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3 Download: 0

콘텐츠 활용 중심 음악 수업을 경험한 중학생의 인식 조사

Title
콘텐츠 활용 중심 음악 수업을 경험한 중학생의 인식 조사
Other Titles
A study on awareness of middel school students on content utilization-focused music classes
Authors
우지원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지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 시행된 콘텐츠 활용 중심 음악 수업을 경험한 중학생들의 인식은 어떠한지, 수업 요소 중 여러 변인에 따른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지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중구를 기준으로 북쪽과 남쪽의 총 9개 학교를 선정하고 각 학교의 교사 9명과 학생 총 37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분석과 Chi-squared test, 독립표본 t검정, One-way ANOVA,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처리하였고,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호하는 콘텐츠 유형에 따라 이미지를 선호하는 학생과 다른 유형을 선호하는 학생 사이에 학습량과 콘텐츠 개수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었다. 영상 및 음원을 선호하는 학생과 텍스트와 이미지를 선호하는 학생 사이의 반복학습 여부에도 차이가 나타났다. 또, 학습 결과 중 효과성 영역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영상과 음원을 선호하는 학생의 학습 과정과 결과 인식이 텍스트와 이미지를 선호하는 학생보다 높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둘째, 콘텐츠를 반복하여 학습하는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 사이에 기간 내 학습 완료 정도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습 과정 중 플랫폼, 콘텐츠, 교사, 동료학습자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 학습 결과 중 학습 목표 달성과 가창, 기악, 감상, 창작, 창의성 등 대부분의 효과성 영역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학습 과정과 결과에 대한 교사의 적절한 피드백, 동료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수록 콘텐츠 활용 중심 음악 수업을 통해 음악을 삶에서 더욱 즐기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학습 결과에 대한 교사의 피드백, 학습 과정에 대한 피드백, 동료학습자와의 상호작용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매체와 교수방법을 사용하여 상호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수업 및 반복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과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미래교육으로 나아가는 변화의 흐름 속에 본 연구가 원격 교수‧학습을 계획하고 수업 방법과 자료 등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가 되어 앞으로 전개될 다양한 형태의 원격수업 방향성을 결정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content utilization oriented music classes conducted in 2020 and how different their perceptions are to a variety of variables of class elements. For this study, a total of 9 schools north and south of Jung-gu in Seoul were selec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9 teachers from each school and a total of 372 students. For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chi-squared test,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depending on the research question and then statistically processed.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learning amount and the number of contents between students who preferred images and those who preferred other content types. Differences were also found between students who preferred videos and acoustics and those who preferred images and texts in regards to whether or not they conducted repetitive learning. In addi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even in the effectiveness area was discovered, indicating that the learning process and result recognition of students who preferred videos and sound sources were higher than those of students who preferred texts and images. Second, a difference was found in the degree of learning completion within the given period between students who repeatedly learned the content and those who did not, and differences appeared in the perception towards interaction with platforms, contents, teachers, and classmates during the learning process and mostly in the effectiveness area, such as achievement of learning goals, singing, instrumental music, appreciation, composition, creativity, etc. Third, increase of appropriate feedback from teachers regarding the learning progress and results and the interactions with classmates showed a higher rate of students enjoying music in their life through content utilization-centered music classes. The degree of influencing appeared in the order of the teacher's feedback on the learning result, the feedback on the learning process, and the interaction with classmates. Based on these results, we recommended providing various contents and developing repetitive learning and teaching systems and methods. We hope that amid the flow of change in future education, this study will provide the baseline data to plan remote teaching and learning and to improve teaching methods, materials, etc., and will thus help determine the direction of various types of remote learning methods which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