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2 Download: 0

장르 중심 쓰기 교육이 한국어 자기소개서 쓰기 능력과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Title
장르 중심 쓰기 교육이 한국어 자기소개서 쓰기 능력과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Genre-Based Writing Education on Korean Self-Introduction Letter Writing Ability and Affective Aspects
Authors
신지선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혜
Abstract
본 연구는 장르 중심 쓰기 지도가 한국 기업에 취업을 희망하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소개서 쓰기 능력과 정의적인 측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취업을 위한 자기소개에는 담화 공동체에서 요구하는 글의 특징을 이해하고 적용하여 회사와 직무에 맞는 자신의 능력을 보여주는 내용이 담겨 있어야 한다. 하지만 고급 숙달도의 한국어 학습자 일지라도 한국과는 다른 사회 문화적 배경을 가진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 사회의 담화 공동체에서 요구하는 자기소개서 의미를 이해하고 장르적 특성을 반영해 작성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자기소개서는 인사담당자인 독자에게 회사와 직무에 적합한 자신의 능력을 설명하고 선발을 위해 설득하는 글이다. 장르 중심 쓰기는 특정 장르의 담화 공동체를 고려하여 맥락과 글의 구조와 언어를 명시적이고 체계적으로 제시하여 줄 수 있다. 이러한 장르 중심 쓰기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가 단기간에 장르의 특징을 이해하고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효과적인 취업 자기소개서 쓰기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숙달도가 TOPIK 5~6급 단계이거나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고급 단계에 재학 중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 수업을 진행하고 장르 중심 쓰기 교육이 자기소개서 쓰기 능력과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학습자가 교육을 받기 전과 후에 작성한 자기소개서 쓰기 과제 결과물의 점수 변화를 비교하여 쓰기 능력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사전-사후 설문을 통해 정의적 측면과 장르 인식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후 면담을 통해서 학습자의 쓰기 능력의 변화와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학습자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 검토 결과, 사회 담화 공동체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이해하고 글을 작성하기 위해서 장르 중심 쓰기가 효과적이며 이러한 장르 중심 쓰기 교육 방안 제시나 교육적 효과 연구가 주로 학문 목적의 장르에 집중하여 이루어져 왔으므로 직업이나 취업 목적 분야에서도 살펴볼 필요성이 있었다. 또한, 자기소개서의 복합적 장르의 특성으로 인해 장르 분석이나 장르 중심 쓰기 교수법을 적용한 지도 방안 제시가 활발하게 진행되었지만 교육적 효과와 관련된 연구는 드물었다. 2장에서는 쓰기 교수법의 변화에 따른 장르 중심 쓰기 교수법의 개념과 장르 중심 쓰기 교수-학습 모형을 통해 장르 중심 쓰기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취업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 자기소개서에 관한 연구와 자기소개서 장르적 특성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자기소개서 쓰기 교육 구성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3장에서는 연구의 결과 분석 대상이 되는 사전-사후 설문지, 사후 면담지와 사전-사후 쓰기 과제의 주제를 제시하고 자기소개서 쓰기 교육의 구성과 방식을 제시하였다. 또한, 쓰기 과제를 평가하기 위한 ‘자기소개서 쓰기 분석 기준’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학습자의 사전-사후 설문지와 사전-사후 쓰기 과제를 분석을 통해 장르 중심의 자기소개서 쓰기 교육의 효과를 논의하였다. 사전-사후 설문 결과를 통해 장르 중심 쓰기 교육이 자기소개서 쓰기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높이고 장르의 특징을 이해하는 데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10명의 학습자들의 사후 쓰기 과제의 점수는 사전 쓰기 과제의 점수보다 향상된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장르 중심 쓰기 단계의 활동이 학습자의 장르 인식과 쓰기 능력 변화에 영향을 주었음을 수업 후 면담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 기업에 취업을 희망하는 고급 숙달도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장르 중심 쓰기 교육을 통해 자기소개서 쓰기 능력의 변화와 정의적 측면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학습자가 소수 인원으로 구성되었고, 단일 집단 대상으로 실험 수업이 이루어져 변수를 제한할 수 없었다는 것을 한계점으로 볼 수 있으나 주로 학문 목적에 초점이 맞춰 있거나 지도 방안과 장르 분석에 국한되었던 한국어 자기소개서 관련 연구에서, 실제 쓰기 교육을 통해 쓰기 능력과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실제 교육적 효과를 입증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취업을 준비하는 외국인 유학생 및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자기소개서 쓰기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genre-based writing education on Korean self-introduction letter writing ability and affective aspects of foreign learners who want to get a job at Korean companies. The self-introduction letter for employment should contain information that shows one's ability to fit the company and its duties by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required by the discourse community. However, even if they are Korean learners with advanced proficiency, it will be difficult for foreign Korean learners from different sociocultural background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elf-introduction letter required by the discourse community of Korean society and to write it reflecting its genre characteristics. A self-introduction letter explains to readers who are in charge of personnel management about their abilities suitable for the company and job and persuades them to select them. Genre-based writing can explicitly and systematically present the structure and language of context and writing, considering the discourse community of a particular genre. This genre-based writing will help Korean language learners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and write self-introduction letters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reby providing effective self-introduction letter writing education. For this study, experimental classes were conducted on learners in advanced stages of TOPIK 5 and 6 or attending university-affili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effect of genre-based writing education on their ability to write self-introduction letters and affective aspects. Changes in writing ability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the score changes in the self-introduction letter writing task results written before and after the genre-based writing education, and the affective aspects and genre recognition were analyzed through a pre-post survey. Later, through interviews, we analyzed the changes in learners' writing skills and overall learners' opinions on the class. Chapter 1 identifies the need and purpose of the study and examines the prior research. According to a prior study, genre-based writing was effective to understand and write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discourse community, and these genre-based writing and educational effect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genres for academic purposes. In addition, due to the feature of the complex genre of the self-introduction letter, genre analysis or genre-based writing teaching methods have been actively presented, but research related to educational effects has been rare. In Chapter 2, this paper looked at the concept of genre-based writing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changes in writing teaching method and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t each stage through genre-based writing teaching-learning model. In addition, Based on the research on self-introduction lette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employment purpos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of self-introduction letters, a theoretical foundation was laid for the composition of self-introduction writing education. Chapter 3 presents pre-post survey, interview papers, and pre-post writing tasks subject to research procedures and results analysis, and also present 'self-introduction writing analysis criteria' for evaluating writing tasks. In addition, evaluators presented 'self-introduction letter writing analysis criteria' for analyzing writing tasks. Chapter 4 discusses the effectiveness of genre-based writing education centered on self-introduction letter writing through analysis of learners' pre-post questionnaires and pre-post writing tasks. The survey showed that genre-based writing education has influenced the interest and confidence in self-introduction letter writing and Korean writing and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The scores of 10 learners' post-writing tasks showed an improvement over those of the pre-writing task, and it was also confirmed in the post-class interview that the activities of the genre-based writing phase affected the learners' genre perception and writing skills. This study looked at changes in self-introduction letter writing skills and definition aspects through genre-based writing education for high-level Korean learners who want to get a job in Korea. Although there is a limitation that learners were made up of a small number of people and experimental classes were conducted in a single group,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study that proved the actual educational effect on writing ability and definition through actual writing educ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foreign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and education on writing Korean self-introduction letters for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