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3 Download: 0

주변 풍경과 수집된 오브제에 의한 장면 표현 연구

Title
주변 풍경과 수집된 오브제에 의한 장면 표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Scenes Through Surrounding Landscapes and Collected Objects
Authors
정다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원인종
Abstract
From my point of view, the spaces in our lives are impermanent and fragmentary. A space quickly appears and disappears, and is often divided into tiny spaces for usage. In contrast, spaces in nature cyclically repeat themselves and are continual. Among these spaces, I focus on the in-between space where artificiality and nature coexist. This is because I exist somewhere between the city and countryside, the ground and sky, and reason and emotion. The fragments I choose between the contrasting spaces are newly transformed and reassembled. I introduce landscapes as a tool of thought. I create spaces for thought by collecting and recombining debris, which is thrown away by people who only pursue new things from the spaces and objects that quickly appear and disappear. By creating miniascapes of my surroundings, I can take a panoramic view of the landscapes. In addition, through the figures that represent people in my works, I can actively accept and understand the world I live in. Through artistic explorations of the real world, I also get fond of the space I live in. I contemplate life, and through my work, I provide space for ‘Wayu(臥遊)’ to contemporary people. When people view my miniascape, they will have an opportunity to look at their living space from a little far away. Chapter II, “From Landscapes,” is about two viewpoints regarding the components I collect by observing landscapes. First, “Landscape of Thought” is about landscapes from a macroscopic viewpoint. It discusses what a landscape is and how it is differently defined according to the Eastern and Western views of nature. Also, it examines Gyeomjae Jeong Seon’s real landscape paintings and Impressionist landscape paintings as examples of Eastern and Western landscapes. I analyz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paintings and the landscape elements of my own works. Second, “Objects That Have Lost Their Senses of Belonging” is about landscapes from a microscopic viewpoint. Strolling through urban landscapes, I observe, experience, and contemplate the city. The objects I find in the landscapes are usually faded ones which have been thrown away after they are considered to have outlived their purposes. By consistently observing the collected objects and communicating with them, I discover their potential energy and artistic potentiality. As related examples, this chapter examines some of Arte Povera, Antoni Tàpies, and Gabriel Orozco’s works that use objects from landscapes or everyday life. Chapter III, “Work Process,” explains my work process in the order of drawing, thinking about the objects' meaning, and creating the scene. To begin with, I make dry drawings of faded and forlorn landscapes rather than beautiful ones; for example, I choose to draw forbidden places, building constructions, and objects that have their lost senses of belonging. Then, as subjects of thought, the collected objects, which have their original implications, are combined with other materials. Through this process, their original forms are blurred and altered, and the objects take on different roles. Lastly, I discuss my “Scene Series” which I am working on by reconstructing discovered landscapes and collected objects. By creating two-dimensional drawings from three-dimensional landscapes and then reinstalling the drawings into three-dimensional structures, the images are naturally abstractified, creating a peculiar landscape. We are gradually becoming accustomed to temporary things. We are living among transient items and things being constructed. Naturally, my works also take the form of momentary installation art. This resembles the fast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spaces and objects, which are portrayed through light and delicate installation art rather than solid, organized, and heavy sculptures. In my newly created scenes based on my experiences in the contemporary era, there is a new world in which the realized world and idealized world coexist.;연구자가 바라보는 삶의 공간은 영구적이지 않고 단편적이다. 한 공간이 빠르게 생겼다가 사라지고, 밀도 있게 나눠져서 사용되기도 한다. 반면 자연의 공간은 리듬 있게 반복되면서 연속적이다. 여기서 연구자가 주목한 곳은 인공과 자연이 혼재되어 있는 사이의 공간이다. 연구자가 도시-시골, 땅-하늘, 이성-감성 사이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반된 두 공간 사이에서 연구자에 의해 선택된 파편들은 새롭게 변형되어서 재조합 된다. 연구자는 사유의 매개체로서 풍경을 제시한다. 빠르게 생성했다 소멸하는 공간 및 사물 속에서 새로운 것만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버린 잔해들을 수집하고 재조합 하여 표현함으로써 사유의 공간을 만들어낸다. 연구자의 관점을 담아 주변을 축경(縮景)함으로써 풍경을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 속에 배치된 인물을 상징하는 존재들을 통해 주체적인 의식을 바탕으로 살아가는 세상을 받아들이고 이해해 나간다. 현실 세계를 예술적으로 탐구하면서 살아가는 공간에 대한 애정도 가지게 된다. 삶을 관조하는 연구자는 작업을 통해 현대인들에게 와유(臥遊)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관람자가 현실을 살아가다 세상을 축소한 예술작품을 마주하게 됨으로써 현재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곳을 조금 더 떨어져 조망하도록 하는 것이다. II장 ‘풍경으로부터’는 풍경을 관찰하는 연구자의 시야에 따라서 수집된 요소를 두가지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첫째,‘사유의 풍경’에서는 거시적 관점에서 바라본 풍경을 이야기 한다. 풍경이란 무엇이며 동서양이 풍경을 바라보는 자연관의 정의 차이를 연구한다. 또한 동서양의 풍경 탐구로 조선 후기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와 인상주의 시대의 풍경화를 살펴본다. 각 풍경화에 나타난 특징과 연구자의 작업에서 나타나는 풍경 요소들 간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연관 지어 비교 분석 하였다. 둘째,‘소속감이 상실된 오브제’에서는 미시적 관점에서 바라본 풍경을 이야기한다. 연구자는 풍경 속을 걸으며 도시를 관찰, 경험하고 도시에 대해 사유한다. 연구자가 풍경 속에서 발견한 오브제는 대부분 사용자가 쓸모를 다했다고 여겨 버려진 빛 바랜 오브제이다. 수집된 오브제를 지속적으로 바라보고 교감하여 그것이 내포하는 ‘잠재적 에너지’, ‘예술적 가능성’을 발견한다. 관련 사례로 그룹 아르테 포베라, 타피에스와 가브리엘 오로즈코 작업 중 풍경이나 일상 속에서 수집한 사물의 미술사적 사례들을 연구한다. III장 ‘작업의 전개’는 연구자의 작업 과정을 드로잉, 사유의 대상으로서 오브제, 그리고 장면 시리즈 순으로 서술한다. 우선 연구자는 금지된 장소, 건축 구조물, 소속감이 상실된 오브제 등 아름답기 보다는 빛 바래고, 쓸쓸한 풍경을 선택하여 건조하게 드로잉 한다. 다음으로 사유의 대상으로서 오브제는 오브제가 가지고 있던 의미를 함축하면서 다른 것들의 조합에 의해서 오브제의 본 모습이 희석되고 전환되며 새로운 역할을 부여 받는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발견된 풍경과 수집한 오브제를 재조합 하여 ‘장면(scene) 시리즈’를 제작하고 있다. 3차원의 풍경이 2차원의 드로잉으로 옮겨지고 다시 설치를 통해 입체화 되면서 자연스럽게 이미지의 추상화 과정이 일어나고 이는 묘한 풍경을 자아낸다. 우리는 점차 임시적인 것에 길들여지고 있다. 일시적인 것, 조립되는 것들 사이에서 살아가고 있으며 자연스럽게 연구자가 만드는 장면 또한 일시적인 설치 미술의 형태이다. 이는 빠르게 생산되고 사라지는 공간과 사물의 속도와 닮았다. 단단하고 짜임새 있거나 무거운 조각이 아닌 가볍고 연약한 조립식의 작품 설치 방법을 통해 드러난다. 연구자가 현시대를 보고 살아가며 새롭게 만든 장면은 현실경(現實景)과 이상경(理想景)이 공존하는 새로운 세계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