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72 Download: 0

강준일의 12현 가야금을 위한 독주곡 <율새> 분석 연구

Title
강준일의 12현 가야금을 위한 독주곡 <율새>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 Analytical Study of for 12-strimg Gayageum by Kang Junil
Authors
이가빈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본 연구는 강준일의 12현 가야금을 위한 독주곡 <율새>를 분석한 것이다. 각 악곡의 구조를 나누고, 각 단락별로 나타나는 선율 분석 및 연주법을 살펴본 후 곡에 나타나는 작곡가의 미학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율새>는 총 372마디로 이루어진 여섯 악곡의 모음곡이며, 각 악곡에 나타나는 선율 및 연주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제1곡 ‘(理) 이치를 좇다’는 <율새>의 도입부에 해당하며 율려의 이치를 좇는 모습을 형상화한 악곡이다. 현을 눌러내는 음이 아닌 개방현의 사용과 주어진 마디 안에서 나타나는 정형화된 선율이 그 예로 나타났으며, 주제선율 f′-b♭-c′의 반복, 리듬 변형을 통해 제1곡을 이끌어 나갔다. 연주법은 두음 연결, 농현, 추성, 2-1(3-1) 등의 전통적인 주법과 아르페지오, 글리산도 등의 현대적인 주법이 조화를 이루었다. 의 새로운 표기로 가야금 음색을 구체적으로 요구하였다. 제2곡 ‘(志) 뜻을 세우다’의 주제선율은 b♭-c′-f′이며, 선율의 상·하행 구조는 뜻을 향해 나아가는 모습을 형상화한 부분이다. 연주법은 제1곡과 같고, 연튕김과 주법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제3곡 ‘(思) 생각하다’는 특정 선율을 두 번 변형하여 총 세 유사선율이 나타나는 부분이 등장하였다. 첫 번째 변형선율은 동일 선율 반복 후 리듬 확대를 하였고, 두 번째 변형선율은 음 높이 변화, 리듬 분할 및 변형으로 보다 큰 변화가 보였으며, 이는 고뇌하며 생각하는 모습을 형상화한 부분이다. 당김음의 사용이 특징적으로 나타났으며, 두 화성의 아르페지오는 3-1주법으로 연주하였다. 제4곡 ‘(表) 드러내다’는 전체 악곡의 절정에 해당하며, f, ff의 셈여림과 sf, 악센트의 빈번한 등장으로 선율이 분명하게 강조되었다. 세 유사선율의 등장은 제3곡의 특징과 같고, 세 동일선율의 등장이 새롭게 나타났다. 2/󰁝의 󰆳단락과 󰆵단락은 전체 악곡 중 가장 빠른 부분으로 󰁡의 리듬이 지속적으로 등장하였다. 전체 악곡에 등장한 모든 전통적인 주법이 등장하며, 다른 악곡에 비해 현대적인 주법이 적게 나타나 󰆲·󰆳·󰆴단락에는 스타카토 주법만이 사용되었다. 제5곡 ‘(情) 마음으로 느껴서’는 가야금의 농현과 여음을 통해 내면의 세계를 표현한 악곡으로 긴장과 이완의 선율이 대비를 이루었다. 증·감음정의 불협화 진행, 급진적 도약 상행선율, 분할된 리듬은 긴장감을 부여하였고, 긴 음형의 리듬, 페르마타 등은 곡의 긴장감을 이완시켰다. 다른 악곡에 비해 농현(7회)과 여음을 활용한 두음 연결(33회)·세음 연결(29회) 주법이 확연히 많이 나타났다. 제6곡 ‘(無) 덧 없음이라’는 제1곡~제5곡의 각 특징이 나타나는 악곡이다. 박자와 마디 구분 없이 자유롭게 연주하는 부분, ‘Senza Meter’이 나타났으며, 전통 타악기인 종의 소리를 가야금의 화음과 여음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둘째, 전통음악의 미학적 구성을 음악 속에서 풀어낸 작곡가 강준일의 성향이 전체 악곡에 담겨져 있다. <율새>에 나타난 미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율새’는 율의 사이, 즉 율려를 뜻하며, ‘율’은 ‘양률’, ‘려’는 ‘음려’를 뜻한다. 이와 같은 제목으로 강준일은 음양사상에 입각하여 곡을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작곡가는 작품해설에서‘율’은 정해진 섭리의 이치, ‘려’는 정해진 율 위에서 얻어지는 자유로움이라 언급하며 정해진 마디 위의 자유로운 선율을 표현하였고, 이는 제2곡~제5곡에 마디와 선율의 엇물림에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작곡가는 “진정한 자유로움은 정해진 틀 안에서 얻어진 것”이며, ‘율’, ‘려’ 즉 ‘양’과 ‘음’의 이분법은 덧이 없고 결국 조화를 이루는 것이라는 깨달음을 얻어 이를 제6곡 박자, 마디 구분 없이 자유롭게 연주하는 부분에 표현하였다. 제6곡의 맥놀이에 의한 종소리 표현에서 음양사상, 5음 구성 펜타토닉스케일에서 오행사상이 나타났고, 총 세 유사선율의 등장과 동일 선율이 세 번 반복되는 부분에서 삼재(三才)사상이 나타났다. 강준일의 12현 가야금을 위한 <율새>는 강준일 작곡가의 음악적 어법과 전통음악의 미학이 나타나는 동시에 가야금의 고유한 음색으로 율의 사이가 조화를 이루도록 표현한 곡이며, 이는 강준일 작곡가의 유일한 12현 가야금 독주곡이라는 점에서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가 향후 <율새>를 연주하는 연주자들의 악곡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연주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This study is an analyzation of Kang Jun-il's solo song for 12-string gayageum. After dividing the overall structure of each piece, analyzing the melody for each paragraph and examining the performance method, the composer's aesthetic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the piece are investigate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are as follows. First, is a suite of six pieces of music with a total of 372 ba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lody and playing method appearing in each piece are as follows. The 1st piece, 'Follow the Law', corresponds to the introductory part of and embodies the image of following the logic of Yulryeo. Examples include the use of open strings rather than notes that press down the strings, and a standardized melody within a given bar. The first piece is led through repetition of the theme melody f′-b♭-c′ and rhythmic transformation. The playing method is harmonized with traditional playing methods such as two-tone connection, nonghyeon, chuseong, and 2-1 (3-1), and modern playing methods such as arpeggio and glissando. A new notion of is specifically requested to express the specific tone of the gayageum. The theme melody of the 2nd piece ‘Setting Up Will’ is b♭-c′-f’, and the upward and downward structure of the melody is the part that embodies the progress toward the will. The playing method is the same as the first piece, and playing method are newly introduced. The 3rd piece‘Think’ transforms specific melody twice to show a total of three similar melodies. In the first modified melody, the rhythm is expanded after repeating the same melody, and in the second modified melody, larger changes are seen due to pitch change, rhythm division, and transformation, which embodies the figure of thinking in agony. The use of dichotomous notes is characteristic, and the arpeggios of two harmonics are played in a 3-1 note method. The 4th piece 'Reveal' corresponds to the climax of the entire song, and the melody is clearly emphasized by the frequent appearance of the dynamics of f and ff, sf and accents. The appearance of three similar melodies is the same as the characteristic of the third song, and the appearance of three identical melodies is newly appeared. The 󰆳 paragraph and the 󰆵 paragraph of 2/󰁝 are the fastest parts of the entire piece, and the rhythm of 󰁡 continues to appear. All the traditional playing methods used in the entire piece appear in this 4th piece, and there are fewer modern playing methods compared to other music pieces, soonly the staccato method was use din the paragraphs of 󰆲·󰆳·󰆴. The 5th piece, 'Because I feel it with my heart', is a song that expresses the inner world through the nonhyeon and yeoeum of the gayageum, and the melodies of tension and relaxation are contrasted. The dissonant progression of increasing/decreasing notes, the radical leap ascending melody, and the divided rhythm gave tension, while the long notes and fermata relieved tension in the song. Compared to other pieces, there are significantly more playing methods using nonghyeon(7 times) and two-tone connection(33 times) and three-tone connection(29 times). The 6th song, 'Transience' is a piece of music tha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1st to 5th pieces. ‘Senza Meter’, a part that can be played freely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beats and bars, appears, and it is attempted to express the sound of a bell, a traditional percussion instrument, with chords and syllables of the gayageum. Second, composer Kang Junil's tendency to unravel the aesthetic composition of traditional music in the music is contained in the entire piec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are as follows. ‘Yulsae’ means ‘Between tunes’, that is, yulryeo, ‘yul’ means ‘yang-ryul’, and ‘ryeo’ means ‘yinryeo’. With this title, it can be seen that Kang Junil made the song based on the yin-yang idea. In his commentary on the work, the composer mentions 'yul' as the principle of a set providence and 'ryo' as the freedom that can be obtained upon ‘yul’, expressing a free melody over a set bar. This is shown in the intersection of bars and melodies in the 2nd piece to 5th piece. In this process, the composer realizes that “true freedom is obtained within a fixed frame” and that the dichotomy of 'yul' and 'ryeo', that is, 'yang' and 'yin', is ephemeral and ultimately harmonious. It is expressed in the part where the song can be played freely without distinction of beat and measure in the 6th piece. The yin-yang thought appears in the expression of the bell by the beat of the sixth song, the five-event though were shown in the pentatonic scale composed of 5 notes. The samjae thought is shown in the appearance of three similar melodies and the part where the same melody is repeated three times. for the 12-string gayageum is the only gayageum solo by composer Kang Junil, and it expresses the harmony of the yulryeo with the unique tone of the gayageum while revealing his musical vocabulary and the aesthetics of traditional music.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he understanding and effective performance of the musicians who play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