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1 Download: 0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비대면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 연구

Title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비대면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on-contact Art Therapy Experiments of Art Therapy Trainees
Authors
조예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는 비대면으로 미술치료를 진행한 미술 치료학 석사과정생들의 경험에 주의를 기울이고 충만한 ‘사려’ 과정을 통해 체험을 기술하고 본질적 의미를 탐구하고자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으로 미술치료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 미술치료를 진행한 미술 치료학 석사과정생들이 어떤 체험을 하고 있는지, 그 체험의 의미에 대한 본질이 무엇인지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추후 지속될 가능성이 큰 비대면 미술치료 현장에서 다루어야 하는 구체적인 요소와 미술 치료학을 전공하는 학생으로서의 자질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는 미술치료사의 성장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비대면 미술치료의 바탕을 만드는데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미술치료 전공 석사과정생의 비대면 미술치료 체험은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의 심층 면담 대상자인 연구 참여자는 국내 대학원 미술 치료학을 전공한 석사생이며 비대면 방식의 미술치료 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8명으로 구성되었다. 2021년 3월부터 4월까지 일대일 심층 면담으로 진행되어 자료가 포화할 때까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방법에 따라 분석했으며 8개의 본질적 주제와 23개의 하위주제로 연구 결과를 도출했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실습생들은 사전에 치료효과를 의심하고 기술적으로 문제를 걱정함>, <치료 실행 후 우려했던 것보다 기술적인 부분을 활용하는 것이 어렵지 않음>, <대면 치료보다 화면으로 소통하며 개입이 쉽지 않아 난항을 겪음>, <기존의 지식과 경험으로 이해할 수 없는 감정을 마주하며 소진됨>, <비대면 미술치료의 환경적 특성으로 난항을 이해하게 됨>, <비로소 비대면 미술치료 방식에 적응하고 간접적인 소통방식을 깨닫기 시작함>, <직접 대면하지 못하는 치료환경의 구조화가 필요함을 느낌>, <치료사가 되기 위한 과정으로서 비대면 미술치료 환경에 있는 치료사의 패러다임에 대해 고민함> 이와 같은 연구 결과와 글쓰기, 연구자가 수집한 다채로운 현상학적 자료들을 취합하여 미술치료 전공 석사과정생의 비대면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의 결론은 아래와 같다. 첫째, 미술치료 전공 석사과정생은 비대면에 대한 경험과 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실습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둘째, 미술치료 전공 석사과정생은 대면에서 충족할 수 없는 요소를 보완하고 비대면만의 장점을 살려 미술치료에 대한 보편적 인식의 확장을 경험한다. 셋째, 미술치료 전공 석사과정생은 비대면 방식의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며 치료사의 패러다임에 대해 고민한다. 이처럼 본 연구의 결론이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들에게 기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비대면 방식의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나간 실습생들의 생생한 언어로 본질적인 의미를 밝힘으로써 실습생들에게 실제 현장에서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여 우여곡절을 줄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습생들이 비대면 방식으로 미술치료를 시행하며 다양한 노력을 기울인 체험을 통해 자신의 역량에 대해 점검하며 질 높은 미술치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비대면 방식의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았다. 둘째, 본 연구는 대부분 20~40대의 여성 참여자들의 체험 경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ay attention to the experiences of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ho have conducted non-face-to-face art therapy, describe the experiences through full ‘contemplation’ and explore the essential meaning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ho have to provide non-face-to-face art therapy. it also aims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such experiences. Also, based on this, there will be explorations of specific factors that must be dealt on the very site of non-face-to-face art therapy which is likely to continue in the future. Also, the aptitudes of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ill be explored. This important study will provide a basic material for the growth of art therapists and make a base for non-face-to-face art therapy.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What are the experiences of non-face-to-face art therapy of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and what are the meanings and essence of such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subject to in-depth interviews of this study are master’s degree students who have majored in art therapy in Korea’s graduate schools and include 8 subjects who have experiences with non-face-to-face art therapy. One-to-on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etween March and April, 2021 and data were collected until they were satura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ased on hermeneutic phenomenology of Max van Manen. Eight essential subjects and 23 sub-themes were used to derive the results, which are as follows: , , , , , , , and, Based on the results, writings, and diverse phenomenological data collected by the author were combined to conclude the onsite experiences of non-face-to-face art therapy of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master’s trainees majoring in art therapy are lacking in non-face-to-face experiences and understanding and find it difficult to put into practice. Second, master’s trainees majoring in art therapy experiences expansion of universal recognition of art therapy by supplementing the factors not satisfied in any face-to-face conditions, develop the strengths of non-face-to-face environments and experience the expansion of universal recognition on art therapy. Third,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explore their own inner sides through non-face-to-face art therapy and contemplate the paradigm of therapists. The conclusions help and contribute to master’s students as follow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to reduce unforseen accidents on the sites by exploring the essential meanings provided in vivid language of the onsite trainees and providing information that realistically helps with onsite projects. Also, it will help the trainees to inspect their capacity and provide high-quality art therapy based on their various experiences earned while conducting non-face-to-face art therapy. Finally, the limits of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id not consider the diversity of non-face-to-face approaches. Second, this study’s main coverage was the experiences of female participants aged 20~40.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