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9 Download: 0

순자에서 도덕적 인식 능력과 지적 덕성에 관한 연구

Title
순자에서 도덕적 인식 능력과 지적 덕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oral epistemology and Intellectual Virtue in Xunzi : from the Virtue epistemology perspective
Authors
김주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희
Abstract
이 연구는 덕 인식론의 관점에서 순자 인식론의 인식 과정과 그에 따른 지식이 윤리적 실천과 분리되지 않음을 밝힘으로써 순자의 인식론과 덕(德) 이론을 통합적으로 검토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바탕으로 순자 성인론과 이상 세계론을 덕 개념을 중심으로 새롭게 규명하고자 한다. 즉 순자의 인식 과정과 그 과정에 관여하는 세 가지 덕(三德)의 의미를 명확히 하고, 인식 능력에 기초한 성인의 덕이 도덕적 사회 구현에 기여한다는 점을 밝히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순자 철학에서 지적 덕성이 도덕적 덕과 본질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동서양을 막론하여 지식은 곧 실천과 분리되지 않았다. 특히 중국 고대 선진시기의 앎은 최종적으로 사회 내에서 실천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본 논문 Ⅱ장에서는 선진시대 지식의 논의들 및 ‘知’ 개념에 대해 다룬다. 여기서는 『논어』, 『맹자』, 『묵자』, 『공손룡자』, 『순자』 등 선진시기를 대표하는 여러 문헌을 다각도에서 검토한다. 이를 통해서 선진시기의 앎이 물리적 대상에 대한 객관적 지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항상 정치 사회적 혼란의 극복을 목표로 하는 일종의 해결 방법으로 추구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공자와 맹자의 경우에 이들이 각기 주목한 앎의 대상은 사람[人]과 말[言]이다. 정치적 맥락에서 사람을 안다는 것은 적합한 사람을 정치 운용 주체로 세워 사회적 안정을 꾀하고자 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묵자는 ‘겸상애 교상리’로 알려진 것처럼 사회의 이익에 대한 지각 및 추구를 강조하였고, 공손룡자 역시 일명일실(一名一實)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군주의 위상을 명확히 확보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Ⅱ장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순자의 관점에서 앎의 대상이 예의(禮義), 도(道)라는 점을 살펴볼 것이다. 예의는 명철한 인식 능력을 지닌 성인이 사물의 실정을 파악하여 제정한 사회적 규범에 해당하며 사회의 모든 상황을 두루 규제하는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예의에 의해 사물의 동이(同異)가 변별되고 사회적 가치인 귀천(貴賤)의 차등이 생긴다. 순자는 변별하는 능력이 인간의 고유한 능력이라고 강조하는데, 이처럼 사물의 실정 및 사회적 가치를 잘 변별하는 과정을 통해 공정한 분배를 성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선(善)과 악(惡)을 명확히 하여 선을 권장하고 악을 제지함으로써 도덕적 사회로 나아갈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다른 선진 유학자들에 비해 순자는 변별하는 능력을 넘어 마음의 능력에 대해 포괄적이고도 총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올바른 지식의 형성 과정과 지적 덕성이 지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세밀하게 보여주는 것은 최종적으로는 올바른 앎이 도덕성의 기초가 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Ⅲ장에서는 순자에서 지식의 기원과 앎의 가능 조건으로서 마음의 능력에 대해 주목하고자 한다. 특히 『순자』 「해폐」에서 제시된 마음의 작용에 근거하여 논의를 진행할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사물의 같고 다름[同異]에 대한 지각 능력과 이를 류(類)로 범주화하는 능력을 살펴본다. 나아가 지식의 소통과 확대과정을 명칭의 제정[命名]과 유추(類推) 능력을 통해 알아본다. 또 지식이 검증되고 실천되는 과정을 각각 마음의 사려 능력[慮]과 반성 능력[省]을 통해 확인하며 마지막으로 도덕적 지식을 안정적으로 지향하게 하는 마음의 지향 능력[志]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순자는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주어진 능력만으로는 도덕적 앎이 가능하지 않다고 본다. 이에 따라 의식적이며 인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올바른 인식을 위한 선행 조건으로서 허(虛), 일(壹), 정(靜)이 확대되어 얻어진 것이 지적 덕성이다. 다음 장 Ⅳ에서는 순자에서 인식의 선행 조건과 지적 덕성에 대해 논한다. 순자가 제시하는 세 가지 덕인 충신(忠信), 조화(調和), 균변(均辨)의 덕이 의미하는 바를 각각 살펴봄으로써 성인이 갖춘 지적 덕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나아가 도덕적 이상으로 지칭되는 성인(聖人)이 지닌 성품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그 성품을 지닌 사람에 대한 묘사가 『순자』에서 사물 혹은 자연물을 통해 어떻게 비유되는지 검토해본다. 순자는 인간 내부에 주어진 선천적 도덕 가능성을 전제하지 않기 때문에 도덕적 인간이 되기 위해서 외부로부터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것이 지적 덕성의 형성에서 스승의 역할과 중요성이 강조되는 이유이다. 마지막 장 Ⅴ에서는 지적 덕성의 형성에 관계하는 학습과 공동체의 역할에 주목하여 지적 덕성의 형성에 있어서 외부적 조건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본다. 최종적으로, 지적인 덕을 바탕으로 ‘덕 있는 공동체’가 ‘덕 있는 사람’을 길러낸다는 점에서 『순자』에 등장하는 공동체의 의미에 대해 재검토할 것이다. 이를 통해 순자가 제시하는 이상적인 세계인 군거화일(群居和一)의 세계도 ‘덕 있는 집단’의 다른 말이 아니라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epistemology and the concept of de(德) in Xunzi by revealing that the epistemic process and subsequent knowledge are not separated from ethical practice in terms of virtue epistemology. Based on this point, the study seeks to establish a new focus on Xunzi’s theory of sagehood(聖人) and ideal society, focusing on de(德). In other words, it aim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recognition process, as well as the three virtues(三德) within, and to reveal that de(德) of sage based on recognition ability contributes to the implementation of a morally harmonious society. This confirms that intellectual virtue is inherently linked to moral virtue in Xunzi’s thought. In East and West, knowledge was not separated from practice. Throughout the Pre-Qin(先秦) period, knowledge was ultimately deeply related to practice within society. Chapter 2 of this study deals with discussions of knowledge and the concept of ‘zhi(知)’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In this chapter, various documents representing the Pre-Qin period such as Analects, Mencius, Gongsunlongzi, and Xunzi, are reviewed from different angles. This shows that the knowledge in Xunzi’s period was not only objective knowledge of external things, but was always pursued as a solution in conjunction with the purpose of overcoming political and social turmoil. In the case of Confucius and Mencius, the subjects of knowledge they looked were people(人) and speech(言). Knowing people(知人) in a political context was intended to promote social stability by having the right person for political order. Likewise, Mozi emphasized the perception and pursuit of society's interests, and Gongsunlongzi also wanted to secure the status of the monarch through the so-called. “one name-one reality(一名一實)” The last part of Chapter II examines that the object of knowledge from the perspective of Xunzi is ri(禮義) and dao(道). Liyi is a social norm created by sage kings who have a clear recognition ability to identify the actual state of things. It regulates all situations and relationships in society. It not only discriminates between the equals and the differences of things but also social values from invaluable things. Xunzi emphasizes that the ability to discriminate is a unique ability of humans. As he believes that fair distribution can be achieved by recognizing the actual state of things and social values, liyi encourages the goodness and acts as a deterrent to the badness for moving on to a moral society. Xunzi deals a lot more with the mind's abilities comprehensively and collectively, compared to other Pre-Qin Confucian scholars. It is because showing the process of forming knowledge and the detailed impact of intellectual virtue in this process implies the basis of morality. Accordingly, Chapter 3 seeks to describe the origin of knowledge in Xunzi and the mind’s ability to enable true knowledge. In particular, discussions are conducted mainly based on the actions of the mind dealt within “Dispelling Blindness”(解蔽). Specifically, it looks at the perceptual ability of objects to be equal(同) or different(異), and the ability to categorize them as lei(類). Furthermore,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and the expansion of knowledge is characterized in the ability to establish names(命名) and analogy(類推). It also aims to identify the process through which knowledge is verified and practiced in the concept of consideration(慮) and reflection(省) respectively, then finally, to inspect the ability of intention(志) for the stable pursuit of moral knowledge. Xunzi believes that moral knowledge was not possible by the inborn faculty of human beings, therefore conscious and artificial efforts are needed. Intellectual virtues are obtained by sustaining emptiness(虛), unity(壹), and stillness(靜) as prerequisites for right recognition. The following Chapter discusses the preceding conditions and three intellectual virtues(三德) of Xunzi’s thought. By looking at the three virtues presented by Xunzi: Doing one’s best and reliability(忠信), harmony(調和), and impartiality(均辯) respectively, it explores the intellectual virtues of sage. It specifically reveals the traits of sage, referred to as a moral model, and examines how the description of those who have the character is compared through objects or natural objects in Xunzi. Since Xunzi does not presuppose innate moral possibilities inside human nature, it is clear that one needs help from the outside to become a virtuous person. This is why the importance of teachers is emphasized to form intellectual virtues. The last Chapter explores the influence of external conditions in the formation of intellectual morality, indicating the role of learning and communities. Finally, based on intellectual virtues, the meaning of the community will be reconsidered in the Xunzi in that the "virtuous community" fosters "virtuous people”.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reveal that the ideal world presented by Xunzi, “living together in harmony and unity(群居和一)”, is not another word for "a virtuous grou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