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4 Download: 0

인권의 국제정치

Title
인권의 국제정치
Other Titles
Inerntional Politics of Human Rights : Cases of the Unitied States, Japan and North Korea viewed through The Right to Communicate and Advocacy
Authors
노선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최은봉
Abstract
본 연구는 인권정치의 발전과 심화 과정에서 주요한 행위자로서 애드보커시를 주목하고자 한다. 애드보커시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권리의 발전이 인권정치의 심화에 영향을 미친 과정을 ‘역전된 제2이미지’ 이론을 통해 미국‧일본‧북한의 사례를 살펴보고, 인권의 국제정치를 논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국제인권레짐의 형성과 발전은 개별국가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개별국가는 어떠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통해서 국내 인권정치를 전개했는가? 인권정치의 발전과 심화는 어떠한 상황에서 이루어지는가? 그리고 미국‧일본‧북한의 인권정치를 유형화하여 발전과 심화의 조건을 제시할 수 있을까? ‘역전된 제2이미지’이론을 분석의 틀로 국제인권레짐이 국내 인권정치에 영향을 미친 과정을 미국‧일본‧북한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국제 및 국내 인권정치는 도입, 정착, 심화‧성숙의 단계를 거쳐 전개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인권정치의 전개 과정에서 애드보커시는 커뮤니케이션 권리를 증진하여 국가, 사회, 개인 등 행위자들 사이의 정치 공간을 확장시키고, 이는 인권개념의 심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도적 개선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류는 두 차례의 큰 전쟁과 수많은 갈등을 경험하면서 평화를 지키기 위해서, 그리고 참혹한 전쟁이 또 다시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인권이 제도적으로 보호되어야 한다는 공동의 믿음을 형성하게 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을 겪으며 국제규범에 의한 인권 보호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는 국가간 조약 및 관행의 정립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실질적인 제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인권개념이 심화되고 인권 보호에 대한 책임의식이 확대되면서 인권문제는 국내외적으로 중요한 의제로 다루어지게 된다.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겪으며 인권의 보호를 국제적 차원에서 제도화하려는 논의는 1948년 세계인권선언을 통해 그 내용과 형식이 최초로 구체화 되었다. “인권정치”의 역사는 100년도 채 되지 않았으며, 짧은 기간 동안 다양한 논의와 제도적 변화를 거치며 인권개념의 발전과 심화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인권보호를 위한 제도화와 국제화의 노력은 1960년대에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국제인권규약의 근간을 이루는 ‘경제적‧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A규약)’ 및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B규약)’,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의 선택의정서’가 각각 1966년 12월 16일에 국제연합 제21회 총회에서 채택되어 A규약은 1976년 1월 3일, B규약 및 제1선택의정서는 같은 해 3월 23일 발효되었다. 이러한 국제인권규약이 근간이 되어 1989년 12월 15일에 국제연합 제44회 총회에서 ‘사형의 폐지를 목표로 하는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의 제2선택의정서’가 채택되었고, 1991년 7월 11일에 발효하였다. 이중 1966년에 채택된 A규약과 B규약, 그리고 그에 관한 의정서는 이후 인권개념의 심화와 제도적 발전에 기초가 되었다는 점에서 더욱 특별하게 주목할 만하다. 그렇다면 1960년대 국제인권레짐 형성을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한 국가의 국내 인권 상황은 어떠했을까? 한편, 적극적이지는 않더라도 국제인권레짐의 형성과 발전에 수동적으로 참여한 국가의 상황은 어떠했을까? 그리고 국제인권레짐의 형성과 발전과정에 전혀 개입하지 않았던 국가의 상황은 어떠했을까? 이러한 세 가지 경우를 미국‧일본‧북한의 사례를 통해 비교해보고자 한다. 미국과 일본, 북한의 사례를 선정한 이유는 세 국가의 인권정치에는 차이점과 공통점이 분명하여 비교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세 국가의 비교 연구가 의미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국가는 1960년대 국제인권레짐이 형성될 당시 각각 다른 행태를 보였다. 국제사회에서의 각기 다른 행태는 국내인권정치에 상이한 영향을 주었고, 이는 국내 인권정치 형태의 차이로 나타났다. 둘째, 탈냉전 이후 동구권 국가들도 유엔 중심의 국제인권레짐에 참여하게 되면서 공통적인 기준으로 각국의 인권상황을 평가하고, 문제점에 대하여 고찰할 수 있게 되었다. 국제인권레짐 형성의 초기에는 다른 행태를 보였던 세 나라가 탈냉전 이후에는 보편적 기준에 의해 국내 인권정치를 정비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차이점과 공통점을 동시에 갖는다. 셋째, 세 국가의 국내 인권 문제의 중심에는 ‘차별’의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따라서 미국과 일본, 북한의 사례는 국제인권레짐의 시작과 발전, 심화 과정에 따라 비교 분석하기에 적합한 사례라고 판단했다. 인권정치의 전개 과정은 시기별로 다음과 같이 나누었다. 국제적 차원으로는 첫째, 국제권리장전의 작성을 결정하게 된 제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1948년 세계인권선언이 선포된 시기까지를 국제인권레짐의 도입기로 보았다. 둘째, 세계인권선언이 선포된 이후, 인권 보호의 제도화가 구체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1949년부터 냉전이 한창이었던 1980년대 후반까지를 정착기로 보았다. 셋쨰, 탈냉전이 시작되어 동서 진영으로 나뉘었던 국가들 모두가 보편적인 인권에 대한 기준을 따르게 된 1980년대 후반 이후를 심화‧성숙기로 나누었다. 한편, 국내적 차원으로는 세 국가 인권정치의 도입기, 정착기, 심화‧성숙기의 시기가 모두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날 미국‧일본‧북한은 모두 국제인권레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국내 인권의 제도적 개선 및 실질적 개선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지만, ‘차별’로 인한 인권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특히 COVID-19의 팬더믹 사태 이후, 아시아인에 대한 인종차별에서 기인한 증오범죄의 급증은 새로운 인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행위자들의 지속적인 노력과 제도적 개선에도 불구하고 해결되지 않는 인권문제의 원인을 ‘차별’로 보고,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여 유형화하고자 한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인권정치의 발전을 위한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seeks to note Advocacy as a major actor in th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politics. Through "the second image reversed" theory,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ases of the U.S., Japan and North Korea and discuss international politics of human rights. The study began with the following questions. How specifically has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regime affected individual countries? How did individual countries develop domestic human rights politics? In what circumstances does the development and deepening of human rights politics take place? And can we present the conditions for development and deepening by typifying human rights politics in the United States, Japan, and North Korea? Through the examples of the U.S., Japan and North Korea, the proces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regime having influenced human rights politics in each country was examined through the framework of analysis of "the second image revers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nternational and domestic human rights politics were developed through the stages of introduction, settlement, and deepening· maturation. In the course of developing human rights politics, it was confirmed that advocacy promotes the right to communicate, expanding the political space between countries, societies and individuals, and deepening human rights concept resulting in institutional improvements. Having experienced two major wars and numerous conflicts, mankind formed a common belief that human rights should be protected to preserve peace and prevent outbreak of another war. Throughout World War I, the need for human rights protection by international norms emerged, leading to the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treaties and practices. After World War II, the need for a practical system to protect human rights emerged. As the concept of human rights has deepened and the sense of responsibility for human rights protection has expanded, human rights issues have officially become an important agenda. Discussions on institutionalizing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t the international level after two World Wars were first embodied in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in 1948. The history of “human rights politics” is less than 100 years, and the concept of human right has developed and deepened through various discussions and institutional changes over a short period of time. In particular, efforts to institutionalize and internationalize human rights protection were more active in the 1960s.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Covenant A)’,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Covenant B)’ and ‘Optional Protocol of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which form the basis of International Convention on Human Rights, were adopted on December 16, 1966 at the 21st General Meeting of the United Nation, Covenant A taking effect on January 3, 1976 and Covenant B and the 1st Optional Protocol on March 23rd in the same year. Among these, Convenant A, Convenant B and the protocols are particularly noteworthy in that they became the basis of deepening and institutional development of human rights concepts. How was the domestic human rights situation in the countries that played an active role in form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regime in the 1960s? At the same time, how was the situation in the countries that participated passively? And how was the situation in the countries that were never involved? I would like to compare these three cases through the examples of the U.S., Japan, and North Korea. The reason for selecting these three countires is that the three countries' human rights politics have distinct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making them suitable for a comparative research. The reasons why a comparative study on the three countries is meaningful a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countries showed different behaviors in the 1960s when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regime was formed. Different behavior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ve had different effects on domestic human rights politics, which is expressed by differences in the form of domestic human rights politics. Second, after the post-Cold War, countries in the eastern bloc also participated in the UN-centered international human rights regime, allowing them to evaluate human rights conditions and consider problems in each country by common standards. The three countries, which showed different behaviors in the early stages of the form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regime, hav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in that they were able to overhaul domestic human rights politics under universal standards after the post-Cold War. Third, the three countries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 issue of "discrimination" lies at the center of domestic human rights issues. Therefore, the cases of the U.S., Japan and North Korea are appropriate for comparative analysis according to the beginning, development and deepening proces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regime. The process of developing human rights politics was divided by timing as follows. On the international level, first, the introduction period of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regime is from World War II, when it was decided to draft the International Bill of Rights to the delcaration of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in 1948. Second, after the declaration of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the settlement period began in 1949 when institutionalization of human rights protection began to be discussed in details and it lasted until the late 1980’s, when the Cold War was intense. Third, late 1980s, when the Cold War began to collapse and all countries divided into the East and West camps followed universal human rights standards, are defined as advanced·mature period. On the other hand, at the domestic level, the timing of the introduction, settlement, and advanced·mature periods of human rights politics in the three countries were all different. Today, the U.S., Japan, and North Korea are all actively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regime and making efforts to improve institutional and practical human rights in the country, but human rights problems caused by “discrimination” are still unresolved. Especially after the pandemic of COVID-19, the sharp increase in hate crimes stemming from racism against Asians has emerged as a new human rights issue. In this study, the cause of human rights problems that are not resolved despite the continuous effort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various actors is regarded as “discrimination,” and the nature of the problem is identified and typified. These efforts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politic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