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영-
dc.contributor.author현우인-
dc.creator현우인-
dc.date.accessioned2021-07-29T16:32:57Z-
dc.date.available2021-07-29T16:32:57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808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8080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8288-
dc.description.abstract간호사는 환자 임종 시 환자, 환자가족 및 의료팀을 연계하며 가장 직접적인 임종간호를 제공하는 의료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자와 환자 가족에게 최상의 임종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간호사가 어떤 간호를 최상의 임종간호라고 인식하고 있는지, 웰다잉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2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2021년 4월 28일부터 5월 12일까지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로 최상의 임종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견해는 Waller 등(2020)이 개발한 도구 중 한국 연구자들이 번안한 ‘최상의 임종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견해’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웰다잉에 대한 인식은 Schwartz 등(2003)이 개발한 좋은 죽음 측정도구를 변비조(2016)가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및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병동 또는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총 121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3.90±.611세, 평균 임상경력은 58.64±63.46개월, 근무부서는 외과계(42.1%)가 가장 많았다. 임종간호 교육을 받은 사람은 42.1%로 과반수이상이 보수교육(39.2%)과 특강(23.5%)을 통해 교육을 받았다. 대상자가 지난 1년 동안 간호한 임종환자의 수는 1-5명(50.4%)이 가장 많았다. 임종간호로 선호한 장소는 호스피스/완화간호 병동이 59.5%였고, 집이라고 선택한 응답은 37.2%였으며, 선호한 장소를 선택한 이유는‘원하는 바를 가장 존중해 줄 것 같다’(20.8%),‘전문의료케어/장비가 있다’(11.5%) 순이었다. 가족이나 친구가 임종을 맞이한 장소는 ‘경험 없음’(30.1%)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최상의 임종간호에 대한 인식의 총 평균은 5점 척도상 4.04±0.82점으로 본 연구에서는 최상의 임종간호에 전반적으로 ‘동의한다’ 수준을 나타냈다. 각 하위 영역의 평균은 의료팀 측면 4.16±0.73점, 병원/의료체계 측면 4.12±0.83점, 환자가족 측면 4.12±0.72점, 환자 측면 3.89±0.89점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동의를 받은 문항은‘가족마다 질문이나 고민이 있는 경우 일차적으로 연락할 수 있는 사람을 지정한다’이며, 가장 낮은 동의를 받은 문항은 환자 측면에서 ‘완화 간호 전문가가 24시간 내내 접근 가능하다’이었다. 웰다잉에 대한 인식의 총 평균은 5점 척도상 3.63±1.14점으로 웰다잉 문항 중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문항은‘평화롭게 죽는 것이다’이며, 가장 중요하지 않은 문항은 ‘꼭 해야 할 일을 할 때까지 살아 있는 것이다’, ‘가능하면 집에서 사망하는 것이다’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 중 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최상의 임종간호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t=-.972, p=.013). 즉 30대 연령군이 20대 연령군보다 최상의 임종간호에 대한 동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최상의 임종간호와 웰다잉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072, p=.435). 본 연구의 결과, 간호사는 30대의 연령이 20대보다 최상의 임종간호에 대한 동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연령이 낮은 간호사를 대상으로 임종간호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Nurse is an epitome of medical personnel who links between a patient, a patient's family and the medical team while providing the most direct end of life care for the patient. Thus, it is imperative to examine the definition of the end of life care and well dying perceived amongst nur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tails of the optimal end-of-life care and well-dying perceived by the nurses, and to figu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s study surveyed 121 nurses working in the ward or intensive care unit of a general hospital in Seoul, and analyzed the data collected from April 28 to May 12, 2021. The research tool is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for nurses' views on the optimal end of life care, ‘Nurses perceptions of optimal end of life care’ tool was used. It is one of the tools which were developed by Waller et al. (2020) for hospital nurses in Korea, Australia and Hong Kong and translated by Korean researchers. For a well dying perception, the tool which was developed by Schwartz et al. (2003) and modified by Byon (2016)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ubjects were 121 nurses working in the ward or intensive care unit, with an average age of 23.90±.611 and an average clinical experience of 58.64±63.46 months, while the number of nurses amongst the subject working in the department of surgery being the most(42.1%). The number of nurses who received end-of-life care education was 42.1% (51), whereas more than a half the subject nurses received education through continuing education (39.2%) and special lectures (23.5%). The number of dying patients who have been cared for in the past year by the subjects varied with the most 1-5(50.4%). The most preferred places for dying nursing were hospice/palliative nursing wards 59.5%(72), followed by home 37.2%(45). The reason why they preferred the place was because ‘they are likely to be respected most in the place’ 20.8%(60) and ‘they have specialized care/equipment.’ 11.5%(33). The highest number of places where family members or friends have died was ‘no experience’ (30.1%). 2. The total average of the subjects' perceptions of the optimal end of life care was 4.04±0.82 on a five-point scale, indicating that the subjects are overall situated on‘agree’ level for the optimal end of life care in this study. The mean of each subregion was 4.16±0.73 points on the medical team, 4.12±0.83 points on the hospital/medical system, 4.12±0.72 points on the patient family, and 3.89±0.89 points on the patient. The most highly agreed question was ‘Designate a primary contact for each patient’and the lowest agreed question was ‘Palliative care professionals are accessible for 24 hours’. The total average of well dying perceived by the subjects was 3.63±1.14 on a five-point scale, while the most important recognized questions of the well dying was ‘That it be peaceful,’; the least was ‘That the person lived until a key event’ and ‘That the person was able to remain at home’. 3. Of general characteristics, age variable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optimal end-of-life care(t=-.972, p=.013). In other words, those in their 30s displayed higher consent for end-of-life care than those in their 20s. 4.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ptimal end-of-life care and well-dying show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r=.072, p=.435) between the two. Pertain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displayed higher consent for the optimal end-of-life care amongst nurses in their 30s than 20s, education to raise awareness of end-of-life care should be provided to nurses of earlier ag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 고찰 6 A. 임종에 대한 인식 6 B. 간호사의 임종간호 9 C. 간호사의 웰다잉 인식 13 Ⅲ. 연구 방법 16 A. 연구 설계 16 B. 연구 대상 16 C. 연구 도구 17 D. 자료 수집 방법 18 E. 자료 분석 방법 19 F. 윤리적 고려 19 G. 연구의 제한점 20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21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임종간호 관련 특성 21 B. 대상자의 최상의 임종간호와 웰다잉 27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임종간호 관련 특성에 따른 최상의 임종간호와 웰다잉 차이 33 D. 대상자의 최상의 임종간호와 웰다잉 간의 상관관계 36 Ⅴ. 결론 및 제언 39 A. 결론 39 B. 제언 41 참고문헌 42 부록1. 대상자 설명문 및 동의서 51 부록2. 설문지 55 부록3. IRB 연구 승인 통지서 64 부록4. 연구 도구 사용 허락 서신 65 ABSTRACT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22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간호사의 최상의 임종간호 및 웰다잉 관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al End of Life Care and Well Dying of Nurses-
dc.creator.othernameHyun, Woo In-
dc.format.pagev,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간호학전공-
dc.date.awarded2021.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