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8 Download: 0

하악지 시상골 분할술(SSRO)과 수직 골절단술(IVRO) 후 두 술식의 3차원적 단기 변화 비교

Title
하악지 시상골 분할술(SSRO)과 수직 골절단술(IVRO) 후 두 술식의 3차원적 단기 변화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short-term 3-dimensional changes between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SSRO) and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IVRO) (Directed by Prof. Min-Ji Kim, D.D.S M.S.D. Ph.D.)
Authors
김다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상교정치의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민지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1주일 이내에 해당하는 수술 직후와 수술 1~2개월 후에 촬영한 3차원 CBCT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근원심 두 골편의 단기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대목동병원 치과교정과 환자 중 악교정수술을 시행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 20명(SSRO 10명, IVRO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악교정수술 시행 직전 촬영한 CBCT(T0)와 수술 1주일 이내 촬영한 CBCT(T1)를 비교하여 수술적 변화량(surgical change)을 분석하였으며, 각 술식에 따른 근심 골편의 3차원적 위치변화의 차이를 보기 위해 수술 1주일 이내(T1)와 수술 1~2개월 후(T2)의 CBCT 영상을 두개저 또는 원심 골편을 기준으로 중첩하여 근원심 골편의 3차원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하악 과두의 전방점(Cd-A), 후방점(Cd-P), 내측점(Cd-M), 외측점(Cd-L) 및 하악각의 최하방(Inf Go) 및 최후방점(Post Go)의 내외측, 좌우측, 상하로의 이동양을 계산하여 골편의 이동양상을 관찰하였다. 또 T1과 T2 시기 각각 Cd-M, Cd-L이 이루는 선, Cd-A와 Cd-P가 이루는 선, Cd-P와 Post Go이 이루는 선을 구하고, 두 선이 이루는 각도를 계산하여 근심 골편의 3차원적 회전을 확인하였다. 두개저 중첩 시 IVRO군의 경우 Cd-M, Cd-L, Cd-A, Cd-P, Post Go, Inf Go 모두 후상방으로 이동하였다. SSRO군에서 Cd-L, Cd-M, Cd-A, Cd-P는 후상방으로 이동하였으나 Post Go, Inf Go은 전상방으로 이동하였다. IVRO는 근심 골편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SSRO는 근심 골편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나타낸다. 하악골 중첩 시 두 술식 모두 수술 직후 원심 골편에 대해 근심 골편이 이루는 각도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지만 IVRO에서 더 큰 각도 변화를 보인다. 이는 수술 시 일어나는 근심 골편의 위치 변화 및 condylar sag, 수술 직후 근육 및 기타 술후 골편 관리(postoperative management)로 인해 발생하는 외력 등의 합력으로 인한 골편의 회전으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이며, 반강성 고정(Semirigid fixation)을 시행하는 SSRO군에 비해 고정을 하지 않는 IVRO군에서 원심 골편에 대해 근심 골편이 이루는 각도가 더 크게 변화하는 것으로 보인다. 각 수술 직후 단기간에 일어나는 이러한 근원심 골편의 변화는 최종적인 하악골 위치 변화를 야기하게 되며, IVRO에서는 개방교합, SSRO에서는 심피개교합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차이를 이해함으로써 각 술식에 적절한 술후 골편 관리(postoperative management)를 시행할 수 있으며 또한 이후 발생하는 중장기적인 술후 변화를 예측하고 술후 교정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hort-term postoperative changes of SSRO and IVRO by observing changes in proximal and distal segments. 20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ho underwent orthognathic surgery using either SSRO (n=10) or IVRO (n=10) were included. In order to examine the 3-dimensional position change of the proximal segments, CBCT images within 1 week (T1) and 1 to 2 months after surgery (T2) were superimposed on the base of the cranial base or distal segment. The movement patterns of each segments were examined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points: Condyle Lateral(Cd-L), Condyle Medial(Cd-M), Condyle Anterior(Cd-A), Condyle Posterior(Cd-P), Inferior Gonion(Inf Go) and Posterior Gonion(Post Go). In addition, in the T1 and T2 periods, the line formed by Cd-M and Cd-L, the line formed by Cd-A and Cd-P, and the line formed by Cd-P and Post Go, respectively, are obtained, and the angle formed by the two lines is calculated to evaluate the rotation of proximal segments. Based on the cranial base superimposition, the IVRO group showed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proximal segment, and the SSRO group showed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proximal segment (p<0.05). Based on the mandibular superimposition, both groups changed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angle between the proximal and distal segments immediately after surgery, but the IVRO group showed a larger increase (p<0.05). This is a result of the rotation of each segment caused by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proximal segment during the operation, the condylar sag, the masticatory and suprahyoid muscles, and other external forces such as intermaxillary elastics. By understanding these differences, appropriate postoperative management can be implemented for each proced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교정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