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7 Download: 0

시적 인식의 확장에 기반한 현대시 읽기 교육 내용 연구

Title
시적 인식의 확장에 기반한 현대시 읽기 교육 내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ducational contents of reading modern poetry based on the extension of poetic recognition
Authors
이진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본 연구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를 심화 및 확장하기 위하여 현대시에서의 인식을 현대시 교육의 내용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전까지 현대시 교육에서 인식의 개념과 교육 내용이 어떻게 다루어져왔는지 검토하고, 기존 교육에서 인식 개념의 한계를 확인함으로써 인식의 교육 내용을 확장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시적 인식’이라는 개념의 위상을 현대시 교육의 교육 내용에 포함할 수 있는 인식의 일환으로 설정한다. ‘시적 인식’은 현대시에서 나타나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이해의 내용이다. 시적 인식은 특정한 장르론에 기댄 인식 개념에서 벗어나 현대시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인식의 체계를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이며, 동시에 시 교육의 장에서 학습자에게 교육 내용으로 작용하는 인식 개념의 작동 원리를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시적 인식 개념을 시 교육에서의 기존 인식 개념으로부터 내용적·기능적으로 확장하였다. Ⅱ장에서는 시 교육에서 시적 인식 개념을 확장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전제를 마련한다. 이를 위해 우선 기존 시 읽기 및 시 교육에서 활용되고 있는 인식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인식 개념이 시적 인식으로서 시 교육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살핀다. 그 결과로 시적 인식이 교육적으로 어떻게 소용될 수 있는지 정위하고, 기존 인식 개념으로부터 시적 인식의 내용을 확장하고, 그 기능 역시 확대해 논의하였다. Ⅲ장에서는 현대시 개별 작품에서 시적 인식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 내용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윤동주, 문태준, 이장욱의 시를 논의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 시인은 작품 세계 차원에서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인식의 행위를 시적으로 사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논의의 의미가 있다. 이때의 시적 인식은 인식이 촉발되고, 인식을 표출하고, 인식적으로 지향을 드러냄으로써 설명된다. 인식이 처음 발생하는 순간, 인식하는 주체는 인식의 대상으로서 주체와 다른 타자를 조우하게 되고 이때 타자에 대한 인식에서 균열과 갈등이 확인되며 인식은 쉽사리 확정되지 않는 경계성(境界性)을 형성하게 된다. 이어 불완전한 인식의 내용이 표출되며 그 표현은 무엇도 확정하지 못하는 부정(不定)의 사태를 낳는다. 끝으로 이러한 인식의 불완전함이 지속적으로 나타남에도 인식 주체는 인식을 포기하지 않고 타자에 대한 인식의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이러한 인식적 지향이 시적 인식의 정체라고 볼 수 있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검토한 현대시에서의 시적 인식을 토대로 시적 인식의 내용을 시 교육의 차원에서 설계하였다. 우선 시적 인식은 학습자의 일상적 인식과는 다른 인식의 체계를 보여 준다는 점에서 세계와 타자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전환하고 확장한다는 교육 목표를 가질 수 있다. 더불어 시적 인식은 타자를 정확하고 올바른 방식으로 인식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을 지속한다는 점에서 학습자로 하여금 윤리적인 인식 행위를 정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는 개별 작품에서 시적 인식을 확인하여 타자가 가지는 성질을 이해하고, 인식적 어려움을 발생시키는 애매성을 승인하며, 올바른 인식의 과정을 지향함으로써 타자와 자신의 관계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어 본 연구는 시적 인식을 토대로 한 시 읽기 교육의 방법을 구성하였다. 학습자는 시적 인식에 기반하는 읽기 경험을 축적함으로써 자신의 인식의 한계와 다른 인식의 가능성을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읽기 과정에서 자신의 읽기 행위의 의미와 한계를 스스로 성찰하는 방법을 알게 된다. 본 연구는 현대시 교육을 통해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는 학습자의 인식을 발전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교육 내용으로서 시적 인식 개념을 확장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통해 학습자가 하나의 인식 주체로서 타자를 올바른 방식으로 인식하는 윤리적 주체로서 성장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시 교육에서의 인식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the ‘recognition’ of modern poetry as the content of modern poetry education in order to deepen and expand learners'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the wor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recognition by examining how the concept of recognition and educational contents have been treated in the education of modern poetry, and by confirming the limits of the concept of recognition in the existing education. In this study, I set the status of the concept of 'poetic recognition' as a recognition that can be included in the educational contents of modern poetry education. ‘Poetic recognition’ is the content of understanding people and the world appearing in modern poetry. Poetic recognition is a concept that can explain the various systems of recognition appearing in modern poetry, breaking away from the concept of recognition based on a specific genre theory,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concept that can explain the working principle of cognition that acts as educational content for learners in the field of poetry education to distinguish it from the concept of a simple cognitive dimension. To this end, this study intends to expand the content and function of poetic recognition from the existing concept of recognition in poetry education. Chapter II prepares theoretical premises to broadly explain the concept of poetic recognition in poetry education. To this end, first, this study critically reviews the cognitive concept used in the existing poetry reading and poetry education, and examines how the cognitive concept can be applied in poetry education as a poetic recognition. Therefore, the concept of poetic recognition is pedagogically positioned, and the contents of poetic recognition are expanded from the existing concept of recognition, and its function is also expanded and discussed. Chapter Ⅲ examines how poetic recognition appears in individual works of contemporary poetry. The poems of 윤동주(Dong-Ju Yun), 문태준(Tae-Jun Moon), and 이장욱(Jang-Wook Lee) were the subjects of discussion. The discussion is meaningful in that these poets poetically contemplate the act of recognition despite their differences in the world of works. In this case, poetic recognition is explained by triggering awareness, expressing recognition, and revealing cognitive orientation. At the moment when cognition first occurs, the recognizing subject encounters the other as the object of cognition. At this time, cracks and conflicts are confirmed in the recognition of the other, and the cognition forms a boundary not easily determined. Then, the content of incomplete knowledge is expressed, and the expression creates a situation of denial in which nothing can be confirmed. Lastly, even though such incompleteness of recognition continues to appear, the subject of recognition does not give up the recognition and seeks the possibility of recognition of others. This cognitive orientation can be seen as the identity of poetic recognition. In Chapter Ⅳ, based on the poetic recognition in modern poetry reviewed in Chapter Ⅲ, the content of poetic recognition was designed in terms of poetry education. First of all, poetic recognition can have an educational goal of transforming and expanding the learners’ perception of the world and others in that it shows a system of percep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learner's everyday perception. In addition, poetic recognition can enable learners to establish ethical cognitive behavior in that they continue to strive to recognize and understand others in an accurate and correct way. In addition, learners can recognize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s by checking the poetic recognition in individual works, understanding the nature of others, approving the ambiguity that causes cognitive difficulties, and aiming for the correct recognition process. Next, this study constituted a method of poetry reading education based on poetic recognition. By accumulating reading experience based on poetic recognition, learners understand the limitations of their own perception and the possibility of other recognition in context, and learn how to reflect on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eir reading behaviors in the reading process. This study proposes to expand the concept of poetic recognition as a specific educational content to develop the learners' perceptions who understand human beings and the world through modern poetry education, and through this, learners recognize others as a cognitive subject in a correct way. We expect that the learners will be able to grow as an ethical subject.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various discussions about recognition in poetry education are expected to be activa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