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4 Download: 0

광고를 활용한 비주얼 텍스트 읽기 교육 방안 연구

Title
광고를 활용한 비주얼 텍스트 읽기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Visual Text Reading Education Using Advertising
Authors
임혜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비주얼 텍스트 읽기 양상을 파악하고 광고를 활용한 비주얼 텍스트 읽기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매체 기술이 발달하면서 문식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문자 텍스트 중심으로 논의했던 문식성의 범위를 넘어 복합양식 텍스트에 대한 문식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학습자가 새로운 문식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그림, 이미지, 영상 등과 같은 시각 양식 읽기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해졌다. 이미지와 문자가 복합적으로 결합한 텍스트를 읽어내기 위해서는 시각 양식을 읽어야 할 대상으로 상정하고 시각 양식이 구성하는 의미를 읽기 위한 읽기 교육이 필요하다. 기존의 교육 과정에서 시각 양식은 주로 문자 텍스트의 이해를 돕는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수단으로 다루어져 왔거나 복합양식 텍스트를 이루는 다양한 감각 양식의 한 종류의 예로서 다루어져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각 양식은 문자로 표현되지 않는 의미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기호로 작용하며 복합양식 텍스트 전체의 의미를 구성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시각 양식으로 구성된 텍스트를 보고 읽어내야 할 요소가 무엇인지, 그것을 어떠한 과정을 통해 읽어야 하는지 다루는 구체적인 읽기 교육 방안에 대해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주얼 텍스트 읽기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비주얼 텍스트의 개념과 비주얼 텍스트 요소의 범주, 비주얼 텍스트 읽기 과정 및 읽기 요소를 제안하였다. 비주얼 텍스트 요소의 범주와 각 범주에 해당하는 세부 요소들을 통해 비주얼 텍스트를 보고 학습자가 읽어야 할 대상이 무엇이며, 그러한 대상이 어떠한 의미를 전달하는지 광고 텍스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광고 텍스트는 다양한 시각 양식들이 집약적으로 결합되어 전체 텍스트에서 주요한 의미를 전달하는 텍스트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데올로기가 반영되어 있어 비판적으로 읽어야 할 텍스트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비판적 이해 과정에 따라 읽어내기에 적합하다. 그리고 비주얼 텍스트를 이해하는 과정을 탐색, 추론, 분석 및 비판으로 제시하였다. 학습자가 비주얼 텍스트에서 무엇을, 어떻게 읽고 의미 구성해야 하는지를 이해 과정에 따라 제시함으로써 비주얼 텍스트 읽기 과정을 명료화하고자 했다. 실제 교육 현장에서 실현할 수 있는 광고를 활용한 비주얼 텍스트 읽기 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남녀 고등학교 학습자 76명을 대상으로 광고 텍스트를 보고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의 비주얼 텍스트 읽기 양상을 분석하여 읽기 양상의 특성과 양상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학습자의 읽기 양상을 분석한 결과 일부 요소들의 연결 관계를 중심으로 비주얼 텍스트를 읽어냄으로써 생산과 수용 맥락을 고려하며 생산자의 의도를 따져 읽는 심층적인 읽기로 나아가지 못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학습자의 읽기 양상에서 나타난 문제점으로 용어에 대한 오개념으로 인해 중요한 의미 요소를 배제하며 읽기, 지엽적, 부분적으로 추론하며 읽기, 지나친 일반화의 오류가 나타났다. 이러한 비주얼 텍스트 읽기 양상에서 나타난 공통점은 이미지 해독을 잘 하지 못하여 경험적 지식을 통해 자신이 익숙한 특정한 양식에 기대어 비주얼 텍스트를 읽어냈다는 점이다. 이는 비주얼 텍스트 요소의 범주와 그것이 어떠한 의미를 실현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학습자에게 가장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리고 다양한 비주얼 텍스트 요소들을 식별하고 해독할 수 있을 때 비주얼 텍스트에 대한 탐색, 추론, 분석 및 비판으로 나아가는 심화된 읽기가 가능함을 보여준다. 비주얼 텍스트 읽기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학습자의 비주얼 텍스트 읽기 양상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광고를 활용한 비주얼 텍스트 읽기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비주얼 텍스트를 탐색, 추론, 분석 및 비판하며 읽을 수 있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읽기 과정을 점검하고 조절할 수 있는 독자를 읽기 교육의 목표로 하였다. 그리고 비주얼 텍스트 탐색하기, 추론하기, 분석 및 비판하기라는 읽기 과정을 기반으로 하여 비주얼 텍스트 읽기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광고를 활용한 비주얼 텍스트 읽기 과정을 구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교육의 실제를 구현하였다. 본 연구는 문식성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새로운 문식성을 함양하기 위해서 비주얼 텍스트 읽기 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를 위해 학습자가 읽어내야 할 텍스트로서 비주얼 텍스트를 상정하였다. 그리고 비주얼 텍스트를 구성하는 비주얼 텍스트 요소의 범주와 읽기 과정에 따른 비주얼 텍스트 읽기 요소를 명료화 하는 데 주목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에게 친근한 텍스트이면서 심화된 읽기가 필요한 광고를 활용한 비주얼 텍스트 읽기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광고 텍스트는 다양한 시각 양식이 집약적으로 결합되어 시청자의 감정에 홍보하거나 정보를 전달하는 텍스트이다. 다양한 시각 양식이 주된 의미를 전달하는 텍스트이기 때문에 시각 양식이 기호로서 의미를 실현하는 양상을 파악하기 용이하다. 또한 광고 텍스트는 다양한 이데올로기가 반영되어 있어 이를 비판적으로 읽어내야 할 텍스트이다. 그러므로 학습자가 텍스트의 표면적 의미와 그것에 내포된 의미를 이해함으로써 텍스트의 내용이나 표현 방식의 적합성에 대해 분석하고 비판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광고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복합양식 텍스트를 구성하는 다양한 양식들의 결합 방식과 의미의 통합을 읽어내는 읽기 교육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확장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확산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visual text reading patterns for high school student learners and propose a visual text reading training method using advertising. As the media technology develops, the literacy environment changes, which is beyond the scope of literacy, which was discussed around textual text, and literacy for complex text is required. As a result, it has become important for learners to have the ability to perform visual style reading such as paintings, images, images, etc. to adapt to a new literacy environment. In order to read text that combines images and text, reading education is needed to postulate the visual form as the text that needs to be read and read the meaning of the visual form. In the existing curriculum, visual modalities have been treated primarily as a means to assist in the understanding of textual texts, or as examples of various sensory modalities that form complex tex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sent specific reading instruction methods that address what elements should be viewed and read in text composed of visual modalities and what processes should be used to read it. To this end, this work proposes the concept of visual text and the categories of visual text elements, visual text reading processes, and reading elements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visual text reading. Through the categories of visual text elements and the details corresponding to each category, this study describes what learners need to read in the visual text and explains examples of advertisement texts showing the meaning of learners’ visual text reading. In addition, we present an understanding process called exploration, inference, analysis, and criticism, specifically suggesting a process in which learners understand the combined aspects of the visual text and read its meaning. We wanted to clarify the visual text reading process by presenting the process of how visual text elements combine to construct meaning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process. In order to come up with a visual text reading education plan that can be realized in the field of education, 76 high school learners were asked to look at the advertising text and fill out the questionnaire. In addition, we analyze the visual text reading aspects of learner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ding aspects and the problems that arise from them. Analysis of the learner's reading patterns showed that by reading visual texts around the connectivity of some elements, it fails to advance to in-depth reading, considering the context of production and acceptance and weighing the producer's intentions. Furthermore, the misconcept of terminology as a problem in the learner's reading pattern has resulted in errors in reading, local and partial reasoning, reading, and excessive generalization, excluding important semantic elements. What we have in common in this visual text reading pattern is that we are not good at deciphering images, so we read visual text by relying on the specific modalities we are familiar with through empirical knowledge. This shows that learners need the most understanding of the categories of visual text elements and what they mean. Furthermore, we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deep-seated reading that moves toward exploration, inference, analysis, and criticism of visual text when various visual text elements can be identified and decoded. Based on a theoretical review of visual text reading and an analysis of learners' visual text reading patterns, we propose a method for teaching and learning visual text reading using advertising. To this end, the goal of reading education is to be able to explore, infer, analyze, and read visual texts and to check and control their own reading process in the process. We also propose visual text reading training content and training methods based on the reading process of exploring, inferring, analyzing, and criticizing visual text. Through this, we wanted to implement the reality of education in which learners can specifically experience the visual text reading process using advertising. This work postulates visual text as a text that learners need to read to foster new literacy as the literacy environment changes. In addition, we focus on clarifying the categories of visual text elements that make up visual text and visual text reading elements according to the reading process. In addition, it propo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visual text reading using advertisements that are friendly to learners and require advanced reading.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hat follow-up studies that can expand various discussions on reading education that read the combination of the different modalities that make up the composite modality text and the integration of meanings will be sprea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