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3 Download: 0

1960년대 박경리 장편소설의 여성가족로망스 연구

Title
1960년대 박경리 장편소설의 여성가족로망스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eminist Family Romance in Park Kyung-Ree's 1960s Novels
Authors
윤혜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현
Abstract
본 연구는 통속성이 짙다는 이유로 저평가 받아 온 박경리의 1960년대 장편소설이 가부장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질서를 전복하는 여성가족로망스의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여성가족로망스란 프로이트의 가족로망스를 전유하는 개념으로 기존 가족로망스에서 배제되었던 ‘어머니-딸’의 관계를 중심으로 가족을 상상하는 것이다. 1960년대 박경리의 소설은 모녀관계를 시작으로 여성인물들 간의 단절과 결속의 서사를 그려냄으로써 여성가족로망스의 징후를 보인다. 따라서 본고는 박경리 소설에 등장하는 여성가족의 다양한 모습이 기존 남성중심서사를 극복해나가는 방식으로 제시되고 있음에 주목하고자 한다. 작가는 국가의 재건 과정에서 가부장제 이데올로기가 여성 간의 분열을 조장했음을 비판하는 동시에 이 여성들이 결속함으로써 그 질서에 균열을 가하는 양상을 함께 그려내고 있다. 모성 신화, 낭만적 사랑의 환상, 그리고 성별 분업의 문제까지 당시 여성들을 통제했던 여러 메커니즘에 대한 논의를 본고는 모녀, 자매, 그리고 비혈연 여성공동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세 장에 나누어서 설명하였다. Ⅱ장에서는 어머니와 딸의 관계를 분석하며 기존 오이디푸스 서사에서 소외되었던 어머니의 목소리를 복원하고자 했다. 가부장제 사회에서는 딸들마저도 어머니를 거부하거나 외면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딸들이 어머니가 자신에게도 그러한 억압을 물려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박경리는 모녀관계의 단절을 그려내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이들의 결합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어머니와 딸의 목소리가 통합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여성가족로망스의 서사와 일치를 이룬다. 모녀관계가 결코 분리될 수 없음을 보여주는 박경리의 소설에서 딸들은 어머니와의 동일시 과정을 경험하게 되며, 어머니 역시 침묵을 깸으로써 마음에 쌓인 분노를 사랑의 감정으로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Ⅲ장에서는 형제들의 서사와 달리 주목받지 못했던 자매들의 서사에 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순결 이데올로기가 강조되었던 1960년대 당시 많은 여성들은 연애와 결혼의 문제에 몰두하였는데 박경리 소설은 그 과정에서 서로 다른 가치관을 지닌 자매들이 대립하고 분열하는 양상을 그려낸다. 또한 낭만적 사랑의 담론은 여성인물들이 남성에게 의존하게 만듦으로써 이성애적 환상에 더 깊이 빠지도록 만들었고, 이는 자매의 대립을 더욱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그러나 박경리 소설에서 그러한 사랑은 대부분 실패로 끝나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바로 좌절의 과정에서 자매간의 결속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반목하기만 했던 박경리의 자매들은 성녀와 악녀라는 이분법을 해체하는 가운데 서로를 향한 이해의 가능성을 조금씩 보여주기 시작하며 서로의 상황에 공감해 나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수평적 관계 속에서 서로를 지켜내기 위해 힘쓰는 자매들의 모습은 수직적이고 위계적인 형제들의 로망스에 대항하는 힘을 지닌다. Ⅳ장에서는 혈연가족의 억압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는 여성인물들의 모습에 주목하여 박경리 소설을 살펴보았다. 수동적 존재로 살아가야만 했던 당대 여성들은 자신의 희생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는 가정을 벗어나는 것에 있어 어려움을 겪었는데 혁명의 주체였던 남성인물들과 달리 박경리의 여성인물들은 사회·경제적 존재로 인정받지 못한다. 그러나 박경리 소설의 여성인물들은 이러한 가족의 한계에 갇혀있지 않고 비혈연 관계에 놓인 여성들과 마주하면서 이 한계를 극복해나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무엇보다 이들은 누구도 예외를 두지 않는 보편적 돌봄을 실천함으로써 보다 나은 세계를 향해 전진해 나간다.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비혈연 여성공동체는 일방적이고 폭력적인 혈연가족의 관계를 극복하는 양상으로 제시되며 이는 여성을 구속하는 공동체가 아니라 사회의 모든 약자들을 치유하는 공동체로 자리한다. 이렇게 박경리의 1960년대 장편소설을 여성가족로망스의 서사로 분석하다보면, 작가의 소설에 나타나는 여성 간의 갈등과 연애 담론 등이 단순히 대중성만을 겨냥하기 위한 자극적인 소재로 이용된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박경리는 자신의 소설을 통해 여성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자 했던 당대 사회의 문제점을 명확히 짚어내고 있었던 것이다. 나아가 박경리는 관계의 회복을 꾀하는 여성인물을 등장시키고 이들이 의지를 잃지 않고 새로운 공동체를 만들어나가는 모습을 제시함으로써 자신의 소설을 윤리적이고도 정치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는다. 특히 1960년대 박경리의 장편소설의 의의를 밝히는 연구가 그간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박경리가 제시하는 여성가족의 형태를 정치적이고도 윤리적으로 사유하는 작업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박경리의 여성 인물들은 남성 중심적이고 혈연 중심적이며 인간 중심적인 틀에 갇힌 가족에서 벗어나 기존의 질서를 뒤집고, 경계를 교란하며, 세계를 횡단하는 가족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이다.;This study aims to reveal that Park Kyung-ree's 1960s novels, which have been undervalued for their high popularity, are showing aspects of feminist family romance that subverts patriarchal and male-centered order. Feminist family romance is a concept that exclusively conveys a Freudian model of a family romance and imagines the family around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which was excluded from existing family romance works. Starting with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Park's novels show signs of female family romance through narratives of disconnection and solidarity among female characters. Therefore, we want to be attentive to the fact that various aspects of female family members in Park 's novels are presented in a way that overcomes the existing male-centered narrative. The author criticizes patriarchal ideology for fostering a sense of division among women during the national reconstruction and depicts a disruption of order by uniting these women. The discussions on the mechanisms that controlled women at the time, including maternal myths, romantic love fantasies, and sexual division of labour, were divided into three chapters, focusing on the following keywords: mother, daughter, sister, and non-blood women's communities. Chapter II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daughter to restore the voice of the mother who had been alienated from the Oedipus narrative. In patriarchal society, even daughters are seen rejecting or turning a blind eye to their mothers because they think their mothers will also pass on such oppression to them. However, further suggesting a possibility of their union, Park stays consistent with feminist family romance's narrative that the mother and daughter's voices should begin with the two females’ integration. In Park's novels, which show that mother-daughter relationships can never be separated, daughters experience the process of identifying with their mothers, and, by breaking the silence, the mothers also eventually are able to convert the accumulated anger into feelings of love. Chapter III analyzes the narratives of the sisters, who were not noted unlike the narratives of the brothers. In the 1960s, when the ideology of purity was emphasized, many women were heavily immersed in love and marriage issues, but Park's novels rather highlight the confrontation and division of sisters with different values in such circumstances. In addition, the discourse of romantic love made female characters fall deeper into heterosexual fantasies by making them dependent on men, which further deepened the clash between the sisters. However, in Park Kyung-ree's novels, such love mostly ends in failure, and what is important here is that sisterhood is achieved as they experience frustration in their failed relationships. The sisters who had only been at odds in the novels eventually are able to sympathize with each other by gradually setting forth the possibility of mutually understanding while dismantling the dichotomy of saint and witch. And the sight of these sisters striving to protect each other in this horizontal relationship has the power to counter the romance of vertical and hierarchical brothers. Chapter IV explores Park's novels with the notion that female characters could not escape the oppression of their blood-related families. Women at the time, who had to live passively, had difficulty escaping the family that took their sacrifices for granted, and unlike male figures who were the main agents of the revolution, Park's female figures are not recognized as social and economic beings. However, the female characters in her works show that they are not confined to these family limitations and overcome them through interactions with non-blood women. Above all, they move forward to a better world by practicing universal care that excludes no one. In the process, the non-blood women's community is presented as a way to overcome the unilateral and violent blood-related family relationship, which is not a community that binds women, but a community that heals the weak in society. In this way, analyzing Park's 1960s feature novels as narratives of a feminist family romanc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nflict between women and the love discourse in the author's novels were not used as stimulating materials for simply aiming at popularity. Park clearly pointed out the problems of the society that effectively controlled women in her novels. Furthermore, Park opens up the possibility of ethical and political motives behind her novels by introducing female figures seeking to restore relationships and presenting them to create a new community without losing their will. In particular, given that her works have not been fully researched in the 1960s, the political and ethical consideration of the female family form presented by Park is quite significant. Through her works, Park Kyung-ree's female characters are able to move away from the family with frameworks centering on males, blood relationships, and people to one that overturns the existing order, confounds boundaries, and manifests transvers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