on Contextual Criticism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박지윤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비판적 사고는 능동적인 태도로 문제를 인지하고 타당한 판단을 내리는 능력으로써 최근 이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교육과정에서도 해당 사고 능력의 함양을 위해 다양한 교과의 내용 체계를 구성하며 핵심 역량의 하위 요소로 제시되고 있다. 특히 미술 교과에서는 감상의 영역을 통해 정서의 함양과 비판적 사고 능력을 포함한 고차원적 사고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였다(이화식, 2015). 감상의 영역에 속하는 미술 비평은 작품의 내적·외적 정보의 종합적인 검토 및 작품의 가치판단 등의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활동을 적극적으로 도모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비판적 사고 능력을 바탕으로 논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고, 더 나아가 개인의 삶에서 능동적인 태도로 올바른 결정을 할 수 있게 된다. 오늘날 학교 미술교육에서는 다양한 비평의 관점과 유형을 제시한다. 특히 맥락주의 비평은 예술 작품의 역사, 사회, 심리 등 맥락을 기반으로 작품을 평가하는 비평의 유형이다. 작품의 배경 정보를 기반으로 작품의 가치에 대해 판단을 내리는 과정은 고등사고능력인 비판적 사고성향을 기르기 위한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맥락주의 비평 이론에 근거한 현대미술 감상수업이 고등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에 따라 고등학교 미술과 교과서에 제시된 비평의 다양한 유형과, 유형 중 하나인 맥락주의 비평의 관점을 활용하여 감상과 비평 수업을 개발하였다. 감상과 비평의 대상으로 고등학교 미술과 교과서에 등장하는 현대미술 작품을 선정하여 작품의 배경에 대한 조사와 이를 기반으로 가치 판단하는 비평 활동이 전개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수업은 블록타임을 적용한 총 6차시의 비대면 수업으로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B고등학교 1학년 학생 89명을 대상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의 비판적 사고성향의 측정을 위해 김명숙(2002)에 의해 개발된‘K 비판적 사고성향 검사’도구를 재구성하여 활용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를 진행한 후,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해 검사지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의 도출과 검증을 위해 수업에 활용된 활동지와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와 방법을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의 사전·사후 비판적 사고성향 검사를 비교한 결과, 비판적 사고성향과 하위 영역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비판적 사고성향의 여덟 가지 하위 영역 중 다섯 가지인 ‘진실에 대한 가치 지향’, ‘사고의 신중성’, ‘사고의 개방성’, ‘지적 호기심과 끈기’, ‘사고의 자기 규제성’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맥락주의 비평의 관점에서 작품의 배경을 조사하는 모둠활동과, 선택한 작품에 대한 비평문을 작성하는 활동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성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작품의 배경을 다각도로 조사해보고, 정보를 활용해 작품의 가치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서술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는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태도를 함양할 수 있었다. 셋째, 수업 만족도 조사에 대한 분석 결과, 학습자에게 흥미롭게 느껴지는 작품을 선택하고, 이에 대해 조사하는 활동이 미술 감상과 비평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았을 때, 맥락주의 비평 이론에 근거한 현대미술 감상수업은 고등학교 1학년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맥락주의의 관점에서 작품을 조사하고 비평문을 작성하는 활동이 감상과 비평수업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교육적인 의의가 있다.;Critical thinking has recently increased in importance as the ability to recognize problems and make good judgments in an active manner. In this regard, the domestic curriculum constructs a content system of various subjects to foster the relevant thinking skills and presents them as sub-components of core competencies. In particular, the art curriculum allows the development of high-dimensional thinking skills, including emotional cultivation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through the area of art appreciation (Hwa-sik Lee 2015). Art criticism, which belongs to the area of art appreciation, actively promotes learners' critical thinking activities through comprehensive reviews of the artwork's internal and external information and judging the value of the work. This allows learners to make logical judgments based on their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ultimately make the right decisions in life. Today, art education in schools presents various views and types of criticism. In particular, contextual criticism is a type of criticism that evaluates a work based on its context, such as its history, society, and psychology. The process of making judgments about the value of a work based on the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work can be presented as a way to develop 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ntemporary art criticism class based on contextual criticism theory to identify how it influenc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an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class has been developed using the perspective of contextual criticism as one of the many types of criticism. Contemporary art introduced in high school art textbooks were selected to conduct research activities and evaluate values of these works through art criticism. A single group of 89 first graders in High School B located in Seongam was organized as subjects for this research proceeding art criticism class developed earlier for 6 sessions online. The pre- and post-test was conducted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est questionnaires developed by Myung-sook Kim(2002) which was re-organized and used to measure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the subjects of the study.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research class. Along with the result of the test, class worksheet, written critique, and surve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derived through the procedures and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re- and post-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ests of the study subjects,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ub-domains. When examining the pre- and post-comparison results of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t was found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In addition,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in five of the eight sub-domain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value orientation to truth', 'prudence of thinking', 'openness of thinking', 'intellectual curiosity and persistence', and 'self-regulation of thinking'. Second, the group activity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the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xtual criticism and the activity to write a critique on the selected work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learner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background of the work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using information to describe their views on the value of the work, the learner was able to think critically.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lass satisfaction survey,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est in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class were improved by the research activity on works that felt interesting to learners. In summing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classes based on contextual criticism theory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It is also of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the activities of investigating works and writing critiques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xtual criticism have improved interest in appreciation and critique clas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