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5 Download: 0

만 40세 이상 성인 한국인에서 한국형 식사염증지표 수준이 당뇨병 발생률 및 당화혈색소 수준에 미치는 영향

Title
만 40세 이상 성인 한국인에서 한국형 식사염증지표 수준이 당뇨병 발생률 및 당화혈색소 수준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Korean Food-based Index of Dietary Inflammatory Potential on the Incidence Rate of Diabetes and HbA1c Level among Diabetes Patients in Korean adults Aged 40 or Older
Authors
윤현서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윤정
Abstract
염증은 인슐린 저항성과 췌장의 베타세포 분비 능력 저하라는 당뇨병의 기전의 원인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염증 관련 지표가 당뇨병의 발생과 악화를 예측하는 인자로 사용되고 있다. 식이는 체내 염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며 과도한 포화지방산, 단순당 식품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하도록 유도하여 염증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전곡물, 과일, 채소 등은 항염증작용을 통해 염증을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단독 식품이나 특정 영양소로는 식이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인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식품과 영양소를 종합하여 식사가 염증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할 수 있는 식사염증지표(Dietary Inflammatory Index, DII)가 개발되었다. 지금까지 DII와 당뇨병의 발생이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가 보고된 바 있으나, 역의 상관관계이거나 혹은 관련이 없다는 연구 또한 보고되었으며 DII와 당뇨병의 심각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한국유전체 역학조사 연구의 자료를 활용하여, 4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식사염증지표(Food-based Dietary Inflammatory Index Potential, FBDI)가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평균 3.97년의 추적조사 이후 888명에게서 당뇨병이 새로 발생하였으며, 나이와 성별만을 보정한 모델에서 FBDI가 가장 낮은 군에 비해 가장 높은 군이 당뇨병이 새로 발생할 위험비가 1.216(CI 1.01-1.47; p for trend=0.0037)로 양의 선형관계를 나타냈다. 하지만, 모든 교란변수를 보정한 모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기반조사에서 당뇨병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당뇨병 심각성 기준을 당화혈색소 9%로 살펴본 결과, FBDI가 가장 낮은 군에 비해 가장 높은 군이 당화혈색소가 9% 이상일 교차비가 모든 교란 변수를 보정하고 나서 1.151(CI 1.11-2.05;p for trend=0.0008)로 나타났다. 성별을 계층화 한 결과 FBDI가 가장 낮은 군에 비해 가장 높은 군이 당화혈색소가 9% 이상일 위험이 여성에게서 1.61배(CI 1.07-2.43;p for trend=0.061), 운동을 하고 있지 않은 그룹에서 2.026배(CI 1.25-3.26;p for trend=0.013), BMI가 25이상으로 과체중 혹은 비만인 경우 1.675배로(CI 1.05-2.66;p for trend=0.045)로 더욱 두드러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FBDI가 당뇨병이 있는 사람들 중 기반조사에서 당화혈색소가 9% 미만이었으나 추적조사에서 9%이상으로 증가한 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따라서, FBDI는 당뇨병의 발생률과는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당뇨병 환자의 당화혈색소 수준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당화혈색소 악화 정도는 여성과 운동을 하고 있지 않거나 비만인 경우에 FBDI의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보인다. 추후 보다 장기적인 추적 연구를 통하여 식사염증지표가 우리나라 당뇨병 발생률에 미치는 영향과 다양한 지표를 통하여 당뇨병의 심각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된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of Korean Food-based Index of Dietary Inflammatory Potential (FBDI) with the incidence rate of diabetes and HbA1c level among diabetes patients in in Korean adults.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HEXA baseline data, collected between 2004 and 2013 and followed up between 2012 and 2016, were used in our study. After excluding participants who did not meet the criteria or had missing data, the final subjects (n=60,772) including diabetic (n=6,548) and non-diabetic (n=54,224) ones were analyzed.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as a quartile of FBDI scores, which were calculated from the semi-quantitative food-frequency questionnaire (FFQ) developed for KoGES. The Cox proportional risk models were used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diabetes under FBDI scor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the severity of the disease under FBDI scores among people with diabetes. As results, there were 888 incident cases of diabetes after a mean follow-up of 3.97 years. FBDI score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for incidence of diabetes using multivariable-adjusted Cox regression model analysis. However, among the individuals with diabetes in baseline, the FBDI scores were related to the risk of progression of diabetes represented by more than 9% HbA1c (Q1 vs. Q4; odds ratio, 1.151 [1.11-2.05]; p for trend = 0.0008). The stratified analysis showed that the association was stronger in women (Q1 vs. Q4; odds ratio, 1.61 [1.07-2.43]; p for trend = 0.061), not exercise regular group (Q1 vs. Q4; odds ratio, 2.026 [1.25-3.26]; p for trend = 0.013), and higher BMI group (Q1 vs. Q4; odds ratio, 1.675 [1.05-2.66]; p for trend = 0.045). This study suggests that pro-inflammatory diets were not associated with incidence of diabetes, but with HbA1c level among diabetes patients. Further longitudinal studies with longer periods are required to determine a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inflammatory index and diabetes in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