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2 Download: 0

한·중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설명적 텍스트 읽기 교육내용 비교 연구

Title
한·중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설명적 텍스트 읽기 교육내용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the Educational Content of Explanatory Texts in Korean and Chinese Junior Middle School Chinese Textbooks
Authors
DONG, XIAOHUI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의 최신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양국의 <국어>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설명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단원 구성, 학습활동, 교육내용의 특징 등을 비교·분석하고 이에 따라 중국의 중학교 설명적 텍스트 읽기 교육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한국과 중국의 교육은 전통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발전했으며, 현대에 이르러서도 그 공통점과 차이점이 주는 교육적·연구적 시사점이 크다 할 수 있다. 특히 <국어> 교과의 비교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모국어 교육의 현주소를 살필 기회를 제공하며, 양국의 국어교육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국어교육의 발전을 위한 적절한 방향을 조망해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의 구현체이자 교육현장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텍스트인 양국의 국어 교과서를 비교함으로써, 양국의 설명적 텍스트 읽기 교육을 면밀히 살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Ⅱ장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중등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살피고, 양국의 읽기 영역 교육에서 설명적 텍스트가 어떠한 성취기준으로 구현되었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한국과 중국의 최신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주목할 만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이러한 지점들이 읽기 교육에 미친 영향과 그 시사점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핵심 연구 내용인 설명적 텍스트가 한국과 중국의 국어교육에서 어떻게 다뤄지고 있는지 개념, 내용 구조를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특히, 설명적 텍스트의 텍스트 구조를 결정짓는 특징으로 양국의 설명적 텍스트 분류 방법과 그러한 분류에 따른 담화 표지어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한국과 중국의 국어교육 장면에서 설명적 텍스트와 관련된 용어가 다소 상이하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설명적 텍스트에 요구하는 특성과 기준에 있어 다른 지점을 논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주요 연구 내용인 한국과 중국의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교과서는 한국의 중학교 <국어>(천재교육출판사, 미래엔) 총 12권과 중국의 인민교육출판사의 <국어> 총 6권이다. 분석 기준은 내용 체제를 살펴볼 것이다. 내용 체제의 세부 분석 내용은 양국 국어 교과서의 단원 구성 체제, 핵심 텍스트인 바탕글, 학습활동의 양상이다. 분석을 통해 한국의 국어 교과서가 일정한 단원 체계에 맞춰 구성되며 단원 도입 부분에 학습 목표가 명시되어 있는 것과 달리, 중국의 국어 교과서는 특정한 체계 없이 단원별로 상이한 구성을 보였다. 바탕글로 쓰인 설명적 텍스트의 제재에서도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한국의 설명적 텍스트는 주로 일상적인 사물과 현상을, 중국은 학문적이고 원리적인 내용을 담은 것이 많았다. 또한, 학습활동의 측면에서도 한국의 교과서가 그 비중이 크며, 복합적 탐구 활동을 다룬 경우가 많은 반면에 중국 교과서의 학습활동은 그 비중이 적고 언어능력을 기르는 기능적 시험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Ⅳ장에서 한국과 중국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설명적 텍스트 읽기 교육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중국의 국어교육의 특수한 목표와 장점을 계승하는 동시에 한국의 국어 교과서에 구현된 설명적 텍스트의 교육방안의 장점을 접목하여, 단원 구성, 바탕글, 학습활동의 세 가지 측면에서 개선 내용을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를 전반적으로 요약·정리하고 연구의 의의를 밝힘과 동시에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후속 연구에 대한 기대를 제안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tructure of units, learning activities, and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the latest curriculums in Korea and China, focusing on the descriptive texts of the two countries'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s. It is to seek ways to improve the teaching of descriptive text reading in middle school.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has traditionally developed in close relations, and even in modern times, the educational and research implications of their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can be said to have great implications. In particular, a comparative study of the subjects of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current address of Korean and Chinese native language education, objectively underst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both countries, and provide a view of the appropriat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is study, we tried to closely examine the explanatory text reading education of both countries by comparing the Korean textbooks of both countries, which are the realization of the curriculum and texts actually used in the educational field. In Chapter II, we will examine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secondary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Korea and China, and analyz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descriptive texts in both countries' reading education. In this course, we will reveal remarkabl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from Korea and China to the latest curriculum, and look at the effects and implications of these points on reading education. In addition, how the explanatory text, the core research content of this study, is handled in Korean and Chinese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compared focusing on the concept and content structure.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d on the descriptive text classification methods of both countries and the discourse markers according to such classification as the characteristics that determine the text structure of the descriptive tex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erms related to explanatory texts were somewhat different in the Korean and Chinese Korean language education scenes, and different poin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characteristics and standards required for explanatory texts. In Chapter III, a comparison and analysis of Korean and Chinese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he textbooks targeted for analysis are 12 volumes of Korean junior high school (Miraean, Genius Education Publishing Co., Ltd.) and 6 volumes of by People's Education Publishing House in China. The analysis criterion will look at the content system.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content system is the unit structure system of bilingual textbooks, the main text of the textbook, and the aspects of learning activities. Unlike the analysis that Korean textbooks are organized according to a certain unit system and learning objectives are specified in the introduction of units, Chinese Korean textbooks have a different composition for each unit without a specific system.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the sanctions of the explanatory texts written as background texts. Korean explanatory texts mainly contained everyday objects and phenomena, and China often contained academic and principled content. In addition, in terms of learning activities,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textbooks have a large proportion and dealt with complex inquiry activities, while Chinese textbooks' learning activities have a small proportion and are concentrated on functional tests to cultivate language skills. . In Chapter IV,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Korean and Chinese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a plan to improve the explanatory text reading education of Chinese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was prepared. While inheriting the special goals and merits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while grafting the merits of the explanatory texts embodi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improvement measures were proposed in three aspects: unit composition, base text, and learning activities. In Chapter V, clarifie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proposes expectations for subsequent studies that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