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4 Download: 0

사회불안과 자기개념명확성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의 종단적 매개효과

Title
사회불안과 자기개념명확성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의 종단적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Self-Concept Clarity
Authors
유채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Social anxiety disorder refers to a persistent and extreme fear in social or performance situations where an individual can be evaluated negatively, which can lead to significant functional impairment in one’s life.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that social anxiety and various facets of self such as self-focused attention, self-concept clarity negatively affect each other, however, most of them have a limitation of using cross-sectional data.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emporal stability of social anxiety,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self-concept clarity, reciprocal influences between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self-concept clarity from a longitudinal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total of three waves of a longitudinal survey every two weeks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residing in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including 452 participants in the first wave, 304 participants in the second wave, and 234 participants in the third wave, was analyzed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social anxiety,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self-concept clarity, variables at the previous time point positively and stably predicted the variables at the next time point, respectively, over time. Second, the bi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was verified as they influenced each other over time. Social anxiety at the previous time point positively predicted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t the next time point, and conversely,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t the previous time point also positively predicted social anxiety at the next time point. Also, the bi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self-concept clarity was verified.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t the previous time point negatively predicted self-concept clarity at the next time point, and self-concept clarity at the previous time point negatively predicted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t the next time point. Thir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self-concept clarity was fully mediated by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to identify the directionali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anxiety,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self-concept clarity, and to confirm the psychological mechanism through which the self-concept clarity of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decreases. When individuals experience anxiety in social settings, their focus of attention shifts excessively to their internal sources, and when they overly pay attention to their inner self, their self-concept may become unclear and inconsistent. This suggests that the chronic social anxiety symptoms can influence the structure of self-concept, thus highlighting the need of prompt intervention for social anxiety disorder.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potentially effective therapeutic direction for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to shift their focus of attention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r to allocate their attention to the inside in a more adaptive way in order to prevent their self-concept from becoming unstable.;대학생들은 대학이라는 새로운 환경을 마주하면서 이전에는 경험해보지 못한 다양한 사회적 상황들을 맞닥뜨리게 된다. 면접, 발표, 동아리 활동, 연애 등 타인과의 상호작용이 필수적인 상황들이 늘어남에 따라 대학생들이 사회불안 증상을 경험할 가능성 역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선행 연구들에서는 사회불안과 자기초점주의나 자기개념명확성과 같은 자기(Self)의 여러 측면들이 서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대부분 횡단 자료를 사용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이를 보완하여 종단적인 관점에서 사회불안,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자기개념명확성의 시간적 안정성과 변인들 간의 상호적 영향력을 살펴보고, 사회불안과 자기개념명확성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2주마다 총 3번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1차 시점 452명, 2차 시점 304명, 3차 시점 234명의 자료를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불안,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자기개념명확성은 시간이 흐름에도 이전 시점의 변인이 각각 다음 시점의 변인을 정적으로 그리고 안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사회불안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간에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양방향적 관계가 검증되었다. 이전 시점의 사회불안은 다음 시점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를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반대로 이전 시점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도 다음 시점의 사회불안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자기개념명확성 간에서도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양방향적 관계가 검증되었다. 이전 시점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는 다음 시점의 자기개념명확성을 부적으로 예측하였고, 이전 시점의 자기개념명확성도 다음 시점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를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사회불안이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를 매개하여 자기개념명확성을 예측하는 종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반면, 자기개념명확성이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를 매개하여 사회불안을 예측하는 종단적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사회불안,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자기개념명확성의 간의 시간적 선행관계를 파악하고,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개인들이 어떠한 심리적 기제를 통해 자기개념명확성이 저하되는지를 확인한 의의가 있다. 사회적 상황에서 불안을 경험하면 주의의 초점이 지나치게 자신의 내부로 옮겨가게 되고, 이처럼 자신의 내부에 주의를 과도하게 기울일 경우 자기개념이 불분명하고 비일관적이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불안 증상이 만성화되면 자기개념의 구조 자체를 변화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기 때문에 사회불안 증상에 대한 신속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개인들을 대상으로 자기개념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주의초점을 내부에서 외부로 전환하거나, 자신의 내부에 보다 적응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도록 개입하는 치료적 방향성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제안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