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비대면 실시간 화상 한국어 수업에서의 의사소통 문제 연구

Title
비대면 실시간 화상 한국어 수업에서의 의사소통 문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mmunication problems in non-face-to-face real-time online Korean language classes : Based on the non-face-to-face classes from King Sejong Institute
Authors
양혜윤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gain understanding on teacher-learner interactions in non-face-to-face real-time online Korean language classes by analysing communication problems occurred during the non-face-to-face classes and their corresponding strategies employed by teachers and learners. Prior research has found that the transition from face-to-face classes to non-face-to-face classes has caused a number of problems, one of which is that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is difficult. And to address this, there were discussions on a number of improvements, including factors affecting interaction. This stud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eacher-learner interaction in learners' Korean language acquisition, and examined the following: (1) communication problems found in non-face-to-face real-time Korean language classes, (2) the corresponding problem-solving strategies used by teachers and learners, (3) distinctive communication problems found in non-face-to-face real-time Korean language classes. To this end, this study did discourse analysis on the video of the non-face-to-face real-time online Korean language classes recorded by King Sejong Institute. The following are some communication problems found in the video: (1) non-engagement(learners’ silence), (2) message delivery failure due to learning environment, (3) inaccurate sentence utterance, (4) incomplete sentence utterance, (5) utterance using L1. Problem-solving strategies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re as follows: (1) using questions to make learners actively engage in class, (2) clearly inform what is needed from learners, (3) being sensitive to and responding appropriately to learners' responses, (4) providing appropriate and sufficient input to learners, (5) actively using visual effects, (6) using verbal markers as well as nonverbal visual markers to make it clear to learners that the topic has shifted, (7) prompting learners to self-repair the errors or providing repair when the learner cannot self-repair the errors, (8) using recasts and explicit correction when the learner lacks language resources. Three distinctive communication problems found in non-face-to-face real-time online Korean language classes are as follows: (1) learners’ silence, or non-engagement, due to the absence of learners; (2) message delivery failure due to the insufficient use of nonverbal visual means; (3) message delivery failure due to sudden conversion of topics that are not accompanied by linguistic markers. The strategies for coping the above problems are as follows: (1) having learners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class by avoiding one-way explanatory speech from teachers and by providing various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participate in classes, (2) using nonverbal visual communication methods more actively by using multiple colors to draw learners' visual attention, (3) using verbal markers as well as nonverbal visual markers to make it clear to learners that the topic has shifte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interpretation of communication problems and strategies may be arbitrary because the study used video of the classes that are already recorded by the institute that it may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lass participants. This study can have a significance that it can provide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with tips on the operation of real-time non-face-to-face Korean language classes and can contribute to more effective real-time non-face-to-face Korean language teaching-learning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실시간 화상 한국어 수업에서 일어나는 의사소통 문제의 양상과 이에 따른 교사 및 학습자의 의사소통 문제 해결 전략을 살펴보고 특징적인 문제 및 해결 전략을 살펴봄으로써 비대면 수업에서의 교사와 학습자 간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것이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대면 수업에서 비대면 수업으로의 전환은 여러 문제를 야기하였는데 교사와 학습자 간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롯한 여러 가지 개선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교사와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학습자의 한국어 습득에 갖는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비대면 실시간 화상 한국어 수업에서 구체적으로 어떠한의사소통 문제가 나타나며 교사와 학습자에게는 어떠한 의사소통 문제 해결 전략 이 사용되는지, 비대면 실시간 화상 한국어 수업에서의 특징적인 의사소통 문제는 무엇이고 그에 대한 해결 전략은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종학당에서 제공하는 비대면 실시간 화상 한국어 수업 녹화 영상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담화 분석을 통해 교사와 학습자 간 대화를 분석하여 수업 중 발생한 의사소통 문제의 양상과 해결 전략을 살펴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비대면 실시간 화상 한국어 수업이 가질 수 있는 특징적인 문제 및 그에 따른 해결 전략을 제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발견한 의사소통 문제로는 대화 회피(학습자 침묵), 학습 환경으로 인한 메시지 전달 실패, 부정확한 문장 발화, 미완성 문장 발화, 모국어 사용 발화가 있었으며, 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으로는 학습자가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질문을 활용하기, 학습자에게 요구하는 바를 분명히 하기, 학습자의 반응을 민감하게 알아차리고 적절히 반응하기, 학습자에게 적절하고 충분한 입력을 제공하기, 시각적 효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비언어적인 표지뿐만 아니라 언어적인 표지를 동반하여 화제 전환을 분명히 알리기, 학습자 스스로 오류를 수정하도록 유도하다가 불가능하다는 판단이 들 때에는 전략을 바꾸어 교사가 오류를 수정하여 제공하기, 학습자가 언어적 자원의 결함을 보였을 때에는 고쳐 말하기와 명시적 수정 전략을 사용하기를 들 수 있었다. 비대면 실시간 화상 한국어 수업에서 발견할 수 있는 특징적인 의사소통 문제는 세 가지를 발견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학습자 부재로 인한 학습자 침묵, 즉 대화 회피 문제이며, 두 번째는 비언어적인 시각적 수단의 소극적 사용으로 인한 메시지 전달 실패 문제이다. 세 번째는 언어적 표지가 동반되지 않은 화제 전환으로 인한 메시지 전달 실패 문제이다. 언급한 문제에 따른 해결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수업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를위해 교사의 일방향적 설명을 지양하고 학습자가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 한 기회를 제공하되, 학급 내 학습자 간 숙달도 차이를 잘 고려하여 숙달도가 낮은 학생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발화 기회를 고르게 분배할 것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언어적인 시각적 의사소통 수단을 보다 적극적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학습자가 시각적으로 주목할 수 있도록 색깔을 사용하여 표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세 번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언어적인 시각적 표지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언어적인 표지를 사용하여 학습자에게 화제가 전환되었음을 분명히 알도록 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비대면 실시간 화상 수업을 직접 참관하고 녹화한 영상이 아니라 세종학당에서 공개한 수업 녹화 영상을 분석 자료로 삼고 있으며 수업 참여자 즉, 교사 및 학습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수업 중 발생한 의사소통 문제의 원인을 연구자의 주관에 따라 해석하였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을 한계점으로 가지며, 세종학당 수업을 사례로 삼기 때문에 일반화하여 다른 비대면 실시간 한국어 수업에 적용할 수 없다는 점을 한계점으로 갖는다. 본 연구는 비대면 실시간 화상 한국어 수업에서의 의사소통 문제와 해결 전략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예비 한국어 교사들에게 ( )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교실 운영의 실마리를 제공하고,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비대면 실시간 한국어 교수-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