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대석-
dc.contributor.author윤현경-
dc.creator윤현경-
dc.date.accessioned2021-07-29T16:32:34Z-
dc.date.available2021-07-29T16:32:34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809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8093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8151-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의 목적은 북한 ‘주체적 가요예술’ 개념의 형식과 창작 조건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북한당국이 ‘주체적 가요예술’ 창작과 보급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정치적 지향을 밝히는 것이다. 사회주의 체제를 표방하는 북한에서 음악과 정치 관계를 강조하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이 연구는 북한에서만 나타나는 두 가지 현상에 주목하여 북한음악의 정치성을 분석하였다. 첫째는 북한당국이 독창적인 예술이라 주장하는 주체음악의 정치성에 주목하였다. 특별히 주체음악 중에서도 대중에게 메시지를 직접 전달할 수 있는 가요 영역이 북한 정치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밝히는 작업에 의미를 두었다. 둘째는 북한당국이 민족음악에 관해 선언하는 정치적 수사에 주목하였다. “민족음악을 위주로 음악예술을 발전시켜야 주체를 세울 수 있다”, “양악을 민족음악에 복종시켜야 한다” 같은 메시지는 북한에서 창작․보급하는 음악이 대체로 민족음악 색채를 띠고 있으리라 짐작하게 유도한다. 따라서 북한당국의 민족음악 관련 정치적 수사가 실제성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북한은 소련식 사회주의 문예관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주체사상 확산 이후 북한당국은 예술에 주체사상을 적용하면서 ‘수령’ 중심주의를 만들고, 사회주의 문예관을 수령이 영도하는 ‘주체 문예관’ 개념으로 변형했다. 주체 문예관에 따라 음악 분야는 ‘주체음악’ 개념을 정립했고, 주체음악 범위에 속하는 가요를 ‘주체적 가요예술’이라 부른다. ‘주체적 가요예술’ 창작과 보급의 목적은 수령과 북한당국이 새롭다고 제시하는 관념과 가치 정향을 대중이 시시각각 체현할 수 있도록 돕는 정치적 도구의 생산과 확산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1984년부터 2017년까지 나온 ‘주체적 가요예술’창작 흐름을 내용과 형식에 따라 분석하였다. 내용 측면은 가요의 가사를 구성하는 정치적 소재와 대중의 사상을 교양하는 유형을 살펴보았다. 형식 측면은 가요의 갈래, 창작 형태, 악곡 분위기를 검토했다. ‘주체적 가요예술’ 내용을 정치적으로 만드는 소재를 검토한 결과 전체적으로 ‘수령’ 소재의 노래가 가장 많았다. 그중 1984년부터 2011년까지는 김정일 관련 노래가 대다수였다. 2012년부터 2017년까지는 김정은 관련 노래가 김정일의 자리를 대체했다. 1984년부터 2017년까지 대중의 사상을 교양하는 유형은 빈도에 따라 ‘수령 우상화’, ‘선전선동’, ‘조선 이미지 제고’ 순으로 나타났다. 수령을 우상화하는 가요의 가사는 수령, <조선로동당>, 수령 가계에 대한 충실성을 함양하고 그것에 대한 절대가치를 조성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선전선동 가요는 대중의 사상감정을 고양하는 내용과 당정책 관철을 위한 추동, 조국을 수호하는 집단이라는 <조선인민군> 이미지 선전을 통해 주민의 집단규범을 조성했다. ‘조선’ 이미지를 제고하는 가요는 북한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브랜드를 구축하여 대중의 충성심 발양을 유도하고, 사회주의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조성하며, 당국이 유도하는 대로 형성하는 조국통일 담론을 대중이 믿게 만드는 것이었다. ‘주체적 가요예술’ 갈래는 빈도에 따라 혁명가요, 서정가요, 당정책가요, 송가류, 행진가요, 생활가요, 대외용 가요, 노동가요, 대내용 가요 순으로 나타났다. 가요의 창작 형태는 전체적으로 양악식이 민요식에 비해 월등하게 많았다. 북한당국의 민족음악 강조와 실제 악곡 창작 경향의 괴리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었다. 전체적인 가요 분위기는 씩씩한 노래가 가장 많고, 경쾌한 노래는 적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북한당국은 ‘주체적 가요예술’ 창작물을 내용과 형식 측면에서 모두 대중의 정치사회화를 위한 도구로 생산하고 있었다. ‘주체적 가요예술’ 보급은 정치사회화 도구를 확산한다는 목적을 내포하고 있었다. 모든 노래는 ‘사상교양’ 목적을 지향하고, 개인의 미적 체험을 위한 노래는 존재하지 않았다. 모든 노래 가사는 북한당국이 사회적으로 확산하는 담론과 가치, 행동규범을 대중이 인식하고, 내면화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었다. 음악 형식은 계속 씩씩하고 집단의 기분을 격동하는 투쟁 분위기를 양산함으로써 전체적인 사회 분위기를 경직되게 하였다. 민족음악에 양악을 복종시켜야 한다는 강조는 사실상 양악에 민족음악을 복종시키는 형태로 나타났다. 북한음악도 가사를 제거하고 연주만 들었을 때는 좋은 음악이 많다. 그렇지만 수령의 요구와 그의 지향을 대중이 체현할 수 있도록 돕는 가요의 정치적 목적이 북한 음악계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는 사실을 연구의 결과로 밝힐 수 있었다. 김일성-김정일-김정은에 이르기까지 70년 이상의 시대가 흘렀다. 그러나 수령을 칭송하고 반복적인 사상과 신념을 주입하면서 과거의 기억을 왜곡시키는 ‘주체적 가요예술’ 활용 패턴을 유지한다면 북한음악은 앞으로도 지금과 같은 상황에 머물러 있거나 더욱 배타적인 상황에 봉착할 것으로 예측한다.;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study the form and creative conditions of the North Korean concept of “Juche Songs”, and to reveal the political orientation that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want to achieve through the creation and dissemination of said songs. In North Korea, a country under a socialist regime,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politics has been exploited to serve the regime’s ideology. This study strives to analyze the political nature of North Korean music through two phenomena that are unique to North Korea. First,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into the political nature of Juche music, which North Korean authorities claim to be an “extraordinary” music. In particular, the work focused on revealing the role of songs, such as Juche music, in North Korea that can directly disseminate political messages to the public. Second, the work strives to unveil the political rhetoric that North Korean authorities declare about traditional music. Nationalistic messages such as “We can establish ‘Juche’ only if we develop music focusing on folk music” and “Western music must obey to traditional music of Joseon” are a case in point, allowing people to infer that music diffused in North Korea usually has the colors of folk music. Therefore, this study’s examination of whether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political rhetoric relates to folk music is de facto. North Korean art bears resemblance to Soviet-style socialist literary and artistic theory. However, after the spread of the Juche ideology, North Korean authorities applied the Juche ideology to art, creating a “Suryung centralism,” thereby transforming the socialist literary and artistic theory into what is now known as the “Juche literary and artistic theory” concept. Under the influence of Juche literary and artistic theory, the concept of “Juche music” was born in the field of music, and songs that fall under the scope of Juche music are deemed “Juche Songs.” The purpose of creating and dispersing “Juche Songs” is to produce and spread ubiquitous nationalistic messages as a political tool that could instil to the public new ideas and values ​​oriented by the leader and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From 1984 to 2017, the creative flow of “Juche Songs” was analyzed according to content and form. In terms of content, this study examines political material infused within the lyrics of a song as well as the methodologies that North Korean authorities undertake whilst cultivating the thoughts of the public. In addition, the form, genre, created form, and atmosphere of the song were reviewed. Through gathering sources for the study, it became apparent that “Suryung” had the most abundant content. Among them, from 1984 to 2011, most songs alluded to Kim Jong-il. From 2012 to 2017, this popularity shifted to Kim Jong-un. From 1984 to 2017, the method of mass political dissemination appeared in the order of “Idolization of the leader (Suryung)”, “Propaganda and agitation”, “Improvement of Joseon image.” The lyrics of the song that idolize the “Suryung” contained content that fostered loyalty to the leader, Joseon Workers’ Party, and the leader's family, subsequently promoting the ideologies’ absolute values. Propaganda and agitation songs created collective norms for North Korean citizens by enhancing the public's ideological and sentimental content, both as a driving forc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ker's Party policy, and by enhancing the image of the <Korean People's Army> as an institution which protects the homeland. Songs that enhance the image of “Joseon” influenced North Korea to build a brand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nd develop public loyalty. In addition, the songs have a purpose to establish a positive image of socialism and make the public believe in the discourse on national reunification that was intentionally form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The types of “Juche Songs”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revolutionary songs, lyrical songs, party policy songs, hymns, marches (i.e. military songs), songs about daily life, external songs for friendly countries, labor songs, songs for internal people (North Koreans). As for the form of music, a Western style was much more common than traditional styles. This finding confirms the gap between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emphasis on the prevalence of traditional music within the country and their tendency to create actual music for the native people. Overall, it became apparent that revolutionary songs were the most abundant, compared to cheerful songs which were less common. In conclusion,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were producing “Juche Songs” as a tool for political socialization of the masses in both content (i.e. lyrics) and form (i.e. melody, rhythm). All songs were aimed with the purpose of ‘cultivating ideology’ for North Koreans, rather than for personal aesthetic or a pleasurable experience. All of the song lyrics were intended for the public to recognize and internalize the discourse, values, and norms of behavior that were spreading socially at the time. The music form hardened the social atmosphere by producing an environment of struggle that continued to manifest a revolutionary mood for the group.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emphasized that Western music should obey their traditional music in both form and content. However, North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found to be more accommodating to the Western style of music. Despite this, North Korean music is great when the lyrics are removed and only the melody and harmony can be heard. However,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 primary purpose of the “Juche Songs” to encourage the masses to embody the demands of the leader and his intentions were actually hindering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North Korean music. More than 7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leaders of North Korea changed from Kim Il-sung to Kim Jong-il to Kim Jong-un. However, if North Korea maintains the pattern of using “Juche Songs” to distort the memories of the past while praising the leader and injecting repetitive revolutionary ideas and beliefs, North Korean music will remain stagnant or in a more exclusive situation in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6 1. 북한음악 연구 동향 6 2. 선행 주체음악 연구성과 10 3. 선행 북한가요 연구성과 12 4. 통사 접근 방식의 북한음악 선행연구 13 5. 연구의 관점 14 C. 연구방법과 범위 16 D. 논문 구성 18 II. 북한 문예관의 형성과 주체음악 19 A. 북한 문예관의 형성 19 1. 사회주의 문예관 19 2. 북한의 사회주의 문예관 이식 21 3. 북한의 사회주의 문예관 변형 23 4. 주체 문예관 형성 24 B. 주체음악의 개념과 형태 26 1. 주체음악 개념의 정의 26 2. 주체음악 개념의 시원 29 3. 주체음악의 형태 34 III. 주체적 가요예술 창작 흐름 분석 42 A. 주체적 가요예술 42 1. 주체적 가요예술의 내용과 형식 42 2. 주체적 가요예술의 갈래 44 B. 분석체계 63 1. 분석대상 자료 개관 63 2. 가요 세부 분류 기준 73 C. 전체 분석 결과 77 1. 가요 내용별 분포 78 2. 가요 형식별 분포 82 D. 시기별 분석 결과 89 1. 제1기(1984-1996): 주체적 가요예술 집대성과 확산 89 2. 제2기(1997-2011): 주체적 가요예술 쇠퇴와 매너리즘 100 3. 제3기(2012-2017): 주체적 가요예술 혁신과 회귀 109 E. 소결 120 IV. 주체적 가요예술의 정치사회화 전략과 유형 130 A. 수령 우상화를 통한 절대가치 조성 131 1. 수령과 <조선로동당> 우상화 132 2. 수령 가계 우상화 137 3. 수령에 대한 충실성 함양 140 B. 선전선동을 통한 집단규범 조성 144 1. 대중의 사상감정 고양 145 2. 당정책 관철을 위한 추동 152 3. 조국을 수호하는 <조선인민군> 이미지 선전 157 C. '조선' 이미지 제고를 통한 체제수호 노력 159 1. '조선' 브랜드 구축과 충성심 유도 159 2. 사회주의 긍정 이미지 조성 163 3. 조국통일 담론 형성 164 D. 감성의 획일화를 통한 사회통제 유도 166 1. 집단감성 고취와 사회 경직성 강화 166 2. 사회적 서정성과 생동성의 퇴색 168 3. 집단기억의 호명과 굴절 170 V. 결론 181 참고문헌 188 Abstract 2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624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북한의 ‘주체적 가요예술’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Juche Songs” in North Korea-
dc.creator.othernameYoun, Hyun Kyoung-
dc.format.pagexi, 20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북한학과-
dc.date.awarded202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