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0 Download: 0

뉴욕시의 공공기관 벽화를 통해 본 뉴딜 미술 정책의 정치⸱사회적 전략

Title
뉴욕시의 공공기관 벽화를 통해 본 뉴딜 미술 정책의 정치⸱사회적 전략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w Deal for the Arts’ Political and Social Strategies through Murals on the Public Institutions in New York City
Authors
최지원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elucidate political and social strategies of the New Deal for the Arts by analyzing mural paintings on the walls of public institutions in New York City that came into being during the Great Depression. Support for unemployed artists by the New Deal for the Arts was conducted from 1933 to 1943 in the form of the projects such as the Public Works of Art Project, the Section of Fine Art, the Treasury Relief Art Project, and the Federal Art Project. The New Deal for the Arts adopted a strategy to create art based on state ideology and produce unique American culture for the public, and this fact has been repeatedly confirmed in existing research. With this premise, this study analyzes the strategy of the New Deal for the Arts to improve the lives of American citizens through art by taking notice of the fact that artists painted murals dedicated to solving social issues public institutions faced in each field, reacting to a variety of ills caused by the Great Depression. To this end, mural paintings that covered in this thesis are categorized based on the surroundings of the public institutions and the context of local communities is also analyzed, thereby differentiating it from previous research concentrating merely on this policy’s political motivations. Mural painting that inspired the introduction of the New Deal for the Art was an ideal medium to support a host of artists on a long-term basis since its production required a lot of manpower and time. Murals are also worthy of notice because they conveyed intricate messages effectively and spread them to the public extensively based on their large scale. Artists who used to be alienated from the New Deal for the Arts, such as abstract artists and black artists, participated in the New York City mural project, backed by the art organizations’ autonomous activity. This gave rise to mural paintings a greater range of viewers could feel sympathy with and the government vision to dispel conflicts brought on by race, class, and standard of living was realized. In addition, the New York City mural project was suitable to review the strategy of the New Deal for the Arts embodied in the circumstances of each part of society because this project carried out on the largest scale in the entire region with a variety of public institutions. The public institutions that participated in the New York City mural project were classified into five fields. First of all, for the government offices that men and women of all ages allowed to visit, American values, regionalities, and each institutions’ functions applied equally to everyone were emphasized in murals. Through this, the main purpose of such murals for the government office was to inspire citizens’ self-confidence and harden the emotional foundation required to overcome the Great Depression. As the mural project expanded to a wider range of public institutions, such murals began reflecting more concrete social situations. Murals were produced for schools and hospitals depending on a clear purpose that those institutions will foster the nation’s future manpower and treat patients. The way hospitals used murals was particularly practical, as the Federal Art Project formalized therapeutic functions as one of the purposes of painting murals. In cultural institutions and public housing, Murals were produced for a group of citizens who were alienated from society or needed any additional support. New York City’s objective to reduce a culturally alienated class of people was realized in murals for cultural institutions while an endeavor to improve the level of quality of living was made through works that enhance all citizens’ cultural refinement. Murals for public housing were produced to inspire the lower-income bracket’s psychologically contracted sense of belonging,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the community. And murals stirring up morale of the nursing staff were also adopted to stabilize the nation. Through analysis of works, this study observes aspects of the New Deal for the Arts that worked everywhere in American society and confirms that the strategy to overcome national crisis through such mural projects was developed omnidirectionally. In other words, this policy took a strategy not only to support unemployed artists and reinforce the nation’s ideological foundation but to rebuild collapsed social infrastructures and the public’s trust through works focusing on various problems that caused by the Great Depression. Both public institutions that stated their opinions on how to use murals and artists who visualized their proposals put this strategy into practice together. This study reveals that the New Deal for the Arts, which has come under criticism for stifling artists’ freedom of expression for a political objective, actually performed a social function based on citizens’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This thesis has art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it reconsiders the meanings of the New Deal for the Arts and its works by analyzing an aspect in which the correlation of art, society and the public is formed. ;본 논문은 대공황기 뉴딜 미술 정책(New Deal for the Arts)을 통해 탄생한 미술품 중 뉴욕시 내 공공기관의 벽화를 분석해 정책이 내포한 정치·사회적 전략을 밝힌다. 뉴딜 미술 정책의 실업 미술가 후원은 1933년부터 1943년까지 공공 미술 프로젝트(Public Works of Art Project), 미술 분과(Section of Fine Art), 미술인 구호계획(Treasury Relief Art Project) 및 연방 예술 프로젝트(Federal Art Project)라는 사업 형태로 진행됐으며, 본 논문은 네 사업 모두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뉴딜 미술 정책이 국가 이념에 기반 한 미술을 창조하고 대중을 위한 미국 고유의 문화를 생산하려는 전략을 취했다는 사실은 그동안의 논의에서 거듭 확인돼 왔다. 이를 전제로 이번 연구는 뉴딜 미술 정책하에 미술가들이 대공황의 각종 병폐에 반응하며 당시 각 분야 공공기관이 당면한 사회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벽화를 그렸다는 점에 주목했고, 이렇게 미술을 통해 국민의 삶 전반을 개선하려 했던 정책의 전략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에 본고는 공공기관의 특성 및 환경을 바탕으로 벽화를 구분하고 지역사회의 맥락과 함께 분석했으며 이로써 정책의 정치성에만 집중하는 선행 연구와 차별을 두었다. 뉴딜 미술 정책의 도입에 결정적 영감을 준 벽화는 제작에 많은 인원과 시간을 필요로 해, 다수의 미술가를 장기적으로 지원하기에 최적이었다. 또한 벽화는 거대한 스케일을 바탕으로 정책의 복합적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담아내고 이를 대중에게 널리 전파하는 데 이바지했으므로 주목할 만하다. 본 논문의 주요 분석 대상인 뉴욕시의 벽화사업에는 미술 단체의 자치적인 활동에 힘입어 추상 미술가, 흑인 작가와 같이 뉴딜 미술 정책에서 소외되곤 했던 작가들이 비교적 많이 참여했다. 덕분에 뉴욕시에서는 더욱 넓은 계층의 관람자가 공감할 벽화가 탄생했으며, 인종과 출신 및 생활 수준 등의 차이로 생기는 갈등을 일식시키려 했던 정부의 비전이 가시화됐다. 그뿐만 아니라 뉴욕시의 벽화사업은 전 지역을 통틀어 최대 규모로 진행돼 다양한 분야의 공공기관이 참여했기에 사회 각처의 상황에 맞게 구체화된 뉴딜 미술 정책의 전략을 살펴보기 적합했다. 뉴욕시의 벽화사업에 참여한 공공기관은 총 다섯 개의 분야로 구분됐다. 먼저 남녀노소 누구나 방문하는 관청의 벽화에는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미국적 가치나 지역성 및 기관의 기능이 강조됐다. 이를 통해 국민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대공황 극복에 필요한 정서적 토대를 다지는 것이 관청 벽화의 주된 목표였다. 벽화사업이 관청을 비롯한 넓은 범위의 공공기관으로 확대되면서 보다 구체적인 사회의 상황이 벽화에 반영되기 시작했다. 기관의 이용객이 구체적으로 한정됐던 학교와 병원에서는 국가의 미래 동력을 육성하고 환자를 치료한다는 개별의 분명한 목적에 따라 벽화가 제작됐다. 뉴딜 미술 정책의 사업부가 치료 기능을 벽화의 제작 목적 중 하나로 공식화할 만큼 병원이 벽화를 활용하는 방식은 특히 실질적이었다. 문화기관과 공영주택에서는 사회에서 소외되거나 별도의 지원이 필요한 집단을 위해 벽화가 제작됐다. 문화기관의 경우 문화 소외 계층을 줄이려는 뉴욕시의 목표가 벽화에 나타나거나 모든 시민의 문화적 소양을 넓히는 작품을 통해 삶의 질적 수준을 높이려는 노력이 이뤄졌다. 공영주택에서는 공동체의 중요성을 부각해 심리적으로 위축된 저소득층의 소속감을 높이는 벽화가 제작되는 한편, 열악한 의료 환경에서 시민 건강을 책임졌던 간호 인력의 사기를 북돋는 벽화가 국가 정상화의 방안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이러한 작품 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뉴딜 미술 정책이 사회 곳곳에 작용하는 양상을 관찰했고, 국가의 위기를 극복하려는 전략이 전방위로 발전했음을 확인했다. 즉 이 정책은 실업 미술가를 후원하고 국가의 이념 기반을 강화하는 데 치중한 것이 아니라 대공황이 야기한 각종 문제에 주목하는 작품을 통해 무너진 사회 인프라와 국민의 신뢰를 재건하는 전략을 취했다. 벽화를 활용할 방안에 대해 의견을 개진한 공공기관과, 이들의 제안을 시각화하고자 개인의 역량을 발휘한 작가가 그 전략을 함께 실천했다. 이 같은 발견은 정치적 목적을 위해 표현의 자유를 억압했다는 비판을 받아 온 뉴딜 미술 정책이 사실은 국민의 능동적 참여와 자율적 활동을 기반으로 사회적 기능을 수행했음을 드러냈다. 이렇게 본 논문은 미술과 사회 및 대중이 서로 관계하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뉴딜 미술 정책과 그 산하 작품의 미술사적 의의를 재고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