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규-
dc.contributor.author박서윤-
dc.creator박서윤-
dc.date.accessioned2021-07-29T16:32:33Z-
dc.date.available2021-07-29T16:32:33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807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8078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814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이 학업 수행을 위한 학술적 상황에서 쓰기 기능과 학위 논문 작성에 가장 큰 어려움을 느낀다는 점과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들이 학문 담화 공동체에서 주체적인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수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의 학위 논문 관련 연구를 통해 학위 논문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는 형성되었지만, 학습자들의 현실적 요구에 부합하는 적합한 학위 논문 교육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점과 실제로 학위 논문 과정을 전반적으로 아우를 수 있는 교육 방안이 미비하다는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지금까지 국내 외국인 유학생은 학부생이 대부분을 차지했고,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또한 학부생을 위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2010년 이후 지금까지 10년 동안 국내 외국인 석·박사생이 약 26배 증가하였고, 이들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외국인 학부생과 외국인 석·박사생을 대상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쓰기 측면에서 가장 큰 차이는 ‘특정 장르의 중요도’로 볼 수 있다. 외국인 학부생에게 가장 중요한 장르가 ‘보고서’라면, 외국인 석·박사생에게 가장 중요한 장르는 ‘학위 논문’이다(정다운, 2014b). 즉 ‘학위 논문’을 외국인 학부생과 외국인 석·박사생을 구분하는 특정 장르로 볼 수 있겠다. 학위 논문은 대학원 교육의 총체적 산물이자 필수적인 관문이다. 외국인 대학원생에게 학위 논문 실패는 곧 유학 생활 실패를 의미할 정도로 중요하다. 학위 논문은 장르적 특징이 뚜렷하며 정해진 형식적 체제와 틀에 따라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작성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학위 논문은 모국어를 사용하는 국내 대학원생들도 어려움을 느끼는 장르다. 외국인 대학원생들이 대학원 과정을 수학할 수 있는 언어적 능력을 갖춘 후에 입학한다고 하지만, 모국어 화자와 유사한 수준의 언어적 능력을 전제로 고차원의 사고와 학문 담화 공동체의 소통 방식으로 학위 논문을 작성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어 교육이 지향하는 과제 중심, 학습자 중심, 상호작용 중심의 원리를 모두 포함하는 문제중심학습(PBL)에서 해답을 찾고자 하였다.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하여 학위 논문 교육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의 인지적·정의적 효과 변화를 탐색한 후,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위 논문 작성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교수 모형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둘째,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통합 교수 모형을 학위 논문 작성에 실제 적용했을 때 유용한가? 연구 참여자들에게 어떠한 인지적·정의적 효과 변화를 미치는가? 셋째,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통합 교수 모형을 실제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였다. 먼저 현재의 문제점을 진단하기 위해 다각도에서 요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위 논문 작성 관련 시사점을 찾기 위해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학원에 개설된 학위 논문 관련 과목과 논문 교육 프로그램의 강의 계획서를 분석하여 현 교육 현황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위 논문 작성과 관련하여 느끼는 부담감과 어려움을 면밀하게 살펴보고자 현재 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학생, 대학원 수료 상태인 유학생, 석사 학위를 취득한 외국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충분한 요구 분석을 통해 마련된 기초 자료를 활용하여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교수 모형을 설계하고 강의 계획서를 작성하였다. 실험 연구에 적용하기 전, 전문가 자문과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반영하여 1차 수정 단계를 거친 후 설계한 교수 모형을 실제 교실 현장에 적용하여 학습자들의 인지적·정의적 효과 변화를 탐색하였다. 특히 본 연구자는 다양한 ‘통합’의 의미를 반영하여 교수 모형을 설계하였는데, ‘읽기·쓰기 통합’을 지향하는 관점에서 ‘적절한 자료의 수집과 관심 주제 영역 탐색 활동’ 또한 쓰기를 위한 읽기 활동에 포함된다고 보고 ‘쓰기를 위한 내용 지식 확장 읽기 활동’을 포함하여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통합 교수 모형을 설계하였다. 전반부에는 학문 담화 공동체의 장르적 지식과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후반부에는 문제중심학습(PBL) 적용 후 문제 해결을 위한 계획 수립, 자기 주도 학습 활동, 협력적 상호작용 활동을 중심으로 하여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에게서 다양한 측면에서 인지적·정의적 효과 변화와 내용 지식이 통합되는 과정이 탐색되었다. 실험 연구 종료 후 다양한 양적·질적 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실험 연구의 인지적·정의적 효과 변화를 평가·분석하였다. 그 후 전문가 자문과 타당도 검사를 통해 교수 모형의 적절성과 실제성을 검증한 후 2차 수정 단계를 거쳐 최종 교수 모형과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실험 연구를 통해 관찰된 연구 참여자의 인지적·정의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적 채점표로 평가한 사전·사후 테스트 차이를 통해 문제중심학습(PBL)이 연구 참여자들의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학위 논문 작성을 위한 통합 교수 모형은 학업 수행 능력(자기 주도 학습 능력, 자료 수집 능력, 문제 해결력, 비판적·논리적 사고 능력)에 긍정적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학위 논문 작성을 위한 통합 교수 모형은 협동 학습 능력(의견 수용력, 의사소통 능력), 자아 효능감(자기 조절 능력, 자신감), 학습 동기와 흥미와 같은 정의적 영역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인지적 효과와 정의적 효과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성립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문제중심학습(PBL)은 학업 성취도, 문제 해결력, 비판적 사고력과 같은 인지적 영역과 학습 동기, 자아 효능감,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협동 능력 등 정의적 영역에서 모두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고, 인지적 효과와 정의적 효과는 유의한 관계가 성립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긍정적 효과 변화를 근거로 2학기제 필수 과목 지정 운영 방안과 학위 논문 작성 조력 프로그램을 운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대학원 교육의 총체적 산물인 학위 논문과 관련된 전반적인 교육을 한 학기에 모두 수행하는 것은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기초·심화 과정의 2학기제로 운영하여 장르 지식과 한국어 지식을 충분히 익힌 후 문제중심학습(PBL) 문제를 해결하는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문제중심학습(PBL)의 특성상, 다양한 활동과 그룹 활동이 주가 되기에 학기 중에 실시하는 데에는 학습자에게 심리적 부담감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기제로 운영하는 것보다는 학습자들의 시간적 여유에 따라 유동적으로 지원하여 참여할 수 있는 ‘학위 논문 작성 조력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측면에서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학위 논문 작성의 장애 요인을 탐색한 후, 학위 논문 작성을 위해서는 언어 능력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보고 학위 논문의 장르 교육과 한국어 교육을 병행하여 종합적이고 구체적인 교수요목을 설계하여 실험에 적용하였다. 이렇게 설계한 교수요목은 추후 학위 논문 관련 강의를 개설하거나 기존 강의를 수정·보완할 때,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자료로 활용되기에 충분하다. 또한 기존의 학위 논문 관련 연구가 과정을 중시하고 부분적인 연구와 교수법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본 연구는 과정·장르 통합을 중시하고 회귀성을 반영하여 학위 논문 작성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교수 모형과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서 교육적 함의를 찾을 수 있다. 더불어 학위 논문 장르에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하여 효과를 밝힌 국내 최초의 연구이다. 학위 논문 작성은 외국인 대학원생의 유학 생활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가 제시한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통합 교수 모형이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학위 논문 작성의 장애 요인을 해결하고, 이들이 학문 담화 공동체에서 주체적인 구성원으로 성공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소중한 첫걸음이 되길 바란다.;This study recognizes that, when writing graduate thesis in academic situations, foreign students have the biggest difficulties. It notices the necessity of related education and aim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model which can give practical help to the students to become independent members in academic discourse communities. Consensus on the need and importance of teaching thesis writing has been formed via research conducted on graduate theses. However, as this study begins, there is no suitable education on writing theses that meets the learners’ needs and there is no perfect education method teaching the entire thesis writing process. Among foreign students in Korea, most were undergraduates, and research undertaken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were also for the undergraduates. However, the number of foreign masters and Ph.D. students increased 26 times over the last 10 years since 2010. Therefore,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Korean language for their academic performances has increased. The biggest difference in terms of teach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to foreign undergraduates and foreign masters and Ph.D. students is “importance of a specific genre.” If “report” is the most important genre to the foreign students, “thesis” is the most important genre for foreign masters and Ph.D. students (Jung, Da-Woon, 2014b). In other words, “thesis” is the specific genre that differentiates foreign undergraduates and foreign masters and Ph.D. students. A thesis is the overall product of a graduate school and an essential barrier. To foreign graduate students, theses have a great significance, and a failure can mean failure in studying abroad. A graduate thesis has strong features and needs to be written following a fixed formal system and outline, so education and training are a must. It is said that foreign graduate students enter graduate schools after having enough language skills to perform graduate courses, but it is very difficult to write a dissertation with a high-level thinking and academic discourse community’s communication method, only presupposing the language skill similar to that of a native speaker. In order to solve these difficulties, this study aims to find a solution in Problem-based Learning (PBL), which embraces the principl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ask-centered, learner-centered and interaction-centered learnings. I examined cognitive and affective effect changes of research participants when education applied with PBL is conducted and suggested some methods using it.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ings. First, how can we develop an instructional model based on PBL to help foreign students write a thesis? Second, will the model formed by the researcher be helpful when actually applied in thesis writing? What cognitive and affective changes can it give to the participants? Third, how will this model be applied in an actual education field? To solve these issues, we have performed series of processes. In order to diagnose the current problem, I conducted request analyses in various angles. To find an implication of writing graduate theses, I went over previous research and figured out current problems in education by analyzing established courses and class syllabus on thesis. Also,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reign graduate students who are currently in schools, who finished four-year courses and foreign workers who achieved master’s degrees. A class syllabus has been written after a PBL-based instruction model was designed using basic data from sufficient request analyses. Before applying to the research, validity was verified by taking expert’s advice and undergoing usability assessments. This paper examined cognitive and affective effect changes of applying an instruction model which went through the first correction step. The instruction model was especially designed to reflect various meanings of “integration,” and included “reading with expansion of content knowledge for writing,” because “collecting certain data and searching field on interested themes” is considered a part of a reading activity for writing from a view seeking “integrated writing and reading.” The first half of the paper focuses on knowledge of genre and Korean language of an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and the latter part focuses on plann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cooperative interaction activities to solve problems after applying PBL. Through this process, cognitive and affective effect changes were detected in various aspects from the research participants. A process of the content knowledge being integrated was also found. Afterwards, the cognitive and affective effect changes of experimental research were evaluated and analyzed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sessment tools. Then, relevance and feasibility of the model were verified through expert’s consultations and validity test. Final instruction model and application plan were suggested after going through the second correction step. The cognitive and affective effects were as follows: First, via difference in pre- and post-tests assessed by analytic grade lists, PBL was confirmed positive on academic achievements for the participants. Second, an integrated instruction model based on PBL for thesis writing was also positive to academic accomplishments; self-directed learning, data collecting capability, problem-solving capability and critical and reasonable thinking. Third, PBL-based model had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areas including cooperative learning (opinion receptivity, communication capability), self-efficacy (self-control capability, confidence) and study motivation and interest in it. Fourth, a noticeabl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and affective effects was found. In other words, PBL had positive education effects on both cognitive areas including academic accomplishments, problem-solving capability, critical thinking, and affective areas including academic motivation,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cooperative capability. Based on these positive effects, this paper suggests a management plan to designate required subjects and operate a program assisting thesis writing per two semesters. It is difficult to accomplish overall courses on writing a thesis, a final product of a graduate school, in a semester. Therefore, the education should be done in two semesters, divided into a basic and in-depth part, so that PBL problems can be solved after knowledge of genre and Korean language is sufficiently obtained. Furthermore, based on a research result, various activities and group activities during the semester,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PBL, can mentally burden the learners. This paper says a program where learners can apply fluidly depending on their schedules is needed, instead of running term systems. This research discovered obstacles in writing a thesis by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various aspects and considering language skill as a must to write a thesis, has applied a comprehensive and detailed instruction syllabus teaching both genre and Korean language to the research experiment. This syllabus is valuable enough to be used as meaningful data in the future when opening lectures on writing theses or when revising and supplementing existing lectures. The existing studies on theses emphasize process and focus on partial research and teaching methods. However, this paper has an academic implication in that it suggests an instruction model and a teaching method, which puts the entire process of writing a thesis together, while placing stress on an integration of process and genre and reflecting recursion. This is the first paper to discover the effect of applying PBL on the genre of thesis or dissertation. A thesis has a big significance since it determines the success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studying abroad. I hope the PBL-based integrated instruction model suggested in this paper can solve obstacles that the students face when writing a thesis and be a valuable first step for them to develop into an independent member of an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용어의 정리 4 1. 학위 논문 4 2. 언어 통합 6 C. 논문의 구성 7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고찰 9 A. 학문적 글쓰기로서의 학위 논문 9 1. 학위 논문의 일반적인 특성 9 2. 학위 논문의 구성 14 3. 학위 논문 작성을 위한 교육과정 16 B.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쓰기 통합 교육 21 1. 학문 목적 한국어의 개념과 분류 21 2.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쓰기 통합 교육의 의미 22 3.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의 과정장르 통합 접근법 28 C. 문제중심학습의 이론적 고찰 34 1. 문제중심학습의 정의와 특징 34 2. 문제중심학습의 교육적 효과와 가치 38 3. 문제중심학습의 교수학습 과정 42 D. 선행 연구 고찰 49 1. 학술적 글쓰기로서의 학위 논문 선행 연구 49 2.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와 읽기쓰기 통합 선행 연구 53 3. 문제중심학습 기반 관련 선행 연구 66 4. 선행 연구 고찰의 정리 73 E. 연구 문제 74 Ⅲ. 연구 방법 76 A. 연구 설계 76 1. PBL 기반 KAP 통합 교수 모형의 설계 방향 76 2. PBL 기반 KAP 통합 교수 모형 설계의 실제 77 B. 연구 절차 및 자료 분석 방법 79 1. 학위 논문 작성 관련 요구 분석 방법 80 2. 타당도 검사 방법 84 3. 실험 연구 방법 85 Ⅳ. PBL 기반 통합 교수 모형 개발 88 A. 요구 분석을 통한 교수요목 설계 88 1. 문헌 연구 88 2. 교육 현황 88 3. 심층 면담 91 B. PBL 기반 KAP 통합 교수 모형 개발 원리와 실제 96 1. 준비 단계 97 2. 도입 단계 98 3. 실행 단계 100 4. 성찰 및 효과 검증 단계 106 C. PBL 기반 KAP 통합 교수 모형 개발 119 1. 1차 수정: 전문가 자문 및 사용성 평가 119 2. PBL 기반 KAP 통합 교수 모형의 실제 적용 124 3. PBL 기반 KAP 통합 교수 모형의 효과 탐색 148 4. 2차 수정: 타당도 검사 및 전문가 자문 168 D. PBL 기반 KAP 통합 최종 교수 모형 171 Ⅴ. PBL 기반 KAP 통합 교수 모형의 활용 방안 180 A. 필수 과목 지정 운영 방안: 기초심화 과목 운영 180 B. 학위 논문 조력 프로그램 운영 191 Ⅵ. 결론 194 A. 주요 연구 결과의 요약 196 B. 연구의 의의, 한계점 및 제언 201 참고문헌 204 부록 1. 실험 연구 참여자 모집 문건 224 부록 2. 심층 면담 참여자 설명문 및 동의서 225 부록 3. 실험 연구 참여자 설명문 및 동의서 228 부록 4. 사전사후 테스트 양식 231 ABSTRACT 23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851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외국인 유학생 대상 학위 논문 작성을 위한 통합 교수 모형 개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문제중심학습(PBL)을 기반으로-
dc.title.translatedDeveloping an integrated problem-based learning instructional model for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thesis writing in Korean-
dc.creator.othernamePak, Seo Yoon-
dc.format.pagexiii, 236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21.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