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0 Download: 0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구강관리 수행 영향요인

Title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구강관리 수행 영향요인
Other Titles
Factors Influencing the Oral Care of Direct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A Multilevel Model Analysis
Authors
이혜순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덕유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구강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층 분석(multilevel analysis)을 적용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생태학적 이론(McLeroy et al., 1988)을 바탕으로 요양보호사 개인수준요인과 노인요양시설 조직수준요인을 다차원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권역(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의 노인요양시설을 근접모집단으로 하여 편의표집하였다. 2021년 3월 20일부터 5월 3일까지 방문조사를 통해, 37개소의 노인요양시설장을 대상으로 노인요양시설 조직수준 자료와, 해당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366명을 대상으로 개인수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ronbach's α 계수,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MPlus 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4단계에 걸쳐 다층회귀분석 모형을 추정하여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구강관리 수행에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인수준 대상자 총 366명 요양보호사의 구강관리 수행 정도는 3.74±0.54점(1-5점)으로 확인되었다. 노인요양시설 근무 경력은 평균 4년 7개월, 업무만족은 86.9%(318명)가 만족하는 편이고, 요양보호사 자신의 구강관리를 위해 치실 사용을 매일 하는 경우는 42.1%, 구강관리 교육 이수 경험이 있는 경우는 64.8%로 나타났다. 구강관리 지식은 평균 0.81±0.12점(0-1점), 구강관리 태도는 평균 3.10±0.34점(1-4점), 구강관리 자기효능감은 평균 2.88±0.33점(1-4점)이었다. 2. 조직수준 대상인 노인요양시설 총 37개소의 입소 정원은 30인 미만이 27%(10개), 30에서 50인 미만이 27%(10개), 50인 이상 100인 미만이 35.1%(13개), 100인 이상이 1.08%(4개)였다. 시설 운영 주체는 개인이 73%(27개), 영리법인 8.1%(3개), 비영리법인 10.8%(4개), 지방자치단체 8.1%(3개)였다. 인간중심돌봄 정도는 시설별 평균 3.94±0.29점(1-5점)으로 확인되었다. 구강관리 교육을 시행한 시설은 43.2%(16개), 구강관리 지침서는 시설의 35.1%(13개)가 있다고 응답하였고, 구강관리 용품 구비 정도는 시설별로 평균 6.09±1.93개의 종류가 있었다. 요양보호사 1명당 입소자 수는 시설별 평균 2.26±0.22명, 요양보호사 중 36개월 이상 장기근속한 비율은 시설별 평균 30%, 간호인력(간호사, 간호조무사) 중 간호사를 고용한 비율은 시설별 평균 29%로 확인되었다. 3. 개인수준과 조직수준의 독립변수를 투입하지 않고 기본모형을 추정하여,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구강관리 수행에 존재하는 집단간 차이의 정도를 확인한 급내상관계수(ICC)는 0.141로 구강관리 수행에 존재하는 변동성 중 14.1%가 노인요양시설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4. 개인수준과 조직수준의 독립변수들을 모두 투입한 최종 다층회귀분석 모형 추정 결과, 요양보호사 개인수준 고정효과는 요양보호사 자신의 치실 사용(p=.001), 구강관리 교육 이수 경험(p<.001), 구강관리 자기효능감(p<.001)이 구강관리 수행을 정적으로 설명하였다. 노인요양시설 조직수준 고정효과는 인간중심돌봄(p=.004), 구강관리 교육 시행 여부(p=.040), 구강관리 용품 구비(p=.015)가 정적으로, 요양보호사 1명당 입소자 수(p=.001)가 부적으로 구강관리 수행을 설명하였다. 5. 다층회귀분석 모형 무선효과 추정치를 활용한 결과, 개인수준 및 조직수준 변수들에 의해 요양보호사의 구강관리 수행에 존재하는 개인간 차이의 17.5%가 설명되었고, 집단간 차이의 97.6%가 설명되었다. 개인수준과 조직수준을 모두 통합한 전체 모형은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구강관리 수행에 대한 설명력이 28.7%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인요양시설에서 요양보호사가 구강관리를 수행하는데 있어, 개인수준뿐만 아니라, 조직수준 변수가 요양보호사 개인의 구강관리 수행 정도와 노인요양시설 별 구강관리 수행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구강관리 수행 증진을 위해서는, 요양보호사 개인의 자기효능감과 기술 실행력을 높이려는 노력뿐만 아니라, 노인요양시설의 인간중심돌봄, 인력 배치, 교육, 물적 지원 등 조직요인을 포함한 다차원적인 교육 중재와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oral care practice among direct care workers (DCW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LTC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using multilevel analysis, which considers both factors in individual DCW and organizational LTCs through an ecological model. A total of 37 LTCs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and distributed across the capital region (Seoul Metropolitan City, Incheon Metropolitan City, Gyeonggi Province) in Korea. Organizational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administrators of 37 LTCs, whereas individual data from 366 DCWs in 37 LTCs were collected using door-to-door surveys from March 20 to May 3, 2021. To obtain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α, and correlation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Finally, a multileve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MPlus 8.0 program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on the oral care practice of DCWs in LTCs. 1. At the individual level, there were 366 DCWs with 4 years and 7 months of clinical experience in LTCs. Of those, 86.9% were satisfied with their jobs. In addition, 42.1% of participants flossed daily. Of these, 64.8% had oral education. Oral care knowledge was 0.81 ± 0.12, attitudes for providing mouth care were 3.10 ± 0.34, and self-efficacy for providing mouth care was 2.88 ± 0.33. 2. Considering the organizational level of 37 LTCs and the percentage of licensed beds, 27% had less than 30 licensed beds, 27% between 30 and 50, 35.1% between 50 and 100, and 1.08% had over 100. Furthermore, 73% were individual LTCs, 8.1% were companies for profit, 10.8% were nonprofit companies, and 8.1% were local government facilities. The score for a person-centered care assessment was 3.94 ± 0.29. Oral care education was provided by 43.2%, and 35.1% had oral care guidelines. The variety of oral care products was 6.09 ± 1.93. The number of residents per DCW was 2.26 ± 0.22, the DCW retention over 36 months was 30%, and the percentage of nurses among nursing staff was 29%. 3. The base model without covariates was used to decompose the total variance at the two levels. The results of multilevel analysis show an estimate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of 14.1%, indicating that the organizational level accounted for 14.1% of the total variance in LTCs. 4. As a result of the multilevel regression analysis, flossing use, oral educational experience, and self-efficacy for providing mouth care were identified as positive factors affecting the oral care practice of DCWs in LTCs at the individual level. The number of residents per DCW was negative, and oral care education, oral care products, and person-centered care were positively identified as factors affecting the oral care practice of DCWs in LTC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5. A total of 17.5% of individual level variances were explained, and 97.6% of organizational-level variances were explained by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hich incorporates Levels 1 and 2, was found to be 28.7%.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organizational-level variables reduced the oral care practice variances, and variable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nfluenced variances at both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Therefore, an effective way to improve the oral care practice of DCWs in LTCs is to enhance individual self-efficacy and skill of DCWs and to provide multi-dimensional educational interventions, including organizational factors and a policy approa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