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9 Download: 0

아동기 정서적 외상이 성인진입기의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에 미치는 영향

Title
아동기 정서적 외상이 성인진입기의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merging Adults : The Mediating Effect of Insecure Attachment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Anxiety) and Internalized Shame.
Authors
김태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남지은
Abstract
신경증과 정신증 사이에 있는 경계선 성격장애를 가지고 있는 개인은, 정동의 불안정성과 정체성 혼란을 겪고, 자살시도나 자살 위협, 자해 등의 행동을 보여 본인은 물론 주변사람들에게도 상당한 고통을 주게 된다. 최근 성격에 대한 차원적인 접근에 따라 비임상군인 경계선 성격성향을 지닌 개인들에 대해 연구하면서 경계선 성격장애로 발전하기 전의 개입전략의 기초를 세우려고 하는 시도들이 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불안정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 내면화된 수치심과 경계선 성격성향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아직 성격장애로 진단받지는 않았지만, 경계선 성격성향으로 인해 개인내적으로나 대인관계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성인진입기의 청년들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성인진입기인 만 18세~25세의 성인남녀 388명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외상 질문지 단축형(CTQ-SF)의 정서적 학대와 정서적 방임, 친밀 관계 경험 검사 개정판(ECR-R)의 불안애착과 회피애착,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 경계선 성격장애 척도(PAI-BOR)를 사용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분석을 하였고,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통해 유의성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수인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불안정 성인애착, 내면화된 수치심과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수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른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결과이며, 아동기에 정서적 외상을 많이 겪은 개인일수록 불안정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의 정도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정도가 심해지며, 경계선 성격성향도 높아진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불안애착은 내면화된 수치심과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과 높은 상관을 보이는 반면, 회피애착은 내면화된 수치심과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에 불안애착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을 보였다. 둘째,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경계선 성격성향의 관계에서 불안정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회피애착에서 경계선 성격장애로 가는 경로가 부적으로 유의한 것을 제외하고 모든 직접 경로가 정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경계선 성격성향 간의 관계에서 불안정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 내면화된 수치심의 간접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한 결과,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경계선 성격성향의 관계에서 불안애착의 단순매개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하였고, 회피애착의 단순매개효과가 부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내면화된 수치심의 단순매개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경계선 성격성향의 관계에서 불안애착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이중매개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하고, 회피애착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이중매개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아동기 정서적 외상으로 인해 경계선 성격성향을 보이는 사람들 중에서도 애착형태에 따라 내면화된 수치심과 경계선 성격장애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불안애착을 형성한 사람들은 관계를 지향하기 때문에, 관계 안에서 두려움과 유기불안이 심하고, 수치스러운 자신을 회피하면서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으로 쉽게 발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회피애착을 형성한 사람들은 자신의 감정을 방어하면서 정서적인 불안정성을 방어하고, 다른 사람의 평가에 신경쓰지 않는 모습으로 인해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으로 발전하기 어렵지만, 다른 사람을 의식하는 자의식정서인 내면화된 수치심이 발달하게 되면,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을 가지게 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내면화된 수치심은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의 관계에 있어 핵심적인 내면적인 기제임이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을 가진 성인진입기의 개인들의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secure attachment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anxiety), internalized shame between emotional maltreatment and BPD traits. The study participants(n=388, 60.4% female, 39.6% male) were emerging adults aged 18-25 living in Korea. This study used short form of the emotional abuse and emotional neglect of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CTQ-SF), the revised version of the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ECR-R), as well as internalized shame scale(ISS) and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borderline features scale(PAI-BOR) as assessment instrument. In terms of data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variables. Results: Positive correlations among all variables were observed. First, we found that emotional trauma directly effects BPD traits and indirectly effects it through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internalized shame. We also found that, even if someone was emotionally maltreated in early days, the effect on BPD traits can differ according to attachment styles. With regard to attachment anxiety, all paths mediating attachment anxiety were positively significant and had more powerful effects than the paths mediating attachment avoidance, furthermore, these paths also had more powerful effects on internalized shame. With regard to attachment avoidance, mediation effect varied. While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 emotional maltreatment and BPD traits, dual mediating path on attachment avoidance and internalized shame was positive, mediating path on attachment avoidance was negative and had a less powerful effect on internalized sham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it is only through attachment avoidance and internalized shame(rather than through attachment avoidance alone) that people who suffered emotional maltreatment in early days, can have BPD traits later.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internalized shame had a very powerful effect on BPD traits.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re is need for different interventions according to the attachment styles in counseling that would help emerging adults with BPD traits after childhood emotional trauma. Our findings also demonstrate that it is important to lower internalized shame in counseling and treating emerging adults with BPD traits in non-clinical setti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