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9 Download: 0

수학 교과 원격수업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Title
수학 교과 원격수업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n Students' Remote Learning Experiences in Mathematics : With a focus on eleventh graders in high school
Authors
남소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래영
Abstract
지난 2020년 3월에 코로나-19 확산으로 유례없이 전국의 초중고에 휴업명령이 내려졌고, 2020년 3월 31일, 사상 초유의 ‘온라인 개학’을 발표했다. 온라인 개학을 통해 교사와 학생들은 대면하지 않고 원격으로 거의 모든 수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온라인 개학은 말 그대로 온라인을 통해 수업에 참여하게 되는 방식인데, 교사와 학생이 화상을 통해 만나게 된다. 온라인 수업에는 수업방식에 따라 ‘실시간 쌍방향형’, EBS 콘텐츠나 교사가 녹화한 강의를 보는 ‘콘텐츠 활용형’, 독후감 등 과제를 내주는 ‘과제수행형’ 등으로 구성된다(조선일보, 2020. 4. 9). 온라인 학습을 통한 원격교육은 교육 자체의 필요성이 아닌 감염병 사태에 대한 대안으로 급격히 도입되었지만,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된 이후부터 꾸준히 제기되어온 온라인을 통한 교육의 질 향상 제고에 대한 측면을 고려해 볼 때, 교육환경의 변화는 이루어져야 할 과제였기 때문에 이번 원격수업 체제를 통해 그 가능성과 적용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교육의 흐름이라고 볼 수 있다. 원격수업이 도입된 이후 이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가 이어져 오고 있지만, 수학 과목 원격수업에 대해 학생들의 입장에서 원격수업을 바라본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과 온라인 원격수업이 수학학습이 미치는 영향을 학습자 관점에서 알아봐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고,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경험한 온라인 원격수업에 대한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2.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인식하는 수학 과목 온라인 원격수업과 대면 수업의 차이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질적 연구의 방법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인 인터뷰와 설문, 비참여 수업관찰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학 과목 원격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경험을 알아보았다. 연구를 통해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은 수학 과목에 있어서 실시간 쌍방향 소통형 수업을 경험하였고, 원격수업의 수업방식과 수업환경, 수업 분위기는 학습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원격수업은 주로 학생의 방안에서 이루어졌는데 학습공간과 생활공간이 분리되지 못한 환경이 학습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었고, 또래 학습자가 없는 수업 분위기는 학업에 대한 참여도를 낮추는 영향을 주었다. 둘째, 원격수업은 대면수업과 비교하여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모두에게 있어서 상호작용이 줄어들었다. 원격수업 환경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상호작용은 활발하지 못했으며 교수자가 시도하는 상호작용에도 학생들은 소극적으로 응답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지 않아 학습자는 서로 단절된 채 원격수업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원격수업에서 학습에 대한 몰입과 집중의 저하를 경험했다. 학습자는 원격수업이 대면 수업보다 집중도·몰입도가 떨어진다고 하였는데, 이에 대한 원인으로는 원격수업에서는 딴짓을 할 수 있는 요소가 많다는 점과 이를 통제해주는 선생님이 없고, 수업참여에 대한 기회가 적다는 점 등을 집중도와 몰입도가 떨어지는 원인으로 지적했다. 본 연구를 통해 원격수업을 경험한 학생들의 학습자 입장에서 바라본 원격수업이 어떠한지를 알아볼 수 있었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논의될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수업이 이루어지기 적합한 환경과 수업구성이 마련되어야 한다. 감염병 사태가 종식된 이후에도 원격수업은 종래의 대면 수업에서 교육현장이 겪었던 여러 가지 문제점들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으므로 지속 가능한 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원격수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적합한 가정 내 환경과 수업기기 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또한 수업의 구성 역시 종래의 대면 수업에서 하던 것과는 다르게 원격수업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방식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온라인 수업에서는 학습자와 교수자의 상호작용이 가장 중요하다 볼 수 있다. 학습에 있어서 상호작용은 교수-학습자뿐만 아니라 학습자-학습자 간에도 일어나는데, 이러한 상호작용은 학습자가 의미 있는 지식을 구성하고 학습을 지속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원격수업은 이러한 상호작용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원격수업에서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어렵게 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는 수업 내용의 구성과 방식의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몰입과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데,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아진다면 이는 학습에 대한 집중·몰입도를 고취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그러나 종래의 교육은 이러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이러한 능력의 신장을 학습자 개인의 과제로 남겨두었는데, 미래 교육에서는 이러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신장을 교육의 한 과제로 인식하고 제도적 차원으로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Following the spread of COVID-19,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at "School will start online.” which was unprecedented in the nation's history, based on remote learning after issuing an order to clos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round the nation temporarily. As school started online, teachers and students did not meet in person with almost every lesson given in a non-contact remote learning form. Online-based education has been introduced abruptly and developed fast in the post-COVID-19 era, but many previous studies already raised a need for online-based education as a method of learning fit for the flow of the tim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ba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utiliz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lthough there are a lot of previous studies on online learning, only a handful of studies looked at remote learning from the viewpoint of students in the math subject. This study recognized a ne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tudents' experiences with remote learning and their participation in online remote learning on their math study from their viewpoint. The study thus set out to conduct qualitative analysis in a phenomenological method to examine the actual state of remote learning in the math subject as experienced by students and its differences from in-person lessons from the viewpoint of students. The subjects include six eleventh graders at an academic high school in the Cheongju area. They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Data was collected in three approaches including individual interviews, surveys, and non-participant lesson observations to make a qualitative inquiry into various cases of the remote learning phenomenon. Interviews with individual subjects were recorded and videotapes and then transcribed. Data was collected through non-participant observations to analyze videos of the participants in lessons as well as surveys to verify consistency among interviews. The transcriptions of individual interview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codes from open coding and divided into categories. An analysis framework was made according to codes based on the categories and perfected through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for the research questions with coders' opinions reflected on segmented codes in advance. At the main coding stage, the code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large and small categories and set in the semantic units. The materials coded in the semantic units were reduced to final codes based on reliability among coders and put to qualitative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eleventh graders mainly had experiences with real-time interactive communicative lessons in the math subject. Their learning was influenced by the method, environment, and atmosphere of remote learning. Their remote learning usually happened in their rooms. When their study space was not separated from their living space, it could be a barrier to their learning. When lessons were given in a way that made it difficult for them to communicate with their peers, they could lower their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lessons. Secondly, interactions decreased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among students in remote learning compared with in-person lessons. In a remote learning environment, students did not have active interactions with their teachers and made passive reactions to their teachers' attempts at interacting with them. In such an environment, there were few chances for students to have interactions with one another, which meant that they experienced remote learning with their connections severed. And thirdly, students experienced a drop in their immersion and concentration in learning in a remote learning environment. They said that their concentration and immersion dropped in remote learning more than in-person lessons and pointed out a couple of causes including lots of elements to distract them, absence of teachers' control, and fewer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lessons. These finding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re should be a proper environment and lesson composition to enable remote learning. Even after the epidemic ends, remote learning can be an alternative to many different issues with the educational circles under the old in-person lesson system, which raises a need to ensure its sustainability. It is required to create a proper environment for smooth remote learning at home, provide students with necessary devices, and do research on different ways of lesson composition from the old in-person lessons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remote learning. Secondly,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online lessons is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In learning, interactions happen among students as well a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such interactions can be the driving force behind students' meaningful knowledge and ongoing learning. In the old remote learning, however, there was a serious shortage of such interactions. It is thus needed to identify elements that make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have interactions in remote learning and prepare the composition and methods of lesson content to enable active interactions. Finally, students need to improve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competence. Flow on learning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e. Experiences with the flow of learning are one of the major learner variables to predict learning processes and outcomes directly and indirectly and one of the factors needed in students' active, autonomous, and self-directed learning.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competence will lead to greater concentration and immersion in learning in students. The old education, however, left the cultiv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e to students themselves for their individual tasks despite its recognized importance. Future education should recognize the enhancement of such self-regulated learning competence as one of the educational tasks and make plans to improve it at the institutional lev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