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7 Download: 0

한·중 고전 이별시가 교육 비교 분석 연구

Title
한·중 고전 이별시가 교육 비교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orean-Chinese Classical Breakup Poetry Education: Focusing on Korean 『Korean』 and 『Literature』 textbooks and Chinese 『Language』 textbook
Authors
LI, YAN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소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ducate classical farewell poems by finding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lassical farewell poems in Korea and China, and classical farewell poems in Korea and China through the education. As a result, Korean and Chinese high school textbooks and Chinese high school language textbooks were compared to the current status of sanctions on classical farewell poems, especially learning goals and learning activities. Through this, not only can classical separation poems in Korea, China high schools deepen awareness of education, but also find ways to effectively implement classical separation poems in the field of education by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Chapter II first analyzed and summarized theoretical studies on classical farewell poems in Korea and China and classical farewell poems in educa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ies in sections A and B in sections C,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Korea-China classical farewell poem education.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of educ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were studied in detail, noting three areas: a comparative analysis of market price prong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gree of “separation” 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 and poetic object. In Chapter III, the Korean language (Chinese language) and curriculum of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examined. Here, we divided the nature, goals, and content system of the curriculum into three parts. In addition, classical farewell poems in Korean and Chinese high school textbooks were found, and the classical farewell poems in Korean and Chinese textbooks were specifically “tabled and the frequency of the book was examined, and the learning goals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analyzed. In this area, we foun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aspects of Korea and China and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In this section, we considered the aspects of learning goals and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the “Jemangmae”, “Sokmi Ingok”, and Chinese“PIPAXING BINGXU” and “YULINLING HANCHANQUQIE”in the textbook of Chinese “language” in 2015 revised Korean and Literature, which have the highest frequency. In response, the classic farewell poem in Chapter IV suggested a direction for improvement in education and sought corresponding improvement measures. In this section, classical farewell poems, mainly includ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at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s, focused on aspects and educational contents and suggested effective education measures. First of all,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the following aspects was presented: First,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the album,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classical farewell poems in Korea and China was the same. We look forward to educating more classical farewell poems by including their works. Second, the classical separation poems in Korean and Chinese high school textbooks show that Korea has the largest number of Joseon works among the four periods of ancient, Three Kingdoms, Goryeo, and Joseon, while China has the largest number of works of the time. In response, it seems necessary to include works from different eras in order to proceed with various education in the classical Chinese high school farewell poem. Third, if you look at the aspects of classical separation poems in Korean and Chinese high school textbooks, the classical separation poems included in China are relatively single, and there are only then and then, Songsa. So there is a need to add various prongs. The results of the study of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content in the next classic farewell poem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discus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n the learning objective in classical parting poems. First of all, efforts shall be made to educate classical farewell poems according to the theme of "separation" because they are often set by time and by author in the field of setting up members. Next, China needs to set accurate unit learning goals and work learning goals according to each level of curriculum to solve problems that will reduce learning efficiency in learning literary works. Second, we discus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learning activities in classical parting poems. First of all, I think it is necessary to design answer examples by learning from Korea. This is because such answer examples in the actual curriculum can exercise review and new knowledge acquisition actions and increase learners' learning activities.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literary knowledge identification activities" such as understanding of local songs and lyrics in Korea, "comparison with other works", and "concern and appreciate modern life". This deficiency problem needs to be addressed. Therefore, further explanation of literary knowledge is needed. Simply, it is not enough to focus on any literary work, and more works should be explored across the board, and the literary knowledge included and shown in it should be identified in the learning process. There is a lack of comparison activities and additional activities to connect and appreciate modern life. Through work comparison activities, one should improve one's understanding of parting time. At the same time, the text is interpreted in various ways, taking into account cognitive and definitive characteristics. It is also said that there is a need to make classical farewell poetry well-knit with modern tim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ursue the first pitch analysis activities according to the work. This is because you can get a better grasp of the scenery and emotions of classical separation. We studied the aspects, learning goals, and learning activities in detail in the Korean language (Chinese language) of Korean and middle school high schools and classical farewell poems in textbooks. Based on this, the direction and method of education improvement were presented in Chapter Ⅳ. This is expected to help educate classical farewell poems in the future. Also, I think classical parting poems will be beneficial to improve education. However, this school has a one-sided nature and limitations because it has not studied more classical farewell poems mainly based on Korea's "Jemangmae", "Sokmi Ingok", Chinese“PIPAXING BINGXU” and “YULINLING HANCHANQUQIE” in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Ⅰ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의 고전 이별시가 관련 연구, 고전 이별시가 교육 관련 연구에 대해 탐구하고 그 다음에 한·중 고전 이별시가, 고전 이별시가 교육 관련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한·중 고전 이별시가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발견하여 고전 이별시가를 교육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로써 구체적으로 한국과 중국의 고등학교 2015 개정 국어과 교과서 및 중국 고등학교 어문(語文)과 교과서에서 고전 이별시가의 수록 제재 현황, 고전 이별시가의 교육 현황, 특히 학습목표, 학습활동 등 교육 내용에 대해 비교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한·중 고등학교 고전 이별시가 교육에 대한 인식을 심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비교 분석하여 한·중 고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고전 이별시가 교육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Ⅱ장에서는 먼저 한국과 중국에서의 고전 이별시가, 고전 이별시가 교육에 대해 이론적 연구를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C절에서 A절 및 B절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한·중 고전 이별시가 교육에 대해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고전 이별시가, 고전 이별시가 교육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다음과 같이 ① 시가의 갈래에 대한 비교 분석, ② “이별”의 정도에 대한 비교 분석, ③ 작자와 시적 대상의 관계에 대한 비교 연구 대한 비교 분석 총 3 가지 방면을 주목하여 자세히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그 다음에 Ⅲ장에서는 한·중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서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와 내용 체계 총 3부분을 나눠 자세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과 중국의 고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고전 이별시가를 찾아내서 “표”의 형식으로 구체적으로 한국과 중국의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 이별시가 작품을 “표”를 만들었고 수록 빈도도 함께 조사한 후에 그 수록 작품의 학습목표, 그리고 학습활동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주로 한국과 중국의 수록 양상, 교육 내용 현황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였다. 이 부분에는 수록 빈도가 제일 높은 한국 2015 개정 『국어』·『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제망매가>, <속미인곡>, 중국 『어문』 교과서에 수록된 <琵琶行 幷序> 및 <雨霖鈴·寒蟬淒切>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학습목표 양상, 학습활동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어 Ⅳ장에서는 고전 이별시가 교육 개선 방향을 제시하여 상응된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주로 한·중 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 이별시가 양상 및 교육내용을 주목하여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언하였다. 우선은 수록 양상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수록 빈도 방면에는 한국과 중국의 경우 고전 이별시가 작품의 수록 수는 같다는 것으로 드러났다. 더 많은 고전 이별시가 작품을 수록하여 교육하는 것을 기대한다. 둘째, 한국과 중국 고등학교 교과서에서의 고전 이별시가 수록 양상을 시대별 로 보면 한국에는 주로 고대,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네 시기를 구분하여 그 중에 조선시대 작품이 제일 많이 수록되었고 중국에는 당대, 송대 두 시기를 구분하여 당대 작품이 압도적으로 작품 수가 많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중국 고등학교 고전 이별시가 교육을 다양하게 진행하기 위하여 다른 시대의 작품의 수록이 필요해 보인다. 셋째, 한국과 중국 고등학교 교과서에서의 고전 이별시가 수록 양상을 갈래별 살펴보면 중국에는 수록된 고전 이별시가 작품 갈래가 상대적으로 단일하고 당시, 송사 밖에 없다. 그래서 다양한 갈래 작품을 추가 수록할 필요가 있다. 그 다음에 이상의 고전 이별시가 교육내용 개선 방향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첫째, 고전 이별시가 학습목표에 대한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우선은 단원 설정 방면에서 시기별, 작자별 설정하는 경우가 많아서 “이별”인 주제별 따라 고전 이별시가를 교육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다음에는 중국의 경우 따로 학습목표 항목을 설계하지 않았음으로 인해 고전 이별시가를 교육하는 데도 학습목표를 파악하지 못하여 문학 작품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학습 효율을 떨어뜨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록된 고전 이별시가는 각 단계의 교육과정에 따라 정확한 단원 학습목표와 작품 학습목표를 교과서에 설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고전 이별시가 학습활동에 대한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우선은 학습활동 문항 형식 설계는 한국을 배워 답안 예시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실제 교육과정에는 이런 답안 예시는 복습 작용 및 새로운 지식 습득 작용을 발휘할 수 있고 학습자들의 학습 적극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에 향가에 대한 이해 학습활동과 가사에 대한 이해와 같은 ‘문학 지식 파악 활동’, ‘다른 작품과의 비교’라는 활동, “현대의 삶에 연결해서 감상하는 활동”도 부족하다. 이 부족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따라서 문학 지식에 대한 추가 설명이 필요하다. 어느 문학 작품을 집중하여 연구하는 것이 부족하고 전면적으로 더 많은 작품도 같이 탐구하고 그에서 포함되고 보여준 문학 지식도 학습 과정에서 같이 파악해야 한다. 작품 비교 활동 부족하고 현대의 삶에 연결해서 감상하는 활동을 추가한다. 작품 비교 활동을 통해 이별시가에 대한 이해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동시에 인지적 특성과 정의적 특성을 고려하여 텍스트를 다양하게 해석한다. 또한, 고전 이별시가를 현대와 잘 긴밀하게 만들어야 할 필요성도 있다고 한다. 그밖에, 작품에 따라 시구 분석 활동을 추구할 필요성이 있다. 왜냐하면, 고전 이별시가에 나온 풍경, 감정에 대해 더 잘 파악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 한·중 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 이별시가의 수록 양상, 학습목표, 학습활동 등에 대해 상세하게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제 Ⅳ장에 고전 이별시가 교육 개선 방향 및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앞으로 고전 이별시가 교육을 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고전 이별시가 교육을 개선하는 데 유익할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주로 한국 2015 개정 『국어』·『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제망매가>, <속미인곡>, 중국 『어문』 교과서에 수록된 <琵琶行 幷序> 및 <雨霖鈴·寒蟬淒切>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진행하고 더 많은 고전 이별시가에 대해 연구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일방성이 있고 아직 한계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